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1부 한국어 경어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1장 경어법의 개념 인식과 연구 태도 = 15
1. 머리말 = 15
2. 사람들 관계 중심으로 경어법 이해하기 = 18
3. 언어 형식 중심으로 경어법 이해하기 = 23
4. 맺음말 = 36
2장 사회언어학적 경어법 연구의 현황과 과제 = 38
1. 머리말 = 38
2. 주요 경어법 현상과 연구 주제 = 39
3. 연구 대상 집단과 연구 방법 = 51
4. 국어 경어법 연구의 과제 = 61
3장 복수 인물 경어법의 쓰임과 원리 = 64
1. 머리말 = 64
2. 복수 인물 경어법의 쓰임 = 69
3. 복수 인물 경어법의 사용 원리 = 84
4. 맺음말 = 87
4장 변이와 변화 속의 경어법 = 89
1. 머리말 = 89
2. ''오시다'' 등의 형태와 기원 = 93
3. ''오시다'' 등의 쓰임과 분포 = 100
4. 변이형에 대한 태도와 언어 변화 = 120
5. 맺음말 = 129
〈부록: 설문 조사지〉 = 133
2부 힘과 거리 요인의 상호 작용
5장 ''감사합니다''와 ''고맙습니다'' = 139
1. 머리말 = 139
2. 어휘적 의미 및 역사적 쓰임 = 142
3. 청자 경어법 말 단계의 분포 = 150
4. 호칭어 영역별 쓰임 = 156
5. 맺음말 = 162
6장 ''미안해''와 ''죄송합니다'' = 165
1. 머리말 = 165
2. 어휘적 의미 및 의미 기능의 관련성 = 167
3. 청자 경어법 말 단계의 분포 = 173
4. 대화 참여자의 지위 관계 = 181
5. 맺음말 = 189
7장 ''부부''와 ''내외'' = 191
1. 머리말 = 191
2. 어휘적 의미의 분석 = 193
3. 쓰임과 분포의 분석 = 197
4. 쓰임의 정리 및 분포 차이 해석 = 208
5. 맺음말 = 212
8장 ''언니야'', ''오빠야'', ''누나야'', ''히야'' = 214
1. 머리말 = 214
2. ''친족 호칭어+야''의 쓰임 = 215
3. ''친족 호칭어+야''의 분포와 기능 = 226
4. 맺음말 = 238
9장 대통령 연설문의 경어법 = 240
1. 머리말 = 240
2. 문법적 경어법 = 242
3. 어휘적 경어법 = 251
4. 쓰임에 대한 정리와 해석 = 257
5. 맺음말 = 262
10장 남북한 정상에 대한 언론의 대우 = 264
1. 머리말 = 264
2. 가리킴말 사용 = 266
3. 주체 및 객체 경어법 사용 = 276
4. 쓰임의 차이점과 그 배경 = 284
5. 맺음말 = 290
11장 영남 지역 탈춤 언어의 경어법 = 293
1. 머리말 = 293
2. 선행 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 296
3. 계층별 언어 사용 = 300
4. 성별 언어 사용 = 308
5. 언어 사용과 변이의 배경 = 316
6. 맺음말 = 322
12장 중부 지역 탈춤 언어의 경어법 = 324
1. 머리말 = 324
2. ''힘'' 요인에 따른 경어법 사용 = 326
3. ''거리'' 요인에 따른 경어법 사용 = 343
4. 맺음말 = 352
참고문헌 = 355
찾아보기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