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체재와 구성 / 최호철
1. 머리말 = 11
2.〈국어〉교과와〈문법〉교과 = 15
3. 문법 교과서 명칭 = 22
4. 단원의 구성 = 24
5. 단원의 내용 = 33
5.1 총설 부문의 내용 = 33
5.2 본문의 내용 = 35
5.3 부록의 내용 = 42
6. 맺음말 = 44
Ⅱ. 체언 / 이유경
1. 서론 = 49
2. 문법 교과서에서 체언 단원의 위상 = 51
2.1 체언의 품사론 내 위치 = 52
2.2 체언의 명칭 = 53
3. 시기별 내용 고찰 = 54
3.1 전기(1949-190): 체언에 대한 개념이 통일되지 않은 시기 = 55
3.2 후기(1961-현재): 체언에 대한 개념이 통일된 시기 = 68
4. 체언 단원의 문법 교과서 기술을 위한 제언 = 92
4.1 체재 = 92
4.2 내용 = 93
5. 결론 = 100
Ⅲ. 용언 / 박상진
1. 서론 = 103
1.1 연구 목적과 방법 = 103
1.2 연구 범위와 대상 = 104
1.3 선행 연구 = 106
2. 문법 교과서 내 용언 단원의 위치 = 108
3. 시기별 고찰 = 113
3.1 제1기(1949-1959): 형용사ㆍ존재사ㆍ지정사 혼재 = 114
3.2 제2기(1960-1978): 형용사ㆍ지정사 혼재 = 141
3.3 제3기(1979-현재): 형용사 확립 = 172
4. 문법 교과서의 용언 단원 기술 제안 = 190
4.1 내용 = 190
4.2 구성 = 192
5. 결론 = 195
Ⅳ. 수식언과 독립언 / 김혜령
1. 서론 = 199
1.1 연구의 목적 및 대상 = 199
1.2 선행연구 = 200
2. 문법 교과서 내 수식언, 독립언 단원의 위치 = 202
2.1 품사론 내 수식언 및 독립언의 위치 = 202
2.2 수식언, 독립언의 주제별 분류 = 205
3. 주제별 고찰 = 209
3.1 수식언과 독립언의 통합 = 210
3.2 수식언과 독립언의 분리 = 219
4. 수식언, 독립언 단어의 문법 교과서 기술 제언 = 230
4.1 체재 = 231
4.2 내용 = 233
5. 결론 = 237
Ⅴ. 조사 / 장미경
1. 서론 = 241
1.1 연구 목적 및 대상 = 241
1.2 선행 연구 검토 = 242
2. 문법 교과서 내 조사 단원의 위상 = 246
2.1 조사 단원의 위치 = 247
2.2 조사 단원의 범위 = 254
3. 시기별 내용 고찰 = 258
3.1 전기(1949-1984): 분류 체계 혼재 시기 = 259
3.2 후기(1985-현재): 분류 체계 통일 시기 = 272
4. 조사 단원의 문법 교과서 기술 제안 = 276
4.1 위치와 구성 = 278
4.2 내용 = 280
5. 결론 = 286
Ⅵ. 어미 / 문혜심
1. 서론 = 289
1.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 289
1.2 선행 연구 검토 = 291
2. 문법 교과서 내 활용론 단원의 위치 = 295
2.1 총론의 부속 항목 = 295
2.2 품사론의 부속 항목 = 296
2.3 문장론의 부속 항목 = 299
2.4 형태론의 부속 항목 = 299
2.5 단어론의 부속 항목 = 301
3. 시기별 고찰 = 302
3.1 제1기(1949-1965): 토와 어말 어미가 분리되는 시기 = 303
3.2 제2기(1966-1984): 어말 어미의 체계가 마련되는 시기 = 315
3.3 제3기(1985-현재): 선어말 어미 체계가 마련되는 시기 = 325
4. 활용론의 문법 교과서 기술 제언 = 329
4.1 위치와 명칭 = 329
