목차
머리말

제1장 서설 = 11
1.1. 언어와 문법 = 11
1.2. 문법의 연구 방법 = 19
1.3. 국어의 문법적 특성 = 21

제2장 문법학의 형성 = 29
2.1. 전통문법 = 29
2.2. 역사비교문법 = 33
2.3. 기술구조언어학 = 35
2.4. 변형생성문법 = 38
2.5. 국어 문법학의 발달 = 42

제3장 형태소와 단어 = 46
3.1. 형태소 = 46
3.2. 단어 = 55

제4장 복합어 = 66
4.1. 합성어와 IC = 66
4.2. 복합명사 = 71
4.3. 복합동사와 복합형용사 및 복합부사 = 75
4.4. 반복복합어 = 77
4.5. 한자어 = 80

제5장 파생어 = 88
5.1. 접두사 = 88
5.2. 접미사 = 92
5.3. 특수 파생어 = 96
5.4. 개별 접미사의 기능 = 100
5.4.1. -음, -기, -이, -개 = 101
5.4.2. -장이, -질 = 105
5.4.3. -스럽-, -답-, -롭- = 107
5.4.4. -거리-, -대- = 110
5.4.5. -的- = 112

제6장 품사 = 115
6.1. 품사 분류와 기준 = 115
6.2. 국어의 품사 체계 = 120

제7장 명사와 대명사 = 133
7.1. 명사의 종류 = 133
7.2. 의존명사 = 135
7.3. 분류사 = 139
7.4. 대명사 = 144
7.5. 3인칭 대명사 = 151
7.6. 재귀대명사 = 155

제8장 격과 조사 = 160
8.1. 격의 기능 = 160
8.2. 주격조사 = 161
8.3. 대격조사 = 167
8.4. 속격조사 = 171
8.5. 처격조사 = 175
8.6. 구격조사 = 184
8.7. 공동격조사 = 188
8.8. 비교격조사 및 호격조사 = 192
8.9. 격조사의 생략 = 194

제9장 특수조사 = 199
9.1. 격조사와 특수조사 = 199
9.2. ''는'' = 203
9.3. ''만''과 ''도'' = 209
9.4. ''조차''와 ''마저'' 및 ''까지'' = 210
9.5. ''나''와 ''나마'', ''라도'' = 212
9.6. ''야'' = 218

제10장 문장의 종결 = 220
10.1. 어미의 종류 = 220
10.2. 종결어미의 종류와 기능 = 222
10.3. 서법과 문장의 유형 = 225
10.3.1. 평서문 = 225
10.3.2. 명령문과 청유문 = 227
10.3.3. 약속문, 허락문, 감탄문 = 229
10.4. 의문문 = 232
10.4.1. 의문의 구성 = 233
10.4.2. 일반 의문문 = 238
10.4.3. 확인 의문문 = 241
10.4.4. 특수 의문문 = 244
10.5. 반말체 종결어미의 의미 = 248
10.5.1. ''-어'' = 249
10.5.2. ''-지'' = 250
10.5.3. ''-게'' = 254
10.5.4. ''-네'' = 256
10.5.5. ''-군'' = 261

제11장 시제 = 267
11.1. 시제의 범주화 = 267
11.2. 절대시제와 상대시제 = 272
11.3. 과거시제 = 275
11.4. 대과거시제 = 278
11.5. 회상시제 = 281
11.6. 관형절의 시제 = 287

제12장 피동과 사동 = 293
12.1. 피동 = 293
12.1.1. 능동문과 피동문 = 293
12.1.2. 피동문의 형식 = 297
12.1.3. 피동문의 쓰임과 제약 = 302
12.2. 사동 = 305
12.2.1. 사동문의 구조 = 305
12.2.2. 장형 사동문 = 310

제13장 부정법 = 315
13.1. 부정문의 종류 = 315
13.2. 부정문의 의미와 제약 = 319
13.3. 단형 부정문과 장형 부정문 = 327

제14장 경어법 = 333
14.1. 국어 경어법의 체계 = 333
14.2. 주체경어법 = 337
14.3. 객체경어법 = 344
14.4. 상대경어법 = 348
14.5. 경어법의 재조정 = 366
14.6. 경어법의 결정 요인 = 372

제15장 접속과 내포 = 378
15.1. 접속 = 378
15.2. 내포 = 386
15.3. 명사형 어미 = 390
15.4. 부사형 어미 = 393
15.4.1. 시간 관련 어미 = 394
15.4.2. 인과관계의 어미 = 397
15.4.3. 양보의 어미 = 400
15.4.4. 조건의 어미 = 403
15.4.5. 목적의 어미 = 406

참고문헌 = 411

색인 =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