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일러두기 = 8

제1부 총론

제1장 한국어와 문법 = 15
1.1. 한국어의 위상과 특징 = 17
1.2. 문법의 개념 = 24

제2장 문법 연구의 대상과 방법 = 31
2.1. 문법의 단위 = 33
2.2. 문법의 연구대상 = 39
2.3. 문법의 연구방법 = 44

제2부 단어

제3장 단어의 구성 = 55
3.1. 단순어와 복합어 = 57
3.2. 파생어 = 59
3.3. 합성어 = 69
3.4. 한자어의 구성 = 74

제4장 단어의 갈래 = 79
4.1. 품사 분류 = 81
4.2. 체언 = 81
4.3. 용언 = 89
4.4. 수식언 = 97
4.5. 독립언 = 99
4.6. 관계언 = 100

제3부 문장

제5장 문장과 문장성분 = 123
5.1. 문장구성의 개념 = 125
5.2. 문장성분의 개념과 실현방법 = 131
5.3. 어순과 문장성분의 이동, 대치, 생략 = 148

제6장 접속문 = 165
6.1. 접속문의 체계 = 167
6.2. 접속어미 = 174
6.3. 접속문의 문법 특성 = 190

제7장 내포문 = 209
7.1. 내포문의 체계 = 211
7.2. 내포문의 유형 = 216
7.3. 내포문의 문법 특성 = 221
7.4. 보조용언 구문 = 234

제4부 문법범주

제8장 문법범주의 성격 = 251
8.1. 문법범주의 개념 = 253
8.2. 문법범주의 실현방법 = 257
8.3. 문법범주 실현방법의 특징 = 258

제9장 문장종결법 = 269
9.1. 문장종결법의 개념 = 271
9.2. 문장종결법의 실현방법 = 275
9.3. 문장종결법의 문법 특성 = 292

제10장 높임법 = 305
10.1. 높임법의 개념 = 307
10.2. 높임법의 실현방법 = 309
10.3. 높임법의 문법 특성 = 319

제11장 시제법 = 331
11.1. 시제법의 개념 = 333
11.2. 시제법의 실현방법 = 337
11.3. 시제법의 문법 특성 = 340

제12장 사동법 = 355
12.1. 사동법의 개념 = 357
12.2. 사동법의 실현방법 = 359
12.3. 사동법의 특성 = 365

제13장 피동법 = 375
13.1. 피동법의 개념 = 377
13.2. 피동법의 실현방법 = 379
13.3. 피동법의 문법 특성 = 385

제14장 부정법 = 393
14.1. 부정법의 개념 = 395
14.2. 부정법의 실현방법 = 395
14.3. 부정문의 특성 = 400

제15장 강조법 = 411
15.1. 강조법의 개념 = 413
15.2. 강조법의 실현방법 = 415
15.3. 강조법의 문법 특성 = 421

부록 : 한국어 문법 연구사 = 429
1. 한국어 문법 연구와 문법 이론 = 431
2. 한국어 문법 연구의 방향 = 444
3. 한국어 문법 연구사의 논저 일람 = 456

찾아보기 =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