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제 1장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1. 한글 이전의 문자생활 = 010
[그림1] 광개토대왕비 = 012
[그림2] 단양 적성비 = 013
[그림3] 대명률직해 = 013
[그림4] 불국사 무구정광탑 중수기 = 019
[그림5] “화엄경” 중 일부 = 020
[그림6]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 020
[그림7]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 020
[그림8]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 020
[그림9] 점토의 기입영역 = 0122
[그림10] 점도 = 022
[그림11] “구역인왕경” 상권 중 2장 = 024
[표 1] 석독 구결 자료의 구결자 목록 = 027

2. 한글의 창제와 “훈민정음” 반포 = 030
가. 한글의 창제 배경과 과정 = 030
[그림12] ‘정인지 서문’중 일부 = 031
[그림13] 최만리 등 ‘갑자상소문’ = 034
나. 새로운 문자 한글과 그에 대한 해설서의 탄생 = 36
[그림14] 훈민정은 창제 관련 기사 = 036
[그림15] 훈민정음 창제 관련 기사 = 036
[그림16] “훈민정음”(해례본) = 037
[그림17] 속칭 “훈민정음” (상주본) 첫 장 = 037

3. 한글의 원리와 특징 = 041
가. 한글의 창제 원리 = 041
[그림 18] ‘제자해’/“훈민정음” = 041
[그림 19] ‘초성해’/“훈민정음” = 042
[그림 20] ‘중성해’/“훈민정음” = 043
[그림 21] ‘종성해’/“훈민정음” = 043
[그림 22] ‘합자해’/“훈민정음” = 044
[그림 23] ‘용자례’/“훈민정음” = 045
나. 한글의 운용 원리 = 046
다. 한글의 특징 = 049

제 2장 쉽게 익혀서 편히 쓰니
1. 널리 한글을 펴다 = 056
가. 누구나 알기 쉬운 한글로 = 056
[그림1] “법화경언해” = 058
[그림2] “원각경언해” = 060
[그림3] “몽산법어언해” = 061
[그림4] “소학언해” = 063
[그림5] “중용언해” = 063
[그림6] “맹자언해” = 064
[그림7] “두시언해” = 065
[그림8] “명황계감언해” = 066

나. 외국어 배움을 한글로 = 067
[그림9] “천자문” = 068
[그림10] “훈몽자회” = 070
[그림11] “백련초해” = 070
[그림12] “중간노걸대언해” = 072
[그림13] “몽어유해” = 076
[그림14] “첩해신어” = 077
[그림15] “청어노걸대” = 079

다. 종교의 세계를 한글로 = 081
[그림16] “부모은중경언해” = 082
[그림17] “진언집” = 083
[그림18] “태상감응편도설언해” = 084
[그림19] “주교요지” = 085
[그림20] “천로역정” = 086
[그림21] “천로역정” 목판 = 087

라. 실용 지식을 한글로 = 089
[그림22] “무예제보” = 095
[그림23] “규합총서” = 097
[그림24] “음식방문” = 098

2. 삶 속에 자리 잡다 = 099
가. 한글로 전하는 생각 = 099
[그림25] 별봉의 예① 김정희가 아내 예안이씨에게 보낸 편지 = 100
[그림26] 별봉의 예① 명성황후가 조카 민영소에게 보낸 편지 = 100
[그림27] 별봉의 예① 송익흠이 아내 여흥민씨에게 보낸 편지 = 101
[그림28] 봉투 규식의 예-“언간독” 중 일부 = 101
[그림29] 규식을 갖춘 언간의 봉투-김정희가 아내 예안이씨에게 보낸 편지 = 101
[그림30] 규식을 간략화한 봉투 = 102
[그림31] 내지의 지면 활용 방법 = 103
[그림32] 내지의 지면을 활용한 실제 예 = 103
[그림33] “숙명신한첩” = 104
[표1] 발신자별 왕실 연간 현존 현황 = 106
[그림34] 1. 정조가 원손 때 외숙모(여흥민씨)에게 보낸 편지 = 107
2. 정조가 세손 때 외숙모(여흥민씨)에게 보낸 편지 = 107
3. 정조가 재위(14년) 때 외숙모(여흥민씨)에게 보내는 편지 = 108
[그림35] 채무이가 아내 순천김씨에게 보낸 편지 = 111
[표2] 사대부가 언간의 현황 = 112
[그림36] 김정희가 아내 예안이시에게 보낸 편지 = 115
[그림37] 김노경이 아내 기계유씨에게 보낸 편지 = 115
[그림38] 김시 부인이 영조에게 올린 상언 = 119
[그림39] 이순이 발급한 수표 = 122
[그림40] 의양단자 = 122
[그림41] “은사첩” = 123
[그림42] 의대발기 = 124
[표4] 윤음 = 126
[그림43] “유중외대소민인등척사윤음” = 127
[그림44] “삼강행실도” = 127
[그림45] “오륜행실도” = 128
[그림46] 행실도 병풍 = 129

