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장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1. 한글 이전의 문자생활 = 010
[그림1] 광개토대왕비 = 012
[그림2] 단양 적성비 = 013
[그림3] 대명률직해 = 013
[그림4] 불국사 무구정광탑 중수기 = 019
[그림5] “화엄경” 중 일부 = 020
[그림6]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 020
[그림7]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 020
[그림8] “화엄문의요결문답” 중 일부 = 020
[그림9] 점토의 기입영역 = 0122
[그림10] 점도 = 022
[그림11] “구역인왕경” 상권 중 2장 = 024
[표 1] 석독 구결 자료의 구결자 목록 = 027
2. 한글의 창제와 “훈민정음” 반포 = 030
가. 한글의 창제 배경과 과정 = 030
[그림12] ‘정인지 서문’중 일부 = 031
[그림13] 최만리 등 ‘갑자상소문’ = 034
나. 새로운 문자 한글과 그에 대한 해설서의 탄생 = 36
[그림14] 훈민정은 창제 관련 기사 = 036
[그림15] 훈민정음 창제 관련 기사 = 036
[그림16] “훈민정음”(해례본) = 037
[그림17] 속칭 “훈민정음” (상주본) 첫 장 = 037
나. 한글 기계화 = 206
[그림46] 네 벌식 한글 타자기(송기주) = 207
[그림47] 세 벌식 한글 타자기(공병우) = 207
[그림48] 다섯 벌식 한글 타자기(김동훈) = 208
[그림49] 풀어쓰기 한글 타자기(도정보) = 208
[그림50] ‘한글 기계화’ = 208
[그림51] 국무총리훈령81호 = 209
[그림52] 한글 전용 관련 기사 = 210
[그림53] 연희전문학교의 타자수업시간 = 211
[그림54] 연희전문학교 서지시간 교구로 사용했던 언더우드 타자기 = 211
[그림55] 세 벌식 속도타자기를 개발한 공병우 박사 = 211
[그림56] 공병우 박사가 개발한 글자판 = 211
[그림57] 전국 시도 상업계 고등학교에 기증되었던 스미스 코로나 타자기 = 211
[그림58-1] 장타자기교본 = 212
[그림58-2] 공 속도 타자 단기 완성 한글 타자 교본 = 212
[그림58-3] 표준판 한글 타자 단기 완성 타자교본 = 212
[그림58-4] 초등학교 한글타자 = 212
[그림59-1] 표준타자기 기초교본(국무총리훈령 제81호) = 213
[그림59-2] (실업계고등학교)모범한글타자 = 213
[그림59-3] 최신정통한글타자 = 213
[그림59-4] (상업계고등학교) 타자(한글) = 213
[그림60] 공병우 박사의 삼청동 자택에서 공병우 박사와 필자 = 213
[그림61] 김동훈과 5벌식 타자기 글자판 = 213
[표-1] 한글타자 교육체계도 = 213
[그림62-1] 한글타자 제6호 = 214
[그림62-2] 타자뉴-스 = 214
[그림62-3] 한글타자 제3호 = 214
[그림62-4] 타자뉴-스 = 214
[그림63-1] 타자학원회보(창간호) = 215
[그림63-2] 타자새소식(창간호) = 215
[그림63-3] 부산타자교육회보 제3호 = 215
[그림63-4] 타자회보 제9호 = 215
[그림64] 한글과 컴퓨터 2.0 설치 안내서와 디스켓 = 216
[그림65] 전용 한글 컴퓨터 두 벌식 표준 자판으로 수업하는 광경 = 217
[그림66] 한글 수동 타자기·전동타자기·문서처리기 / 두 벌식 표준 자판으로 수업하는 광경 = 217
[그림67-1]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7-2]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7-3]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7-4] (고등학교)문서실무 = 218
[그림68] 남·북 IT전문위원들 (금강산호텔) = 219
[그림69] 북한의 교육성 교육정보센터에서 보내온 통지문 = 219
[그림70-1] 영-조 컴퓨터단어장 2003 = 219
[그림70-2] 컴퓨터구성방식(대학용) = 219
[그림71] 남한의 문서실무사 교재들 = 219
[그림72] 봉화대/남산/서울기념물 제14호 = 220
[그림73] 모르스 통신기와 모르스 부호 = 220
[그림74] 휴대 전화 기기 변천 = 221
[그림75-1] 삼성전자 휴대전화의 글자판(천지인) = 222
[그림75-2] LG전자 휴대전화의 글자판(나랏글) = 222
[그림75-3] SKT 휴대 전화의 글자판 = 222
[그림75-4] 네오패드 키패드 = 222
[그림75-5] 정희성식 글자판 = 222
[그림75-6] VK식 글자판(한돌 코드) = 222
[그림75-7] 팬택·큐리텔식 글자판 = 222
3. 현재를 살아가다 = 223
가. 한글, 아름다운 한글 = 223
[그림76] “옥원중회연” = 224
[그림77] 최정호의 동아출판사체로 제작된 「한서남궁억선생의 생애」= 226
[그림78] 손멋글씨 ‘꽃’ = 228
[그림79] 한글 누리체(윤디자인) = 228
[그림80] 한글 디자인 상품 = 231
[그림81] 한글 디자인 간판 = 231
[그림82] 상하이 엑스포 ‘한국관’ = 232
나. 한글, 우리말의 그릇 = 234
[그림83] “노걸대”류를 통해 16-18세기의 우리말을 비교한 정보 영상 = 237
[그림84] 사람, 음식, 교육 등에 관한 43쌍의 남북한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 238
[그림85] “방언집” = 242
[그림86] 전국의 방언 어휘를 비교한 정보 영상 = 242
다. 한글, 정보화 시대의 문자 = 244
[그림87] 두벌식 한글 자판 글자 배치도 = 244
[그림88] 복합 문자를 2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 248
[그림89] 복합 문자를 3개의 문자로 파악하는 경우 = 248
[표1] ‘성묘’와 ‘서민’의 정렬 순서 = 248
[표2] ‘서민과’ ‘성묘’의 정렬 순서 = 249
[표3] 2바이트 고정 길이 한글 코드 = 249
[표4] 한글 초성, 중성, 종성 할당표 = 250
[그림90] 문자와 음절의 정보를 함께 인코딩 = 251
[그림91] 음절의 정보만 인코딩 = 251
[표5] 한글코드 표준화 과정 =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