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9
1.1. 연구의 목적 = 9
1.2. 선행 연구 검토 = 11
1.3. 연구 방법 및 범위 = 16
1.4. 논의의 구성 = 20
제2장 형용사의 유형 분류 = 22
2.1. 형용사의 분류 기준과 방법 = 22
2.1.1. 형상(평가) 형용사 = 28
2.1.2. 성질(평가) 형용사 = 32
2.1.3. 순수 형상 형용사 = 34
2.1.4. 순수 평가 형용사 = 35
2.1.5. 심리 형용사 = 35
2.1.6. 감각 형용사 = 37
2.2. 경험주와 소유주 = 38
2.2.1. 형용사의 주어 = 42
2.2.2. 주격중출 구문에서의 주어성 여부 = 53
2.2.3. 여격주어 구문에서의 주어성 여부 = 57
제3장 형용사의 형태 및 통사 특징 = 62
3.1. 형태 특징 = 62
3.1.1. 형용사의 형태적 구성 = 63
3.1.2. 형용사의 파생 = 69
3.1.3. 형용사의 활용 = 71
3.1.4. 언어 유형론적 고찰 = 74
3.2. 통사 특징 = 78
3.2.1. 주격중출 구문과 여격주어 구문 = 78
3.2.1.1. 주격중출 구문의 논항 구조 = 78
3.2.1.2. 여격주어 구문의 논항 구조 = 81
3.2.2. 통사 구조 도식 = 83
3.2.2.1. Stowell(1991)의 논의 = 83
3.2.2.2. 형용사의 통사 구조 = 85
제4장 형용사 논항 구조 연구를 위한 기본 논의 = 92
4.1. 논항 교체와 논항 확장 = 92
4.2. 상적 특징과 사건 구조 = 103
제5장 경험주 계열 형용사의 논항 구조와 상적 특징 = 114
5.1. 심리 형용사 = 114
5.1.1. 논항 구조 = 117
5.1.2. 상적 특징 = 120
5.1.3. 생성 어휘부 이론 모델에 의한 어휘 의미 구조 = 130
5.1.4. 논항 교체 유형들의 ''중점'' = 136
5.2. 감각 형용사 = 138
5.2.1. 논항 구조 = 139
5.2.2. 상적 특징 = 140
제6장 소유주 계열 형용사의 논항 구조와 상적 특징 = 143
6.1. 성질 형용사 = 149
6.1.1. 논항 구조 = 149
6.1.2. 상적 특징 = 153
6.2. 형상 형용사 = 157
6.2.1. 논항 구조 = 158
6.2.2. 상적 특징 = 162
6.3. 장면적 층위와 개별적 층위 형용사 = 164
6.3.1. 각 형용사의 특성 및 차이점 = 165
6.3.2. 장면적 층위 형용사의 소유주 논항 = 170
제7장 주격중출 구문과 여격주어 구문 = 173
7.1. 주격중출 구문에 대한 선행 연구 = 174
7.2. 주격중출 구문과 여격주어 구문의 논항 구조 = 176
7.3. 주격중출 구문과 여격주어 구문의 통사적 특징 = 179
7.4. 주격중출 구문과 여격주어 구문의 차이점 = 181
7.4.1. Pustejovsky의 중점 및 초점 = 182
7.4.2. 주어의 주관성과 도달점역 = 183
제8장 결론 = 186
참고문헌 = 192
부록: 형용사 유형 목록 = 1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