나. 한글로 누리는 일상 = 131
[그림47] 백자 떡살 = 131
[그림48] 목제 떡살 = 131
[그림49] 나무 소반 = 132
[그림50] 목제 실패 = 132
[그림51] 색실첩 = 133
[그림52] 저고리본과 보관첩 = 1333
[그림53] 을축ㆍ무술년에 태어난 사람의 복을 빌어주는 버선본 = 134
[그림54] 습례국 = 135
[그림55] “습례국도설” = 136
[그림56] 오행점윷과 오행점책 = 137
[그림57] 백첨과 백첨책 = 138

다. 한글로 쓰는 상상 = 140
[그림58] “송강가사” = 140
[그림59] “고산유고”와 목판 = 141
[그림60] “청구영언” = 142
[그림61] “홍길동전” = 142

라. 한글로 더하는 흥 = 143
[그림62] “열녀츈향슈절가라” = 143
[그림63] 시조창 악보 = 144


제 3장 세상에 널리 퍼져 나아가니
1. 새 모습으로 거듭나다 = 148
가. 국문으로서의 한글 = 148
[그림1] 1894년 11월 칙령 제1호 공문식 = 149
[그림2] “국문정리” = 151
나. 한글 연구 = 154
[그림3] “국문연구안” = 156
[그림4] “서유견문” = 157
[그림5] “국어문법” 육필 원고 = 158
[그림6] “국어문전음학” = 159
[그림7] “주시경선생유고” = 160
[그림8] “한글” = 164
[그림9] “한글마춤법통일안” = 165
[그림10] “사정한조선어표준말모음” = 165
[그림11] “한영자전” = 168
[그림12] “한불자전” = 168
[그림13] “말모이” 육필 원고 = 169
[그림14] “조선말 큰 사전” 원고 = 171
[그림15] “우리말 도로 찾기” = 173

다. 한글 교육 = 174
[그림16] “언문 반절표” = 175
[그림17] “사민필지” = 175
[그림18] “소학독본” = 176
[그림19] “신정심상소학” = 176
[그림20] “노동야학독본” = 181
[그림21] “언문” = 183
[그림22]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 185
[그림23] “한글 첫 걸음” = 187
[그림24] “초등 국어1-1(바둑이와 철수) = 188
[그림25] “중등국어교본” = 189
[그림26] “중등국어” = 189
[그림27] “신생중등국어” 189
[그림28] “문맹퇴치인민독본” 189

2. 근대의 물결과 마주하다 = 190
가. 한글과 근대 출판 = 190
[그림29] 동국정운 = 191
[그림30] 을해자 병용 한글자 = 191
[그림31] ‘한성주보’ = 193
[그림32] ‘독립신문’ = 193
[그림33] ‘황성신문’ = 194
[그림34] ‘대한매일신보’ = 194
[그림35] “아이들보이” = 196
[그림36] “어린이” = 196
[그림37] “소년” = 197
[그림38] “진학” = 197
[그림39] “현대문학” = 197
[그림40] “감자” = 201
[그림41] “박씨전” = 202
[그림42] “세종대왕실기 = 203
[그림43] “김진옥전” = 203
[그림44] “청록집” = 204
[그림45]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205

