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1
1. 연구 목적 = 11
2. 연구사 = 16
3. 연구 방법 = 22
4. 연구 자료 = 25
4.1 이두자료 = 26
4.2 구결자료 = 26
4.3 15·6세기 자료 = 28
4.4 16세기 언간 자료 = 29
4.5 근대 국어 자료 = 29

제2장 기초적 논의 = 31
1. 문법 형태화와 공시태, 통시태 = 31
2. 형태부와 통사부 = 37
3. 형태소와 형태 = 43
4. 형성소와 구성소 = 50
5. 기능과 형태의 관련성 = 56
5.1 기능과 형태의 관계 = 56
5.2 형성소의 변화와 소멸 = 59
5.3 불연속 형태와 이동 = 65
5.4 문법 형태화의 원리 = 69

제3장 연결 어미 형성의 실제 = 75
1. 형성 유형의 분류 = 76
1.1 기원에 따른 분류 = 76
1.2 선어말 어미와의 결합에 따른 분류 = 78
2. ''-거늘''의 형성 = 79
2.1 문제 개괄 = 79
2.2 향가의 ''-乙'' = 82
2.3 이두와 구결의 ''-乙'' = 92
3. ''-ㄴ대''의 형성 = 108
3.1 문제 개괄 = 108
3.2 석독 구결의 ''-ろㄱム'' = 109
3.3 음독 구결의 ''-ㄱム'' = 112
3.4 향가의 ''-良焉多衣'' 해독에 대한 반성 = 115
4. ''-ㄴ댄'', ''-ㄴ댄''의 형성 = 125
4.1 문제 개괄 = 125
4.2 석독 구결의 ''-ㄱ ㅣ 十 ㄱ'' = 127
4.3 음독 구결의 ''-ㄱ 大 ㄱ '', ''-ㄱ ム ㄱ'' = 137
5. ''-거든''의 형성 = 143
5.1 문제 개괄 = 143
5.2 후기 중세국어의 ''-거든'' = 147
5.3 향가와 이두의 ''-等'' = 151
5.4 구결의 ''-尸のㄱ'', ''-のㄱ'' = 163
6. ''오대''의 형성 = 172
6.1 문제 개괄 = 172
6.2 후기 중세국어의 ''-오대'' = 175
6.3 이두의 ''-오대'' = 178
6.4 구결의 ''-올대''와 ''-오대'' = 181
6.5 향가의 ''-오대'' = 187
7. ''-ㄹ새''의 형성 = 189
7.1 문제 개괄 = 189
7.2 음독 구결의 ''-ㄹ새'' = 191
7.3 후기 중세국어의 ''-ㄹ새'' = 197
7.4 근대국어의 ''-ㄹ새'' = 199
7.5 향가의 ''-ㄹ새''에 대한 반성 = 202
8. ''-매''의 형성 = 204
8.1 문제 게괄 = 204
8.2 ''-오매''의 형성 = 208
8.3 15세기 이전의 자료에 나타나는 ''-매''에 대한 반성 = 218
9. ''-므로''의 형성 = 227
9.1 문제 개괄 = 227
9.2 연결 어미 ''-므로''의 형성 = 229
9.3 향가의 ''-므로'' 해독에 대한 반성 = 234
10. 연결 어미 형성의 시기 = 236

제4장 결론 = 239
1. 논의의 요약 = 239
2. 남은 문제 = 247

참고문헌 = 249
찾아보기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