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총론

제1장 문법과 문법 연구
1.1. 문법이란 무엇인가
1.2. 문법의 영역과 연구방법

제2장 우리말 문법 현상의 특징
2.1. 형태적 특징
2.2. 통사적 특징


제2부형태론

제3장 형태소의 분석 방법과 단위들
3.1. 분석 방법
3.2. 형태소
3.3. 단어

제4장 품사 분류
4.1. 품사 분류에 대한 이해
4.2. 우리말의 품사 분류 기준과 품사 분류
4.3. 우리말의 품사 체계
4.4. 품사의 통용

제5장 체언과 그 쓰임
5.1. 명사
5.2. 대명사
5.3. 수사
5.4. 체언과 복수

제6장 용언과 그 쓰임
6.1. 동사
6.2. 형용사
6.3. 이다
6.4. 보조용언
6.5. 용언의 활용

제7장 수식언 및 독립언과 그 쓰임
7.1. 관형사
7.2. 부사
7.3. 감탄사

제8장 조사와 어미
8.1. 조사
8.1.1. 조사의 특징과 종류
8.1.2. 격조사
8.1.3. 접속조사
8.1.4. 보조사
8.1.5. 조사의 결합
8.2. 어미
8.2.1. 어미의 특성과 종류
8.2.2. 어말어미
8.2.3. 선어말어미
8.2.4. 어미의 결합

제9장 단어 형성의 원리
9.1. 단어의 짜임새
9.1.1. 조어론 연구의 두 가지 관점
9.1.2. 어간과 어근, 접사와 어미
9.1.3. 짜임새에 따른 단어의 분류
9.2. 파생법
9.2.1. 파생법과 파생접사
9.2.2. 접두파생법
9.2.3. 접미파생법
9.3. 합성법
9.3.1. 합성법과 합성어
9.3.2. 품사별 합성어
9.3.3. 반복합성어
9.4. 한자어 단어 형성
9.4.1. 한자어와 단어 형성
9.4.2. 한자어 파생법
9.4.3. 한자어 합성법


제3부통사론

제10장 문장의 구조와 성분
10.1. 기본문형과 문장의 성분
10.1.1. 기본문형의 설정
10.1.2. 문장 형성의 단위
10.1.3. 문장의 성립과 문장성분
10.2. 주성분
10.2.1. 주어
10.2.2. 서술어
10.2.3. 목적어와 보어
10.3. 부속성분
10.3.1. 관형어
10.3.2. 부사어
10.4. 독립성분

제11장 문장의 확장
11.1. 확장 방식에 따른 문장의 분류
11.2. 이어진 문장
11.2.1. 이어진 문장의 유형
11.2.2. 이어진 문장들의 통사적 차이
11.2.3. 이어진 문장의 구성과 통사적 제약
11.3. 안은 문장
11.3.1. 안은 문장의 범위와 구성
11.3.2. 명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11.3.3.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11.3.4. 부사절을 가진 안은 문장
11.3.5. 인용절을 가진 안은 문장
11.3.6. 서술절을 가진 안은 문장

제12장 일과 관련된 문법 범주
12.1. 부정
12.1.1. 부정과 부정문
12.1.2. 짧은 부정문과 긴 부정문
12.1.3. ‘안’ 부정문과 ‘못’ 부정문과 ‘말다’ 부정문
12.2. 피동
12.2.1. 피동과 피동문
12.2.2. 피동문의 유형
12.2.3. 피동문 형성과 관련된 문제들
12.2.4. 능격 표현
12.3. 사동
12.3.1. 사동과 사동문
12.3.2. 사동문의 유형과 의미

제13장 앎과 시간에 관련된 문법 범주
13.1. 서법
13.1.1. 서법이란 무엇인가
13.1.2. 직설법
13.1.3. 부정법
13.1.4. 회상법
13.1.5. 추측법
13.1.6. 원칙법과 확인법
13.1.7. 서법과 양태성, 시간성, 동작성
13.2. 시제
13.2.1. 현재시제
13.2.2. 과거시제
13.2.3. 미래시제
13.2.4. 시제와 시간성, 양태성, 동작성
13.3. 동작상
13.3.1. 동작상이란 무엇인가
13.3.2. 동작류와 동작성
13.3.3. 완료상
13.3.4. 진행상
13.3.5. 동작상과 양태성

제14장 사람과 관련된 문법 범주
14.1. 결어법
14.1.1. 문체법
14.1.2. 존비법
14.2. 공대법
14.2.1. 존경법
14.2.2. 겸손법


참고논저
용어풀이(glossary)
찾아보기
1. 문법용어
2. 문법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