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제1장 생성 문법(Generative Grammar)의 격 이론(Case theory)
1.1 지배-결속 이론 하의 격 이론 = 2
1.1.1 격 이론의 대상: 추상격(abstract Case)대 형태격(morphological case) = 2
1.1.2 격의 종류: 구조격(structural Case)과 고유격(inherent Case) = 4
1.1.3 격의 부여 = 8
1.1.4 격 여과(Case Filter) = 11
1.1.5 격 여과와 이동 = 14
1.2 최소주의 하의 격 이론 = 15
1.2.1 일치소 기반 격 이론: Chomsky(1993, 1995) = 18
1.2.2 무일치소(Agr-less) 격 이론: Chomsky(1995) = 21
1.2.3 일치(Agree) 절차에 의한 격 이론: Chomsky(2000, 2001a, b) = 22
1.3 요약 = 25
제2장 조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2.1 구조격 조사 = 29
2.1.1 구조격 조사에 대한 기본적 검토 = 30
2.1.1.1 구조격 조사는 격의 실현인가 아닌가 = 30
2.1.1.1.1 구조격 조사의 이질성 = 30
2.1.1.1.2 주격 조사에 고유 의미가 있는가: 고석주(2002) 검토 = 33
2.1.1.1.2.1 구조격 조사가 나타날 수 없는 경우 = 34
2.1.1.1.2.2 구조격 조사가 반드시 나타나야 하는 경우들 = 40
2.1.1.1.2.3 정리 = 43
2.1.1.1.3 격 범주의 설정 여부 = 43
2.1.1.2 "명사+구조격 조사" 구성의 구조 = 45
2.1.1.3 정리 = 51
2.1.2 한국어의 속격 = 51
2.1.3 ''-께서''의 처리 = 54
2.1.4 요약 및 정리 = 60
2.2 의미격 조사 = 61
2.2.1 김영희(1999나) 검토 = 63
2.2.2 의미격 조사의 분석 = 71
2.2.3 정리 = 75
2.3 특수 조사 = 76
2.4 요약 및 결론 = 79
제3장 격 인가자를 찾아서
3.1 주격 인가자를 찾아서 = 83
3.1.1 일치소 인가론을 위해 = 85
3.1.1.1 일치소 인가론을 위한 긍정적 근거들 = 86
3.1.1.2 일치소 인가론에 대한 반론 및 재검토 = 87
3.1.1.2.1 인가 방식과 관련된 문제들 = 87
3.1.1.2.2 [화자 존대 의향] 일치 = 90
3.1.1.2.2.1 [존대]를 이용한 일치소 인가론: (12) = 90
3.1.1.2.2.2 (12가)에 대한 반론 = 91
3.1.1.2.2.3 (12나)에 대한 반론 = 94
3.1.1.2.2.4 반론에 대한 검토 1: ''-시/Ø''의 [화자 존대 의향]자질 = 96
3.1.1.2.2.5 반론에 대한 검토 2: ''-님''과 ''-께서''는 다르다 = 99
3.1.1.2.2.6 [화자 존대 의향]을 이용한 일치소 인가론 = 101
3.1.1.2.2.7 정리 및 요약 = 105
3.1.1.2.3 대용사 일치 효과(anaphor agreement effects) = 105
3.1.1.3 요약 = 107
3.1.2 주격은 자동격(default Case)인가 = 108
3.1.3 정리 및 제안: 격 인가의 여러 양상 = 110
3.2 대격 인가자를 찾아서 = 112
3.2.1 대격 인가에 대한 의미적 접근법 = 113
3.2.2 대격 인가에 대한 통사적 접근법 = 117
3.2.2.1 홍기선(1994) 검토 = 117
3.2.2.2 V 인가설 검토 = 120
3.2.3 정리 = 125
3.3. 정리 및 결론 = 126
제4장 의미격 조사와 주격 및 대격 조사 간의 교체
4.1 의미격 조사와 주격 조사 간의 교체 = 130
4.1.1 ''-에게/-에''와 주격 조사 간의 교체 = 130
4.1.2 ''-에서''와 주격 조사 간의 교체 = 145
4.2 의미격 조사와 대격 조사 간의 교체 = 147
4.3 격 교체의 양상 = 152
4.4 정리 = 155
제5장 속격 조사와 대격 조사 간의 교체
5.1 속격/대격 교체의 결정 요인 = 158
5.2 대격 중출 구성의 통사적 성격 및 구조 = 162
5.3 의미역 부여 문제: 두 대격 표현의 성격 = 169
5.4 대격 중출 = 172
5.5 정리 = 173
제6장 속격 조사와 주격 조사 간의 교체
6.1 서론 = 177
6.2 속격/주격 교체의 두 경우: "주어-보어" 구성 대 "이중/다중 주어" 구성 = 180
6.2.1 NP2의 서로 다른 통사적 양상 = 180
6.2.2 NP2의 서로 다른 통사적 양상의 구조적 기원 = 185
6.2.3 "부분" 명사의 경우 = 187
6.2.4 주격/속격 비교체: (5, 6)의 경우 = 194
6.2.5 정리 = 195
6.3 각 구성의 여러 성격들 = 196
6.3.1 "주어-보어" 구성 = 196
6.3.2 "이중/다중 주어" 구성 = 201
6.4 정리 및 요약 = 212
제7장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 간의 교체1: ECM 구문
7.1 ECM 구문에서의 주격/대격 교체 = 216
7.2 한국어 ECM 구문은 영어 ECM 구문과 다르다 = 217
7.3 한국어 ECM 구문과 "이중/다중 주어" 구성 간의 연관성 = 219
7.4 ECM 구문의 통사적 분석 = 224
7.5 정리 = 239
제8장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 간의 교체 2: 소망 구문
