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어휘 의미의 생태적 추이 = 13
1. 언어의 생태적 현상 = 13
2. 어휘 의미 변화의 역학적 가설과 검증 = 17
요약 = 28

제2장 체언류어 = 31
Ⅰ. 「마리」와「머리」 = 31
1. 「마리」와「머리」의 분포 = 33
2. 「머리」의 다의성 분석 = 42
3. 「마리」의 어휘 분화 = 59
요약 = 63
Ⅱ. 「빋」과「값」 = 65
1. 「빋」과「값」의 유의성 = 68
2. 「빋」의 다의성과 의미 변화 = 90
요약 = 95
Ⅲ. 「줄」과「다」 = 98
1. 「줄」의 분포와 의미 = 103
2. 「다」의 분포와 의미 = 132
3. 「줄」과 「다」의 유의성 = 157
요약 = 162

제3장 용언류어 = 169
Ⅰ. 「싁싁하다」와「莊嚴하다」 = 169
1. 「싁싁하다」의 분포 = 170
2. 「싁싁하다」의 의미 변화 = 174
3. 「싁싀기」의 강의 부사적 기능 = 178
4. 「莊嚴하다」의 의미 = 181
요약 = 185
Ⅱ. 「사랑하다」와「생각하다」, 「너기다」 = 186
1. 「사랑하다」와「생각하다」의 유의 관계 = 188
2. 「너기다」의 통사 의미 = 197
요약 = 214
Ⅲ. 「어리다」와「졈다」 = 217
1. 「어리다」의 의미 분석 = 218
2. 「졈다」의 의미 분석 = 228
3. 양자의 의미 관계 = 235
요약 = 243
Ⅳ. 「짓다」와「맹갈다」 = 246
1. 「짓다」의 의미 분석 = 252
2. 「맹갈다」의 의미 분석 = 268
3. 양자의 대비 = 278
요약 = 284

제4장 부사류어 = 289
「맛」과「가장」 = 289
1. 피한정어와의 공기 관계 = 294
2. 통시적 의미 변화 = 307
요약 = 316

제5장 조사류어 = 319
「-만」과「-뿐」 = 319
1. 자료 분석 = 320
2. 통시적 고찰 = 336
3. ''한정''과 ''정도''의 상관성 = 341
요약 = 346

문헌 자료와 약호 = 349
참고문헌 = 351
찾아보기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