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1장 언어와 문화
1. 말은 곧 그릇 = 14
2. 우리말의 뿌리 = 16
3. 고유어는 연어의 모천(母川) = 19
4. 말 속에 담긴 것 = 22

2장 우리말의 아름다움
1. 가장 한국적인 언어 = 28
2. 형태ㆍ어휘상의 특성 = 32
새 낱말을 만드는 기술 = 32
한자어의 고유어화 = 33
세 어휘군의 위상 = 36
고유어의 감각성 = 38
미각어의 감칠맛 = 40
상징어의 세계 = 43
3. 문장ㆍ담화에서의 특성 = 45
서술어 중심의 문장 = 45
상대 중심의 상황 의존형 = 47
주관적 간접화법 = 49
완곡어법 = 50

3장 우리말과 우리문화
언어와 문화 = 56
한국인의 정서 용어 = 58
1. 자연주의 언어 = 61
자연(自然)과 자유(自由) = 61
짓는 일과 삶 = 62
초가집과 온돌 = 64
오솔길의 자연성 = 66
세모시 옥색 치마 = 68
자연에의 관조 = 70
농경문화의 언어 = 70
무언(無言)의 언어 = 71
계절 용어의 운치 = 79
사계(四季)의 고유 이름 = 79
보릿고개와 바람꽃 = 82
비 오는 날의 풍경 = 83
철 따라 부는 바람 = 84
땅 이름에서의 자연지명 = 87
주관적 방위명 = 87
내외ㆍ전후ㆍ좌우 = 88
삭이고 푸는 문화 = 91
체념과 해소 = 91
''어차피''와 ''차라리'' = 92
심심풀이와 푸닥거리 = 94
삭임의 음료수 = 95
한국의 발효식품 = 97
식문화에서의 자연성 = 100
먹고 마시는 일 = 100
자연에서 얻는 나물 = 101
수렵에서 얻는 고기 = 102
조리 용어의 전통성 = 105
그릇의 고유 이름 = 107
한국문화는 깁는 문화 = 111
바느질 하는 여인 = 111
시집살이와 누비바지 = 113
2. 인본주의 언어 = 115
한국인의 인간관 = 115
인간ㆍ인간적 = 115
인간성ㆍ인정 = 117
인간 중심의 계량법 = 119
인체 위주의 의상 = 121
한국인의 얼굴 = 122
인간은 되어가는 존재 = 124
''-답다''와 됨됨이 = 124
한국인의 생사관 = 126
숨쉬기와 삶 = 126
죽음은 돌아가시는 일 = 127
죽음의 극복 = 129
한국인의 행복관 = 130
행복의 고유어 = 130
유머와 박수ㆍ갈채 = 132
웃음과 울음 = 134
슬픔의 곡절 = 135
한국인의 내일 = 137
사람과 사람 사이 = 139
나와 우리 = 139
한솥밥의 의미 = 140
나그네의 애수 = 143
너나들이와 한 가지 = 144
끈과 맺음의 사회 = 146
이웃과 담 = 148
서열에 따른 호칭 = 149
성(性)의 언어 = 151
우리말의 가족 호칭 = 155
3. 감성주의 언어 = 162
한국인의 감성 = 162
끼 있는 민족 = 163
놀이와 노래 = 165
놀이와 신바람 = 166
감성 언어의 현장 = 168
연달래ㆍ진달래ㆍ난달래 = 168
얼짱과 몸짱 = 169
한국인의 욕설 = 171
식생활에서의 감성 = 174
한민족은 탕 민족 = 174
매운맛의 민족성 = 176
무속과 감성 = 177
생활 속의 무속 = 177
신(神)의 고유어 = 179
악귀들의 이름 = 180
우리말의 주술성 = 182
보이지 않는 것과의 대화 = 182
덕담과 말의 씨 = 184
고맙습니다 = 186
비나이다 = 188
감성 언어의 뒤안 = 190
안개 언어 = 190
''-적(的)''과 ''-것'' = 192
한국인의 숫자관 = 194
''셈 치고''의 생리 = 196

4장 우리말의 고유 이름
1. 아리랑의 강, 한강 = 200
하나 되기 원하는 강 = 200
전설이 흐르는 아리수 = 202
나루터의 풍류 = 204
2. 지명과 전설 = 206
지명의 유래ㆍ전설ㆍ어원 = 206
고운담골과 삼년산 = 208
달래골과 월출산 = 211
울산바위와 울릉도 = 215
금정산과 ''새울이'' = 217
흰 새와 백령도 = 219
탄천과 고마내 = 221
3. 행정지명의 작명 = 224
작명에서의 지역 이기주의 = 224
금강시(錦江市)와 세종시 = 226
성남ㆍ광주ㆍ하남의 한산시(漢山市) = 228
4. 전철역 이름 = 232
바른 말 바른 표기 = 232
전철역 이름과 대학 = 234
고유지명의 역 이름 = 236

5장 언어생활의 반성
1. 우리말 순화를 위하여 = 240
우리말의 피폐 요인 = 240
된소리의 남용 = 244
극단적 표현법 = 248
파괴와 전쟁의 시대 = 248
막가파 언어 = 250
전ㆍ통언어상의 막글 = 252
2. 우리말 성경을 위하여 = 255
한국어 번역 한 세기 = 255
한글로 표기한 한자말 = 258
다듬어져야 할 어휘 = 260
한자말의 우리말화 = 262
하느님과 하나님 = 266

참고 문헌 =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