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 5
제1부 몸과 언어 = 17
제1장 지칭에서 의미로 = 19
1. 머리말 = 19
2. 기술 이론 = 22
3. 인과 이론 = 26
4. 지칭을 넘어서 = 32
5. 맺는 말 = 41
제2장 로티와 언어의 우연성 = 43
1. 머리말 = 43
2. 언어의 우연성 = 45
3. 은유와 진리 = 50
4. 의사소통의 신체적 지반 = 55
5. 맺는 말 = 64
제3장 설의 지향주의적 의미 이론 = 67
1. 머리말 = 67
2. 지향성과 충족 조건 = 69
3. 네트워크와 배경 = 75
4. 의미의 산출과 제약 = 82
5. 맺는 말 = 87
제4장 들뢰즈와 시뮬라크르의 의미론 = 91
1. 머리말 = 91
2. 시뮬라크르의 존재론 = 93
3. 존재와 의미의 잘못된 만남 = 98
4. 신체화된 의미 = 103
5. 맺는 말 = 111
제5장 체험주의의 은유 이론 = 113
1. 머리말 = 113
2. 은유와 사고 = 115
3. 상상력의 구조 = 120
4. 철학적 함의 = 126
제6장 의미와 의미 지반 = 133
1. 머리말 = 133
2. 의미의 객관성 = 135
3. 심층 문법과 맥락 = 138
4. 의미 지반의 의미 = 142
5. 맺는 말 = 154
제7장 기호적 경험의 체험주의적 해명 = 157
1. 머리말 = 157
2. 은유적 사상으로서의 기호화 = 159
3. 기호화의 파편성 = 170
4. 해석의 여백 = 172
5. 맺는 말 = 180
제8장 가르기와 경험의 구조 = 183
1. 머리말 = 183
2. 인식을 넘어서 = 185
3. 가르기의 구조 = 190
4. 인간의 조건과 경험의 크기 = 199
5. 맺는 말 = 203
제2부 철학과 몸의 복권 = 205
제9장 몸의 철학적 담론 = 207
1. 머리말 = 207
2. 잊혀진 몸 = 209
3. 몸의 복권 = 213
4. 이성 없는 철학 = 220
5. 몸의 철학적 자리 = 230
제10장 이성의 이름 = 233
1. 머리말 = 233
2. 객관주의적 이성 = 235
3. 이성과 비이성의 화해 = 241
4. 이성의 후퇴 = 246
5. 맺는 말 = 253
제11장 실재론과 반실재론을 넘어서 = 257
1. 머리말 = 257
2. 세계와 마음 = 259
3. 경험의 두 층위 = 266
4. 경험과 이론화 = 272
5. 맺는 말 = 277
제12장 개념체계의 신체적 기반 = 279
1. 머리말 = 279
2. 개념체계와 번역의 비결정성 = 281
3. 개념의 신체적 근거와 개념체계의 구조 = 286
4. 개념체계의 변이와 제약 = 292
5. 맺는 말 = 299
제13장 비트겐슈타인의 상대주의 = 301
1. 머리말 = 301
2. 의미의 다원성과 상대주의의 문제 = 303
3. 삶의 형식과 다원성의 제약 = 310
4. 개념체계로서의 삶의 형식 = 315
5. 완화된 상대주의의 길 = 324
제14장 비트겐슈타인과 철학의 미래 = 327
1. 머리말 = 327
2. 철학적 환상과 치유 = 328
3. 일상성과 이론의 크기 = 333
4. 해체에서 재건으로 = 345
5. 맺는 말 = 350
참고문헌 = 352
찾아보기 =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