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Ⅰ. 고구려말이 신라말과 다른 언어였다고 하는데 대하여, 다시말하여 세나라시기 고구려, 백제, 신라의 언어관계문제에 대하여 = 11
1. 세 나라 말이 단일하였다고 보는 것은 《선입견》인가 = 11
2. 고대력사서적들의 증언 = 16
3. 어휘자료의 실태 = 25
4. 문자생활의 유물들 = 62
5. 어음체계의 재구(再構) = 78
6. 문법구조의 특성 = 91
7. 확증된 세나라 말의 단일성 = 100

Ⅱ. 고구려말이 알타이제어, 조선어 및 일본어를 련결하는 고리라고 하는데 대하여, 다시 말하여 조선어의 계통문제에 대하여 = 104
1. 《고구려어》등장의 력사적 배경 = 104
2. 《잃어진 고리》설정의 저의 = 113
3. 언어들 사이의 《직접적 관계》와 《간접적 관계》라고 하는 것 = 117
4. 언어자료들의 신빙성문제 = 123
5. 《알타이설》의 지반 = 129
6. 알타이제어와 조선어 = 134
7. 새로운 방법의 모색 = 150
8. 조선어와 일본어 = 154
9. 조선어의 계통 = 159

Ⅲ. 고루려말이 국어사의 대상으로 될 수 없다고 하는데 대하여, 다시 말하여 조선어발달에서의 고구려말의 역할문제에 대하여 = 166
1. 고대국어가 의미하는 것 = 166
2. 개성말은 신라어의 한 방언인가 = 171
3. 고려중앙어의 성립과 고구려말의 기여 = 177
4. 사라지지 않은 고구려말 = 189

Ⅳ. 언어연구에서 민족자주의식을 튼특히 지녀야 하는데 대하여, 다시말하여 민족어의 통일적 발달을 위한 왜 남북언어학자들의 과업문제에 대하여 = 198
1. 왜 민족분렬론을 반대해야 하는가 = 198
2. 민족자주의식이 가리키는 것 = 204
3. 민족어의 통일적 발달에로의 길 = 210

참고문헌 = 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