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1.1. 한국어 연구에 있어서의 필요성
1.1.2.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필요성
1.2. 연구 대상 및 연구 자료
1.3. 선행 연구 검토
1.3.1. 중국에서의 선행 연구
1.3.2. 한국에서의 선행 연구
1.3.2.1. 언어학적 연구
1.3.2.2. 한국어 교육적 연구
1.4.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
1.5. 논의의 구성

2. 문법연어와 관련된 기본 문제
2.1. 연어의 개념과 특성 및 유형
2.1.1. 연어의 개념
2.1.2. 연어의 특성
2.1.3. 연어의 유형
2.1.3.1. 어휘연어
2.1.3.2. 문법연어
2.1.3.3. 어휘연어와 문법연어의 차이점
2.2. 문법연어 용어의 선정 근거
2.3. 문법연어의 범위 구성
2.3.1. 둘 이상의 문법소만으로 구성된 복합형 문법 항목
2.3.1.1. 단일 어절로 구성된 것
2.3.1.2. 두 어절 이상으로 구성된 것
2.3.2. 둘 이상의 문법소와 어휘소로 구성된 복합형 문법 항목
2.3.2.1. 단일 어절로 구성된 것
2.3.2.2. 두 어절 이상으로 구성된 것
2.4. 문법연어의 판정 기준

3. 문법연어의 생성
3.1. 문법연어의 생성 동기
3.1.1. 언어경제성 원리
3.1.2. 표현 효과의 추구
3.1.2.1. 보완형 문법연어
3.1.2.2. 다양형 문법연어
3.1.2.3. 강조형 문법연어
3.1.2.4. 완곡형 문법연어
3.2. 문법연어의 생성 과정
3.2.1. 한국어의 문법화 이론
3.2.2. 체언의 문법화
3.2.2.1. 자립명사의 문법화
3.2.2.2. 의존명사의 문법화
3.2.3. 용언의 문법화

4. 문법연어의 분류
4.1. 언어의 내재적 요소에 따른 문법연어의 분류
4.1.1. 한국어 품사 분류의 기준 이론
4.1.2. 형태적 분류
4.1.2.1. 조사적 문법연어
4.1.2.2. 어미적 문법연어
4.1.3. 기능적 분류
4.1.3.1. 부사성 문법연어
4.1.3.2. 서술성 문법연어
4.1.3.3. 관형성 문법연어
4.1.3.4. 명사성 문법연어
4.1.4. 의미적 분류
4.1.4.1. 시간적 문법연어
4.1.4.2. 존대적 문법연어
4.1.4.3. 부정적 문법연어
4.1.4.4. 피동?사동적 문법연어
4.1.4.5. 양태적 문법연어
4.1.4.6. 객관 전달적 문법연어
4.2. 언어의 외재적 요소에 따른 문법연어의 분류
4.2.1. 사용 빈도에 따른 분류
4.2.1.1. 고빈도 문법연어
4.2.1.2. 저빈도 문법연어
4.2.2. 사용 문체에 따른 분류
4.2.2.1. 구어체 문법연어
4.2.2.2. 문어체 문법연어
4.2.2.3. 혼용체 문법연어
4.2.3. 교육 목적에 따른 분류

5. 문법연어의 의미적 특성
5.1. 문법연어의 의미
5.2. 문법연어의 의미관계
5.2.1. 유의관계
5.2.2. 다의관계
5.2.3. 반의관계
5.3. 문법연어의 의미 투명성
5.3.1. 투명도의 개념과 판정 기준
5.3.2. 투명 문법연어
5.3.3. 반투명 문법연어
5.3.3.1. 어휘소에 의한 반투명 문법연어
5.3.3.2. 문법소에 의한 반투명 문법연어
5.3.3.3. 어휘소와 문법소에 의한 반투명 문법연어

6.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법연어
6.1. 국내외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문법연어 항목의 문제점
6.1.1. 중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
6.1.2. 한국 출판 한국어 교재의 문제점
6.2. 학습자들의 언어생활에 도움이 되는 문법연어의 활용 방안
6.2.1. 문법연어 항목 선정
6.2.2. 문법연어 항목 표기
6.2.3. 문법연어 내용 기술
6.2.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정독 교재 문법연어 단원 구성 방안
6.3. 효율적인 문법연어의 교수?학습법
6.3.1. 구문환경의 개념
6.3.2. 문법연어 교수?학습에서의 구문환경 분석의 중요성
6.3.3. 문법연어의 구문에 영향을 주는 요소
6.3.3.1. 언어적 구문환경
6.3.3.2. 사회적 구문환경
6.3.4.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문법연어의 구문환경 분석

7. 결론

연구 자료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