나. 한글 기계화 = 206
[그림46] 네 벌식 한글 타자기(송기주) = 207
[그림47] 세 벌식 한글 타자기(공병우) = 207
[그림48] 다섯 벌식 한글 타자기(김동훈) = 208
[그림49] 풀어쓰기 한글 타자기(도정보) = 208
[그림50] ‘한글 기계화’ = 208
[그림51] 국무총리훈령81호 = 209
[그림52] 한글 전용 관련 기사 = 210
[그림53] 연희전문학교의 타자수업시간 = 211
[그림54] 연희전문학교 서지시간 교구로 사용했던 언더우드 타자기 = 211
[그림55] 세 벌식 속도타자기를 개발한 공병우 박사 = 211
[그림56] 공병우 박사가 개발한 글자판 = 211
[그림57] 전국 시도 상업계 고등학교에 기증되었던 스미스 코로나 타자기 = 211
[그림58-1] 장타자기교본 = 212
[그림58-2] 공 속도 타자 단기 완성 한글 타자 교본 = 212
[그림58-3] 표준판 한글 타자 단기 완성 타자교본 = 212
[그림58-4] 초등학교 한글타자 = 212
[그림59-1] 표준타자기 기초교본(국무총리훈령 제81호) = 213
[그림59-2] (실업계고등학교)모범한글타자 = 213
[그림59-3] 최신정통한글타자 = 213
[그림59-4] (상업계고등학교) 타자(한글) = 213
[그림60] 공병우 박사의 삼청동 자택에서 공병우 박사와 필자 = 213
[그림61] 김동훈과 5벌식 타자기 글자판 = 213
[표-1] 한글타자 교육체계도 = 213
[그림62-1] 한글타자 제6호 = 214
[그림62-2] 타자뉴-스 = 214
[그림62-3] 한글타자 제3호 = 214
[그림62-4] 타자뉴-스 = 214
[그림63-1] 타자학원회보(창간호) = 215
[그림63-2] 타자새소식(창간호) = 215
[그림63-3] 부산타자교육회보 제3호 = 215
[그림63-4] 타자회보 제9호 = 215
[그림64] 한글과 컴퓨터 2.0 설치 안내서와 디스켓 = 216
[그림65] 전용 한글 컴퓨터 두 벌식 표준 자판으로 수업하는 광경 = 217
[그림66] 한글 수동 타자기·전동타자기·문서처리기 / 두 벌식 표준 자판으로 수업하는 광경 = 217
[그림67-1]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7-2]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7-3]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7-4]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8] 남·북 IT전문위원들 (금강산호텔) = 219
[그림69] 북한의 교육성 교육정보센터에서 보내온 통지문 = 219
[그림70-1] 영-조 컴퓨터단어장 2003 = 219
[그림70-2] 컴퓨터구성방식(대학용) = 219
[그림71] 남한의 문서실무사 교재들 = 219
[그림72] 봉화대/남산/서울기념물 제14호 = 220
[그림73] 모르스 통신기와 모르스 부호 = 220
[그림74] 휴대 전화 기기 변천 = 221
[그림75-1] 삼성전자 휴대전화의 글자판(천지인) = 222
[그림75-2] LG전자 휴대전화의 글자판(나랏글) = 222
[그림75-3] SKT 휴대 전화의 글자판 = 222
[그림75-4] 네오패드 키패드 = 222
[그림75-5] 정희성식 글자판 = 222
[그림75-6] VK식 글자판(한돌 코드) = 222
[그림75-7] 팬택·큐리텔식 글자판 = 222


3. 현재를 살아가다 = 223
가. 한글, 아름다운 한글 = 223
[그림76] “옥원중회연” = 224
[그림77] 최정호의 동아출판사체로 제작된 「한서남궁억선생의 생애」= 226
[그림78] 손멋글씨 ‘꽃’ = 228
[그림79] 한글 누리체(윤디자인) = 228
[그림80] 한글 디자인 상품 = 231
[그림81] 한글 디자인 간판 = 231
[그림82]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 232

나. 한글, 우리말의 그릇 = 234
[그림83] “노걸대”류를 통해 16-18세기의 우리말을 비교한 정보 영상 = 237
[그림84] 사람, 음식, 교육 등에 관한 43쌍의 남북한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 238
[그림85] “방언집” = 242
[그림86] 전국의 방언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 242


다. 한글, 정보화 시대의 문자 = 244
[그림87] 두벌식 한글 자판 글자 배치도 = 244
[그림88] 복합 문자를 2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 248
[그림89] 복합 문자를 3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 248
[표1] ‘성묘’와 ‘서민’의 정렬 순서 = 248
[표2] ‘서민과’ ‘성묘’의 정렬 순서 = 249
[표3] 2바이트 고정 길이 한글 코드 = 249
[표4] 한글 초성, 중성, 종성 할당표 = 250
[그림90] 문자와 음절의 정보를 함께 인코딩 = 251
[그림91] 음절의 정보만 인코딩 = 251
[표5] 한글코드 표준화 과정 = 252

용어 해설 및 참고 문헌 =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