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Ⅰ. 등위 접속문의 통사 특성
1. 들머리 = 9
2. 공통적 특성 = 11
3. 유형별 특성 = 34
4. 맺음말 = 43
Ⅱ. 등위 접속문의 지우기
1. 들머리 = 45
2. 주변성 조건 = 48
3. 한 방향 조건 = 52
4. 필수 성분 조건 = 57
5. 유표격 조건 = 59
6. 평형성 조건 = 63
7. 병렬 접속문 조건 = 66
8. 맺음말 = 70
Ⅲ. 종속 접속문의 통사적 양상
1. 들머리 = 73
2. 선행절의 종속성 = 75
3. 내포절로서의 선행절 = 84
4. 두가지 구조적 유형 = 89
5. 맺음말 = 97
Ⅳ. 셈숱말로서의 정도 부사
1. 들머리 = 99
2. 가정 = 101
3. 부사어 지우기 = 103
4. 셈숱말 지우기 = 113
5. 기술 방안 = 120
6. 맺음말 = 128
Ⅴ. 특칭의 통칭화 구문
1. 들머리 = 131
2. 의미 특성 = 133
3. 통사 현상 = 138
4. 맺음말 = 144
Ⅵ. 셈숱말 ''각각''의 문법
1. 들머리 = 147
2. 문법 범주 = 149
3. 개체 셈숱말로서의 ''각각'' = 152
4. 집합의 개체화의 통사 구조 = 156
5. 곱셈 관계 형성 = 165
6. 맺음말 = 170
Ⅶ. 셈숱말의 영역과 셈숱말 올리기
1. 들머리 = 173
2. 묶기 이론 대 생성 의미론 = 176
3. 셈숱말 올리기의 문제점 = 180
4. 한국어의 셈숱말 영역에 대한 통사론 = 193
5. 맺음말 = 199
Ⅷ. 문장 셈숱말의 대격 표시
1. 들머리 = 201
2. 부수 성분으로서의 대격 표시 명사구 = 203
3. 문장 셈숱말로서의 대격 표시 명사구 = 207
4. 문장 셈숱화 구문의 기저 구조 = 209
5. 대격 표시의 기제 = 214
6. 맺음말 = 218
Ⅸ. 목적어 올리기
1. 들머리 = 221
2. 어휘론적 분석 = 224
3. 통사론적 분석 = 241
4. 맺음말 = 260
Ⅹ. 무표격의 조건
1. 들머리 = 263
2. 의미론적 조건 = 265
3. 통사론적 조건 = 276
4. 무표격과 격 표시 절차 = 286
5. 맺음말 = 291
ⅩⅠ. ''-게 하-'' 사동 구문의 세 유형
1. 들머리 = 293
2. 절 합병 가설 = 296
3. 성분 구조 = 305
4. 동지표 구문 설의 허와 실 = 309
5. 각 유형의 의미 특성 = 316
6. 대격 사동 구문과 여격 사동 구문 = 321
7. 맺음말 = 326
ⅩⅡ. 명사구 동격 구성의 한 유형
1. 들머리 = 329
2. 명사구 동격 구성의 유형 = 331
3. 동격 성분들의 통사적 지위 = 336
4. 겹주어, 겹목적어 구문과의 비교 = 344
5. 맺음말 = 351
ⅩⅢ. 제시어의 문법
1. 들머리 = 355
2. 제시어의 기능 = 357
3. 제시어 구문의 통사 특성 = 361
4. 성분 제시어 = 378
5. 맺음말 = 384
ⅩⅣ. 의존 동사 구문의 통사 표상
1. 들머리 = 387
2. 형태론적 구성체로 볼 수 있는 근거 = 388
3. 통사론적 구성체로 볼 수 있는 근거 = 404
4. 통사 구조 = 411
5. 맺음말 = 420
참고문헌 = 423
찾아보기 =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