4.2 구성 및 내용 = 331
5. 결론 = 334
Ⅶ. 조어법 / 김숙정
1. 서론 = 337
1.1 연구 목적 및 의의 = 337
1.2 선행 연구 = 339
2. 문법 교과서 내 조어법 단원의 위치 = 340
2.1 독립 항목의 조어법 = 341
2.2 부속 항목의 조어법 = 342
3. 시기별 내용 고찰 = 347
3.1 시기 구분 = 347
3.2 제1기(1949-1967): 교과서 내에 조어법 단원의 위치가 미정인 시기 = 350
3.3 제2기(1968-1978): 교과서 내에 조어법 단원의 위치가 마련된 시기 = 370
3.4 제3기(1979-현재): 교과서 내에 조어법 단원의 위치가 통일된 시기 = 386
4. 조어법 단원의 문법 교과서 기술을 위한 제안 = 391
4.1 위치와 명칭 = 391
4.2 구성 및 내용 = 394
5. 결론 = 399
Ⅷ. 문장 성분 / 이숙경
1. 서론 = 403
1.1 연구의 목적 = 403
1.2 선행 연구 = 404
2. 문법 교과서 내 문장 성분의 위치 = 405
2.1〈총론〉과〈문장론〉에서 문장 성분을 다루는 교과서 = 406
2.2〈문장론〉내부에서 문장 성분을 독립적으로 다루는 교과서 = 407
2.3〈문장론〉내부에서 기본 문형을 중심으로 다루는 교과서 = 408
2.4 기타 = 409
3. 문장 성분의 하위 유형 설정 및 시기 구분 = 412
4. 시기별 고찰 = 416
4.1 제1기(1949-1955): 초기 7성분 체계 = 416
4.2 제2기(1956-1967): 보어와 독립어 설정의 유동기 = 432
4.3 제3기(1968-1984): 독립어와 접속어 설정의 혼란기 = 443
4.4 제4기(1985-현재): 통일 7성분 체계 = 481
5. 문장 성분의 문법 교과서 기술 제언 = 493
5.1 위치와 명칭 = 493
5.2 구성 및 내용 = 494
6. 결론 = 502
Ⅸ. 구문 도해 / 장수진
1. 서론 = 505
1.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 505
1.2 선행 연구 = 507
2. 구문 도해의 문법 교과서 내 위치 검토 = 508
2.1 구문 도해를 다루고 있는 문법 교과서 = 509
2.2 구문 도해를 다루지 않는 문법 교과서 = 514
2.3 구문 도해의 시기 구분 및 문법적 위치 설정 = 516
3. 시기별 내용 분석 = 519
3.1 제1기(1949-1955): 구분 도해 수용기 = 520
3.2 제2기(1956-1984): 구분 도해 융성기 = 530
3.3 제3기(1985-현재): 구문 도해 소멸기 = 551
4. 문법 교과서 구문 도해 기술 제안 = 560
4.1 구문 도해 설정 = 561
4.2 체재 = 562
5. 결론 = 565
Ⅹ. 음운론 / 김보라
1. 서론 = 569
1.1 연구 목적과 범위 = 569
1.2 선행 연구 = 571
2. 문법 교과서 내 음운론의 위치와 시기 구분 = 573
2.1 독립 단원으로 다루어진 음운론 = 573
2.2 부속 단원으로 다루어진 음운론 = 575
2.3 음운론의 위치에 따른 시기 구분 = 576
3. 시기별 내용 고찰 = 578
3.1 전기(1949∼1978): 음운론 문법 영역으로 확립되지 않은 시기 = 578
3.2 후기(1979∼현재): 음운론 문법 영역으로 확립된 시기 = 614
4. 음운론 단원의 문법 교과서 기술을 위한 제언 = 633
4.1 음운론 단원의 위치와 명칭 = 634
4.2 음운론 단원의 내용 = 635
5. 결론 = 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