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장 머리말 = 11
1. 연구 목적 = 11
2. 흉내말의 성격 = 12
2.1. 흉내말의 정의 = 12
2.2. 흉내말의 판단 조건 = 15
2.3. 흉내말의 영역 = 19
2.4. 기초 자료의 통계적 검토 = 26
3. 연구 대상 = 42
4. 연구 방법 = 44
5. 흉내말 연구의 흐름 = 45

제2장 흉내말의 형태적 특성 = 53
1. 들어가기 = 53
2. 흉내말의 형태 구조 = 54
2.1. 흉내말의 형태론적 분석 = 54
2.2. 상징소 설정의 근거 = 66
2.3. 상징소 설정의 방법 = 75
2.4. 상징소 설정의 의의 = 78
3. 흉내말의 낱말 만들기 = 82
3.1. 들어가기 = 82
3.2. 풀이씨 만들기 = 84
3.3. 이름씨 만들기 = 121
3.4. 어찌씨 만들기 = 126
4. 정리 = 135

제3장 흉내말의 통어적 특성 = 137
1. 들어가기 = 137
2. 흉내말의 통어적 기능 = 138
2.1. 어찌말 기능 = 138
2.2. 매김말 기능 = 141
2.3. 느낌말 기능 = 142
2.4. 풀이말 기능 = 143
3. 흉내말의 통어적 제약 = 145
3.1. 대상어, 피수식어 선택 제약 = 145
3.2. 위치 제약 = 149
4. 개별 흉내말의 통어적 특성 = 151
5. 정리 = 221

제4장 흉내말의 의미적 특성 = 223
1. 들어가기 = 223
2. 음운적 층위의 의미 실현 = 225
2.1. 음운 대응에 의한 의미 실현 = 225
2.2. 홀소리 대응의 의미 기능 = 227
2.3. 닿소리 대응의 의미 기능 = 233
3. 형식에 의한 의미 실현 = 243
4. 흉내말의 의미 체계 = 246
4.1. 다의어/동음이의어 = 246
4.2. 동의어/유의어 = 253
5. 화용론적 특성 = 255
6. 정리 = 257

제5장 흉내말의 체계적 특성 = 259
1. 들어가기 = 259
2. 빈칸의 갈래 = 260
3. 흉내말 체계의 빈칸 = 262
3.1. 흉내말 체계에서의 빈칸의 유형 = 262
3.2. 홀소리 대응규칙에서 나타나는 빈칸 = 266
3.3. 닿소리 대응규칙에서 나타나는 빈칸 = 268
3.4. 빈칸이 나타나는 이유 = 270
3.5. 빈칸의 가치 = 279
3.6. 빈칸 채우기 = 293
4. 정리 = 296

제6장 맺음말 = 299

참고문헌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