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 Ⅴ

제1장 총론
1.1. 저술 목적 = 1
1.2. 저술 방법 = 3
1.3. 저술 내용 = 5

제2장 시상법에 대한 기본적 문제
2.1. 들어가기 = 7
2.2. 시제와 시간성 = 8
2.3. 동작상과 동작성 = 19
2.4. 서법과 양태성 = 29

제3장 현대어의 시상법 연구에 대한 비판적 회고
3.1. 들어가기 = 37
3.2. 해방 전의 서양인의 연구 = 38
3.3. 해방 전과 해방 공간의 한국인의 연구 = 45
3.4. 옛 소련과 북한 어학계의 연구 = 55
3.5. 해방 후의 외국인과 남한 어학계의 연구 = 68
3.6. 1980년대 이후의 남한, 일본, 유럽의 연구 = 82
3.6.1. 시상법에 대한 종합적 논의 = 83
3.6.2. 시상법의 개별 주제에 대한 논의 = 100
A. 시제 = 100
B. 동작류와 동작상 = 102
C. 동작류, 상황유형과 동작상 = 113
D. 서법과 양태성 = 120
3.7. 마무리 = 127

제4장 현대 한국어의 서법과 시제의 형태론적 제문제
4.1. 들어가기 = 131
4.2. 단순형 시제 형태의 분석 문제 = 131
4.3. 복합형 시제 형태의 분석 문제 = 134
4.4. '느, 더, 리, 니, 거'계열의 어미에 대한 분석 문제 = 136
4.4.1. 첫째 '느' 계열의 어미 = 137
4.4.2. 둘째 '더' 계열의 어미 = 144
4.4.3. 셋째 '(으)리' 계열의 어미 = 152
4.4.4. 넷째, '(으)니' 계열의 어미 = 159
4.4.5. 다섯째, '거' 계열의 어미 = 161
4.4.6. '느, 더, 리, 거' 계열과 문장구성소 = 162
4.5. 마무리 = 167

제5장 현대어의 서법 형태의 기능분석
5.1. 들어가기 = 173
5.2. 직설법과 부정법 = 175
5.2.1. 종결형 = 175
5.2.2. 연결형과 관형사형 = 180
5.2.3. 직설법 '-느$$E-_61$$'에 대한 해석 검토 = 187
5.3. 회상법 = 193
5.3.1. 종결형 = 193
5.3.2. 비종결형 = 198
A. 연결형 = 198
B. 관형사형 = 201
5.3.3. '-더-' 의 기능에 대한 제견해 = 203
5.3.4. '-더-' 와 증거양태, 시제, 동작상 = 212
5.3.5. '-더-' 와 시제, 동작상 = 213
A. 상대시제성과 시제의 꺾임 = 214
B. 視點 내지 時點의 이동 = 215
C. 인식시의 선시성 = 215
5.4. 추측법 = 216
5.5. 부차서법 - 원칙법과 확인법 - = 224
5.6. 문체법의 양태성 = 227
5.7. 마무릴 - 현대어의 서법체계 구축 - = 233

제6장 현대어의 시제 형태의 기능분석
6.1. 들어가기 = 235
6.2. 현재시제 = 236
6.2.1. 종결형 = 236
6.2.2. 비종결형 = 240
6.3. 과거시제 = 245
6.3.1. 종결형 = 245
6.3.2. 비종결형 = 251
6.4. 미래시제 = 255
6.4.1. 종결형 = 255
6.4.2. 비종결형 = 262
6.5. 복합형의 기능 = 265
6.5.1. '-었₁었₂-'에 나타나는'-었-₂'의 기능은 무엇인가 = 265
6.5.2. '-었₁겠₂'에 나타나는'-겠-₂'의 기능은 무엇인가 = 270
6.6. 비종결형과 인용구문의 시제해석 = 274
6.7. 마무리 - 현대어의 시제체계 구축 - = 282

제7장 현대어 동작상의 형태론과 기능분석
7.1. 들어가기 = 285
7.2. 동작류 = 286
7.3. 동작상의 형태론 = 289
7.4. 동작상 형태의 기능적 특수성 = 302
7.4.1. 동작상의 체계화에 관련되는 문제 = 302
7.4.2.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성의 문제 = 305
7.4.3. '-어 있다'와 '-고 있다'의 차이점과 공통점 = 309
7.4.4. 진행상과 완료상의 처소론 = 315
7.4.5. 중복적 형태의 동작상에 대한 해석 = 319
7.5. 마무리 = 325

제8장 중세어의 시상법과 그 변천
8.1. 들어가기 = 327
8.2. 중세어의 기본서법과 시간성, 동작성 = 328
8.2.1. 기존 연구의 내력과 문제점 = 328
8.2.2. 형태론적 제문제 = 332
8.2.3. 의미·기능적 제문제 = 340
8.3. 중세어의 부차서법과 양태·정감성 = 344
8.3.1. 확인법, 둘째설명법, 원칙법의 형태 정립에 관한 문제 = 344
8.3.2. 감동법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문제 = 352
8.3.3. 의미·기능적 제문제 = 359
8.4. 중세어의 동작상 = 363
8.4.1. 기존 연구의 내력과 문제점 = 363
8.4.2. 중세어 동작상의 형태론 = 367
8.4.3. '-어 잇다, -고 잇다, -어 하다'의 공통점과 차이점 = 370
8.4.4. 마무리 = 377
8.5. 한국어 시상법의 형태 및 기능 변화 = 379
8.5.1. 기존 연구의 내력과 문제점 = 379
8.5.2. 부정법의 소멸과 과거시제의 생성 = 388
8.5.3. 직설법, 회상법의 형태 및 기능 변화 = 394
A. 설명법과 접속연결형에 나타나는 직설법 '-나-'의 형태 및 기능 변화 = 394
B. 종결설명법과 접속연결형에 나타나는 회상법의 형태 및 기능의 변화 = 399
C.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기본서법의 형태 및 기능 변화 = 403
8.5.4. 부차서법의 형태 및 기능변화 = 407
A. 확인법 = 408
B. 감동법 = 410
8.5.5. 동작상의 기능변화와 과거 및 미래시제의 생성 = 412
A. 완료상의 기능변화 = 412
B. 진행상의 기능변화와 그 확대적 적용 = 416
C. 예정상의 기능변질과 미래시제의 생성 = 418
8.5.6. 미래시제의 확대사용과 추측법의 형태 및 기능 위축 = 425
8.5.7. 마무리 = 432

제9장 한국방언의 시상법
9.1. 들어가기 = 435
9.2. 동남방언 = 438
9.2.1. 서법 = 438
9.2.2. 시제 = 442
9.2.3. 동작상 = 444
9.3. 서남방언 = 445
9.3.1. 서법 = 445
9.3.2. 시제 = 447
9.3.3. 동작상 = 449
9.4. 서북·동북 방언 = 449
9.4.1. 서북방언 = 449
9.4.2. 동북방언 = 451
9.5. 제주방언 = 453
9.5.1. 기존 연구의 내력과 문제점 = 453
9.5.2. 서법 = 454
9.5.3. 동작상 = 458
9.7. 마무리 = 461

제10장 휘갑
10.1. 간추림 = 463
10.2. 종합적 논의 = 466
10.3. 마무리 -내다보기- = 472

영문요약(English Summary) = 475
참고논저 = 483
찾아보기 = 509
1.고유멍사(임명, 단체, 뭄헌/작품, 언어) =509
2. 사항 = 509
3. 문법형태 = 523
붙임말 = 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