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서론 = 11
1.1 의미이론의 적합성 = 13
1.2 형식 의미론의 기본 가정 = 16

제2장 합성성의 원리 = 21

제3절 의미표시 = 29
3.1 지시와 어의 = 31
3.1.1 지시 = 31
3.1.2 지시이론의 문제점 = 33
3.1.3 어의 = 36
3.2 지시적 표현 = 39
3.3 외연과 내포 = 42

제4장 의미관계 = 45
4.1 문장의 의미속성 = 47
4.2 어휘의 어의관계 = 50
4.2.1 동의관계 = 50
4.2.2 하의관계 = 51
4.2.3 반의관계 = 52
4.3 문장의 의미관계 = 55
4.3.1 함의와 전제관계 = 55
4.3.2.1 함의 = 55
4.3.1.2 전제 = 61
4.3.2 모순 관계 = 64

제5장 중의성 = 67
5.1 어휘적 중의성 = 70
5.2 구조적 중의성 = 73
5.3 적용역 주의성 = 75

제6장 술어논리어와 의미해석 = 79
6.1 술어와 논항 = 83
6.1.1 술어논리어의 통사구조 = 83
6.1.2 술어논리어로의 번역 = 85
6.1.2.1 자동사와 타동사 = 85
6.1.2.2 등가문과 서술적 형용사 = 91
6.2 술어논리어 표현의 해석 = 94
6.2.1 모형이론 = 94
6.2.2 집합이론 = 100
6.2.3 술어정항 해석 = 103

제7장 복합문장과 복합공식 = 111
7.1 복합공식으로서의 번역 = 113
7.2 복합공식의 해석 = 118
7.2.1 부정연산자 = 118
7.2.2 연결어 = 121
7.2.2.1 연접 = 121
7.2.2.2 이접 = 127
7.2.2.3 조건 = 131
7.2.2.4 등치 = 135

제8장 유형이론 = 139
8.1 술어논리의 문제점 = 141
8.2 유형논리어 = 144
8.2.1 의미유형 = 145
8.2.2 유형논리어로의 번역 = 150
8.3 유형논리어의 해석 = 155
8.3.1 집합이론과 함수 = 155
8.3.2 유형논리어의 의미표시 = 162
8.3.3 부사의 해석 = 171

제9장 람다 연산자 = 177
9.1 람다 연산자의 도입 = 179
9.1.1 수동태 번역의 문제점 = 179
9.1.2 명제함수 = 183
9.1.3 람다추출 = 185
9.1.4 람다전환 = 186
9.2 람다표현의 해석 = 189
9.3 수동태의 번역 = 196
9.4. 람다표현의 일반화 = 199
9.5 복합문장의 람다표현 = 207

제10장 양화현상 = 215
10.1 논리적 양화사의 도입 = 217
10.2 양화명사구의 번역 = 220
10.2.1 양화사 = 220
10.2.2 Every와 Some의 번역 = 225
10.2.3 양화현상과 부정 = 232
10.2.4 명사 수식어의 번역 = 236
10.2.5 고유명사와 한정명사구 = 241
10.3 합성구조 = 246
10.3.1 집합이론적 광법에 의한 의미해석 = 246
10.3.2 양화사 인상 = 250
10.4 양화사 작용역 = 259

참고문헌 = 269
연습문제풀이 =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