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9
1. 연구의 목적 = 9
2. 기존 논의의 검토와 연구의 관점 = 11
3. 논의의 구성 = 12

제2장 명령문의 조건과 범위 = 15
1. 명령문의 성립 조건 = 15
1.1. 의미·화행적 조건 = 15
1.2. 형태적 조건 = 17
1.3. 문말 억양 = 22
2. 명령문의 범위 = 25
2.1. 명령의 기원 = 28
2.2. 명령과 허락 = 32
2.3. 명령과 청유 = 38

제3장 명령문의 특성 = 43
1. 주어와 호격어 = 43
1.1. 주어와 호격어의 지시 대상 = 43
1.2. 주어의 생략 = 49
1.3. 주어의 인칭 = 67
1.4. 호격어의 기능과 형태 = 73
1.5. 주어와 호격어의 구별 = 80
2. 서술어 = 87
2.1. 서술어의 형태적 특성 = 87
2.2. 서술어의 제약 = 89
3. 부정명령 = 98

제4장 직접명령과 간접명령 = 109
1. 직접명령과 간접명령의 개념 = 109
2. 간접명령의 본질 = 110
3. 간접명령에서의 청자 대우 제약의 양상 = 120

제5장 명령형 종결 명령과 부사형 종결 명령 = 129
1. 간접적인 부정명령 기능의 어미 ''-(으)ㅁ'' = 131
2. 명령형 종결어미로서의 ''-(으)ㄹ 것''과 ''-도록'' = 135
3. ''-(으)ㄹ 것''과 ''-도록''의 화용상의 특징 = 140

제6장 결론 = 153

참고문헌 = 157
찾아보기 =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