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1
1.1 연구 목적과 기술 태도 = 11
1.2 연구 대상 및 방법 = 15

제2장 논의를 위한 기본 개념 = 23
2.1 단위문장의 형성 = 23
2.2 단위문장의 범위 및 한계 = 28
2.2.1 단위문장 형성의 요건 = 29
2.2.2 화용적 부하 = 36
2.3 문장의 대응양상 = 42
2.4 인접성 원리 = 49

제3장 단위문장의 구조적 기술 = 61
3.1 기준위치로서의 서술어 어간 = 61
3.2 기준위치로서의 주제어 = 69
3.2.1 주제어의 문법적 지위 = 71
3.2.2 주제어의 통사적 외현화 = 83
3.2.3 기준위치로의 처리 = 89
3.3 단위문장의 세 층위 = 92
3.4 기능소로서의 접사 = 107
3.4.1 통사적 파생에 대한문제 = 110
3.4.2 문형성의 기능소로서 접사 = 113
3.4.2.1 선행 요소의 핵성과 투사범주 = 115
3.4.2.2 접사의 통시적 해서거 = 120

제4장 전접 관계의 위계성 = 127
4.1 서술성 합성어 형성의 구조적 기제 = 127
4.2 통사적 결합가 기술 = 135
4.2.1 결합가 기술의 문법적 의의 = 136
4.2.1.1 이론적 문제 = 137
4.2.1.2 유표적 자유어순 = 139
4.2.2 결합가 양상 = 144
4.2.3 결합가 기술에서의 필수성 = 152
4.3 독립성분의 단위문장 내적 지위 = 156
4.3.1 독립성분의 개념 및 범위 = 157
4.3.2 독립성분의 특성 = 160
4.3.3 유리가능성 계층 = 168
4.3.4 결합가 기술의 확대 = 181

제5장 후접 관계의 위계성 = 187
5.1 어미들의 배열 = 187
5.2 교착소의 분리 기술 = 197
5.2.1 교착소와 교착소 실현의 일반적 현상 = 199
5.2.2 자율적 체제로서 교착과 층위 = 207
5.3 기능범주적 용언 = 217
5.3.1 보조용언과 양태용언의 기능범주적 특성 = 219
5.3.1.1 보조용언과 양태용언의 지위 = 219
5.3.1.2 용언의 연쇄 = 222
5.3.1.3 보조용언과 양태용언의 배합 = 227
5.3.2 보조용언의 구성적 특징과 통사적 표상 = 242
5.3.2.1 구성 및 선별성 = 242
5.3.2.2 외각범주 설정 = 245
5.4 ''NP + N(P)이/하다'' 구성 = 249
5.4.1 선행 단위 = 251
5.4.2 기능동사적 특성 = 259
5.4.3 ''이다''와 ''하다'' 실현의 상관성 = 264
5.4.3.1 실현 양상 = 265
5.4.3.2 정적 관계와 동적 관계 = 270
5.4.3.3 무표적 기제로서의 지위 = 275
제6장 결론 = 285

참고문헌 = 294
찾아보기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