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일러두기 = 11
제1편 음운편
제1장 韓ㆍ日語 파열ㆍ파찰음 體系의 比較 = 15
1. 韓ㆍ日語 파열ㆍ파찰음의 비교 = 15
2. 서구어 음소와의 비교 = 16
3. 일본어 파열ㆍ파찰음 = 18
4. 日本語音의 한국어음화(Koreanization) = 29
5. 結論 = 38
제2장 日本에서의 韓國語 敎育 = 43
1. 單音 體系의 對比 = 43
2. 破裂 强度에서 본 [ㄱ]과 が[g] = 49
3. 變異音으로서의 有氣音과 喉頭緊張音 = 50
4. 日本語 한글화 표기에서의 無聲音 = 52
5. 鼻音 終聲(final nasals) = 54
6. 鼻音 終聲과 日本語의 撥音 /ん/ = 55
7. 結言 = 57
제3장 日本語 話者에의 韓國語 敎育 = 63
1. 子音의 對照 = 63
2. 音節의 觀察과 그 發音 = 70
3. 終聲의 機能과 發音 指導 = 72
4. 音節의 連結 = 77
5. 結言 = 90
제4장 日本人に對する韓國語敎育 = 93
1. 音節 = 93
2. 音節末音(終聲) = 94
3. 音節子音の連結 = 95
4. 結び = 100
제2편 언어문화편
제1장 日本人과 韓國人의 精神의 바탕 = 105
1. 「앗사리」의 행동 = 105
2. 한국인의 끈기, 오기(傲氣) = 107
3. 日本人의 親切 = 109
4. 韓國人의 「情」 = 111
日本人と韓國人の精神のもと = 114
1. 「あっさり」の行動 = 115
2. 韓國人の끈기(ックンギ根氣)と오기(オ一ギ傲氣) = 116
3. 日本人の親切 = 118
4. 韓國人の情(정) = 120
제2장 韓ㆍ日言語文化の理解と交流 -韓ㆍ日言語文化の類似性を通して- = 123
1. 話し言葉の音の體系 = 124
2. 語彙體系(特に代名詞, 數詞)の類似性 = 127
3. 敬語及び敬語體系 = 129
4. 意味作用の體系 = 130
5. 終りに = 135
제3장 韓ㆍ日言語文化と北朝鮮語の理解 = 139
1. 南北語の歷史 = 139
2. 南北の言語文化の差異 = 140
3. 北の宗敎關係の言葉 = 143
4. 政治界の言葉 = 145
5. 藝能界の言葉 = 148
6. 終りに = 149
제4장 韓ㆍ日 間에서의 倫理道德의 基盤 = 151
1. 四端 및 유사 범주의 제시 = 152
2. 四端 적용의 比較 = 153
3. 結言 = 161
제5장 韓ㆍ日 間에서의 ''마이너스 이미지''의 語辭 -[지게꾼](原名:チゲックン)에 나타난- = 165
1. 「감정가치」의 하락 표현 : [-Image]의 표현 = 166
2. 「內外」인식의 차별 표현 = 168
3. 半島 意識 = 168
4. 皇民化 = 169
5. 표면 명목과 근본 저의(立て前と本根) = 170
6. 神格化 = 171
7. 神社와 神道 = 172
8. 그리스도교 迫害와 탄압 = 174
9. 추상적 罪名의 語辭 = 175
10. 結言 = 176
제6장 言語文化와 宗敎文化 -韓ㆍ日ㆍ美간의 對照- = 179
1.「福」관계 언어문화 = 180
2. 신(神)의 숭배 = 184
3. 개인주의(individualism) 언어문화와 집합주의(collectivism) 언어문화 = 187
4. 「나」와 「우리」 = 189
5. ''다르다''와 ''닮았다'' = 191
6. 結言 = 194
제7장 儒敎문화의 언어와 基督敎문화의 언어와의 대조 연구 = 197
1. ''예(禮)''의 개념 = 197
2. ''예(禮)''의 쓰임 = 198
3. 유교적 겸손과 기독교적 겸손 = 204
4. 結言 = 209
제3편 연구사편
제1장 일본에서의 한국어 연구사 개관 = 215
1. 친족 관계(계통론)의 연구 = 218
2. 대조 연구와 어학 교육 = 225
3. 비대조 연구 = 235
제2장 한ㆍ일어 대조 연구의 과제와 전망 = 243
1. 대조언어학의 연구 동향 = 243
2. 한ㆍ일어 대조 연구의 실태 분석 = 252
3. 문제점과 과제 = 278
제3장 한국 민법전(民法典)에 반영된 일본어식 격조사 용법 = 299
1. 법령문 순화의 선행 연구 = 299
2. 우리 법령의 수용 과정과 일본어투의 잔재 = 307
3. 일본어투 잔재의 영역 = 312
4. 일본어식 격조사 용법 = 314
5. 마무리 = 361
찾아보기 = 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