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1
1.1 대상과 임무 = 1
1.2 죽은 자료와 살아있는 자료 = 4
1.3 이론과 방법 = 7
2. 언어의 분류 = 12
2.1 분류의 기준 = 12
2.2 언어의 계통(발생)적 분류 = 13
2.3 언어의 유형적 분류 = 18
2.4 언어의 지리적 분류 = 29
2.5 언어의 유형적 분류, 지리적 분류가 계통적 분류에 미치는 영향 = 32
3. 어족 = 34
3.1 언어의 친족관계에 대한 가설 = 34
3.2 형태변화, 어음대응 및 언어 친족관계의 결정 = 37
3.3 서면재료의 운용과 친족관계의 고찰 = 41
3.4 언어의 분화와 어족의 형성 = 49
4. 중국-티베트어족 = 53
4.1 중국-티베트어족의 가설과 그 주변언어 = 53
4.2 중국-티베트어족 언어의 두 가지 계통 분류 = 58
4.3 대립적인 분류원칙 = 67
4.4 감-타이(侗台), 먀오-야오(苗瑤) 두 어족 계통관계의 새로운 증명 = 78
5. 역사적 비교방법(상) : 객관적 근거와 재구 단계 = 87
5.1 역사적 비교방법 및 그 객관적 기초 = 87
5.2 자료의 수집과 선택 = 91
5.3 동원성분의 결정 = 93
5.4 연대순서의 결정 = 99
5.5 원시형식의 재구 = 109
5.6 祖語 = 118
5.7 역사적 비교방법의 성과와 한계 = 121
6. 역사적 비교방법(중) : 규칙과 예외 = 125
6.1 어음의 대응 규칙과 변천 규칙 = 125
6.2 그림(Grimm)의 법칙과 역사적 비교방법의 원형 = 127
6.3 그림의 법칙의 세 가지 예외의 해석과 역사적 비교방법의 개선 = 132
6.4 "음변화 규칙에는 예외가 없다"와 청년어법학파의 음변화 이론 = 137
6.5 예외 = 146
7. 역사적 비교방법(하) : 공간과 시간 = 152
7.1 시공간 결합의 원칙과 문헌자료의 운용 = 152
7.2 중국어 음운 연구에서 시간과 공간의 운용 = 158
7.3 자료의 부족이 언어사의 연구에 미치는 영향 = 164
7.4《切韻》의 성질에 대한 인식과 중국어사 연구의 이론적인 틀 = 170
7.5《切韻》과 방언의 연구 = 178
8. 구조분석법(상) : 구조와 음변화 = 188
8.1 언어체계 학설과 음변화 이론의 발전 = 188
8.2 음체계의 구조 = 192
8.3 쌍향대립과 음운변화의 체계성 = 195
8.4 단향대립과 음운변천의 특수성 = 199
8.5 발음기관의 발음능력 불평형과 음체계 중의 비대칭구조 = 210
8.6 대립의 중화 = 216
9. 구조분석법(중) : 음운의 연쇄변천과 음운체계의 변천 = 221
9.1 음변화(音變)와 추이 = 221
9.2 끌기연쇄(drag chain)와 밀기연쇄(push chain) = 226
9.3 순환적인 변화 = 236
10. 구조분석법(하) : 내적 재구 = 244
10.1 소쉬르의 원시 인구어 후두음의 재구와 내적 재구의 방법의 원형에 관하여 = 244
10.2 공란 = 248
10.3 불규칙적인 형태 교체와 내적 재구 = 253
10.4 내적 재구의 방법의 성과와 한계 = 259
11. 언어의 확산(상) : 지역 확산과 방언지리학 = 264
11.1 언어의 확산과 파동설 = 264
11.2 방언지리학의 흥기와 음변화 규칙설에 대한 충격 = 272
11.3 등어선과 방언 구역의 구분 = 279
11.4 "모든 어휘에는 자체의 역사가 있다" = 285
12. 언어의 확산(하) : 어휘확산 = 300
12.1 변형생성학파 이론의 약점과 어휘확산 이론의 탄생 = 300
12.2 어휘확산 이론의 기본 특징 = 303
12.3 어휘에서의 음변화의 확산과 산발적 음변화 = 307
12.4 산발적 음변화에서의 시간 층위와 그것의 변천 규칙 = 312
12.5 중단된 변화와 어음체계 중의 불규칙 현상 = 320
12.6 역사상 이미 완성된 음변화 확산의 해석 = 325
13. 언어의 변이(상) : ''질서 있는 이질성'' 이론과 언어사 연구의 새 영역 = 329
13.1 언어 변이와 ''질서 있는 이질성'' 이론 = 329
13.2 언어 변이의 연구와 음변화 이론의 새로운 진전 = 339
13.3 현재의 변이를 이용하여 과거의 변천을 해석한다 = 342
13.4 규칙과 불규칙의 상호 전환과 변이 이론의 발전 = 349
14. 언어의 변이(중) : 변이의 규칙과 어음체계의 조정 = 353
14.1 어음체계에서의 변이층과 변이층의 구조 = 353
14.2 음소의 점진적 변이와 계열적 음변화 = 358
14.3 단어에서 음류의 교체와 산발적 음변화 = 366
14.4 변이와 어음체계 구조 틀의 조정 = 377
14.5 어음체계 내부의 변이와 언어의 공간적 차이간의 내재적 연계 = 388
15. 언어의 변이(하) : 어법의 침투와 예외적 음변화 = 393
15.1 어음 변화 중의 어법 요소 = 393
15.2 특수한 예외와 그것의 원시 형식의 추측 = 397
15.3 원시형식의 성질의 확정 = 403
15.4 어법 수단의 약화와 잔존 형식의 출현 = 410
16. 文白異讀(상) : 중첩식 변이와 내적 재구의 방법 = 420
16.1 文白異讀의 발생과 체계에서의 중첩 = 420
16.2 중첩식 음변화와 산발적 음변화와의 구별 = 426
16.3 중첩식 음변화와 언어변화의 시간층위 = 441
16.4 중첩과 내적 재구의 방법의 개선 = 449
17. 文白異讀(하) : 중첩식 변이와 역사적 비교방법 = 457
17.1 文白異讀과 역사언어학 중 두 가지 대립적 이론 모델의 결합 = 457
17.2 중첩의 층위와 역사적 비교연구 = 465
17.3 구조패턴의 비교와 방언 사이 친소관계의 확정 = 473
17.4 文白異讀과 원시형식의 재구 =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