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차례 = 6
제1장 한국어 친족어의 용법 = 9
01 연구 범주의 설정 = 12
02 한국어 친족어의 사용양상 = 23
1.{부부(夫婦)}사이의 친족어 = 26
1.1 결혼한 여성 = 26
1.2 결혼한 남성 = 38
2.{부모(父母)}와{자녀}사이의 친족어 = 49
2.1 한 자녀와 부모 사이의 친족어 = 49
2.2{다(多)자녀}와{부모}사이의 친족어 = 54
3.{형제(兄弟)},{자매(姉妹)},{남매(男妹)}의 친족어 = 59
4.{손주}와{할아버지},{할머니}의 친족어 = 63
제2장 한국어 친족어의 확장 = 71
01{부부}를 구성하는 어휘소의 형식ㆍ의미 확장 = 74
1.{남편}= 76
2.{아내}= 92
2.1 결혼한 여성을 뜻하는 어휘소의 원형 설정 = 99
2.2{아내}와 다른 어휘소의 관계 = 103
가.{높임}의 속성을 가진 어휘소 :{부인(婦人)},{부인(夫人)}= 105
나.{한자}의 속성을 가진 어휘소 :{처(妻)}= 112
다.{새로움新}의 속성을 가진 어휘소 :{신부(新婦)},{색시},{각시}= 115
라.{낮춤}의 속성을 가진 어휘소 :{마누라},{여편네}= 120
3.{아버지}= 128
3.1{친(親)아버지}= 135
3.2{친족남성}= 138
3.3{-혈연의 아버지}= 141
3.4{아버지 또래의 남성}= 145
4.{어머니}= 147
4.1{친(親)어머니}= 155
4.2{친족 여성}= 158
4.3{-혈연의 어머니}= 163
4.4{어머니 또래의 여성}= 166
5.{할아버지}= 168
6.{할머니}= 177
02{아들}과{딸}= 191
1.{아들}= 192
2.{딸}= 196
03{형제(兄弟)}= 200
1.{형}= 201
2.{오빠}= 212
3.{누나}= 217
4.{언니}= 220
5.{동생}= 223
제3장 한국어 친족어의 의미 관계 = 229
01{남편}과{아내}= 233
02{아버지}와{어머니}= 240
03{아들}과{딸}= 246
04{형},{누나},{언니},{오빠}= 248
05{할아버지}와{할머니}= 251
06 한국어 친족어의 복합적 의미 관계 = 253
제4장 결론 = 259
찾아보기 = 265
참고문헌 = 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