8.1 머리말 = 241
8.2 주격 목적어의 구조적 위치 그리고 주격 구성과 대격 구성 간의 관계 = 243
8.2.1 주격 목적어의 구조적 위치 = 243
8.2.2 주격 구성과 대격 구성 간의 관계 = 245
8.2.3 요약 = 247
8.3 대격 구성과 주격 구성의 차이 그리고 주격/대격 교체의 분석 = 247
8.3.1 복합 술어 분석 = 248
8.3.1.1 복합 술어 분석의 개념적 문제점 = 249
8.3.1.2 복합 술어 분석의 경험적 문제점: J. Lim(1997)과 E-J. Yoo(2002)를 중심으로 = 251
8.3.1.3 복합 술어 분석을 위한 근거의 재검토 = 253
8.3.1.4 요약 = 257
8.3.2 ''싶-''의 선택 특성에 의한 분석 = 257
8.3.2.1 J. Lim(1996, 1997) 및 Kim&Maling(1998) 검토 = 257
8.3.2.2 분석 = 260
8.4 결론 그리고 남은 문제들 = 269
제9장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 간의 교체 3: 어휘 피동 구문
9.1 다중 격 인가성을 이용한 접근법 = 275
9.2 다중격 접근법의 문제점 및 구조적 중의성에 의한 접근법 = 276
9.3 정리 및 남은 문제 = 283
제10장 주격 조사와 대격 조사 간의 교체 4: 장형 부정 구문
10.1 머리말 = 285
10.2 장형 부정 구문이 보이는 격 인가 양상의 특이성 = 289
10.3 기존 연구들 = 292
10.3.1 이동 분석 = 293
10.3.2 비이동 분석 = 295
10.3.3 비교 = 299
10.3.4 마무리 = 202
제11장 격 중출
11.1 격 중출 구문들 = 306
11.1.1 주격 중출 구문들 = 306
11.1.2 대격 중출 구문들 = 316
11.2 격 중출의 형식적 내용 = 321
11.2.1 격 인가자와 명사구 간의 일대일 관계의 유지 = 321
11.2.1.1 다중 격인가자 방안 = 321
11.2.1.2 일치 방안 = 329
11.2.1.3 정리 = 336
11.2.2 다중 격 인가 방안 = 337
11.3 마무리 = 348
제12장 격조사 결합(Case stacking)
12.1 의미격 조사 뒤에 오는 구조격 조사의 성격 = 351
12.1.1 Sch u ·· tze의 논증 = 353
12.1.2 의미격 조사와 같이 나타나는 ''-가''와 ''-를''은 구조격의 실현이다 = 353
12.1.2.1 긍정적 근거들 = 359
12.1.2.2 Sch u ·· tze가 제기한 문제점의 검토 = 365
12.1.2.3 Sch u ·· tze의 문제점 = 374
12.2 격조사 결합의 분포 = 378
12.3 격조사 결합은 왜 일어나는가? = 384
12.3.1 Gerdts&Youn(1988), C. Youn(1995), H.-S. Yoon(1996), D.-W. Yang(2000a):하나의 논항 사슬에 다중 격이 인가될 수 있다 = 384
12.3.2 Sch u ·· tze(1996, 2001): 의미격 조사만이 격이고 구조격 조사는 초점 표지이다 = 385
12.3.3 H.-S. Yoon(2004a): 격조사 결합은 대주어/대목적어에 대해서만 허용된다 = 386
12.3.4 대안: 격조사 결합은 의미격 조사가 의미역 표지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 387
12.4 마무리 = 396
제13장 부사적 명사구에 나타나는 격
13.1 머리말 = 399
13.2 부사적 명사구에 나타나는 격사조의 분포 = 401
13.2.1 부사적 명사구에 나타나는 격의 양상 = 402
13.2.1.1 동작 동사와 형용사의 경우 = 402
13.2.1.2 피동의 경우들 = 404
13.2.1.2.1 ''-어지/되-''의 경우 = 404
13.2.1.2.2 어휘 피동의 경우 = 409
13.2.1.3 동사 ''있-''의 경우 = 412
13.2.2 정리 및 분석 = 413
13.3 격을 허용하는 부사적 명사구의 성격 = 417
13.4 정리 및 요약 = 424
제14장 격조사의 비출현: 구조격의 형태적 비실현
14.1 머리말 = 427
14.2. 구조격 조사의 비출현 = 429
14.2.1 논항 성분
14.2.1.1 구조격 조사의 출편/비출현 양상 = 430
14.2.1.2 출현/비출현의 성격 = 434
14.2.1.2.1 홍용철(1994) 대 김용하(1999) = 434
14.2.1.2.2 김용하(1999)에 대한 수정안 = 442
14.2.1.2.3 인접성 문제 = 445
14.2.1.3 정리 및 요약 = 447
14.2.2 비논항 성분 = 448
14.2.3 구조적 조사의 출현/비출현을 결정짓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동, 의미역 영역, 또는 격인가 영역 = 452
14.2.4 요약 = 458
14.3 의미격 조사의 출현/비출현 = 459
14.4 구조격 조사의 비출현은 null D인가? = 468
14.5 정리 및 요약 = 471
제15장 한국어는 격 이론에 대해 무엇을 얘기하는가: 결론을 대신하여
15.1 격의 종류: 조사의 생성 통사론 = 473
15.1.1 조사의 통사적 성격 = 474
15.1.2 조사의 생략과 격조사 결합(Case stacking) = 477
15.2 격의 인가: 격 중출의 생성 통사론 = 480
15.3 격 여과 = 484
15.4 남은 문제들 = 486
참고문헌 = 487
색인 = 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