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면서 = ⅲ

Ⅰ. 머리말 = 1
1.1. 연구 개관 = 1
1.2. 구어와 구어 자료 = 4

Ⅱ. 의향법과 그 실현방법의 유형 = 7
2.1. 의향법의 개념과 하위범주 = 7
2.2. 의향법 실현방법의 유형 = 11

Ⅲ. 서술문 실현방법의 실태 = 17
3.1. 고유한 서술어미에 의한 실현 = 18
3.2. 범용어미에 의한 실현 = 20
3.3. 접속어미 전용에 의한 실현 = 23
3.4. 문장조각에 의한 실현 = 25

Ⅳ. 의문문 실현방법의 실태 = 27
4.1. 고유한 의문어미에 의한 실현 = 28
4.2. 범용어미에 의한 실현 = 30
4.3. 서술-명령-청유 어미 전용에 의한 실현 = 32
4.4. 접속어미 전용에 의한 실현 = 33
4.5. 문장조각에 의한 실현 = 34

Ⅴ. 명령문 실현방법의 실태 = 35
5.1. 고유한 명령어미에 의한 실현 = 36
5.2. 범용어미에 의한 실현 = 37

Ⅵ. 청유문 실현방법의 실태 = 39
6.1. 고유한 청유어미에 의한 실현 = 39
6.2. 범용어미에 의한 실현 = 40

Ⅶ. 의향법의 언어유형론적 특징 = 43
7.1. 의향법의 언어유형론 = 43
7.2. 의향법 실현방법의 언어유형론적 특징 = 46

Ⅷ. 의향법 실현방법의 역사 = 51
8.1. 근대 한국어의 의향법 실현방법 = 52
8.2. 개화기 교과서에 나타난 의향법 실현방법 = 55
8.3.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의향법 실현방법 = 57
8.4. 의향법 실현방법의 변화 방향 = 61

Ⅸ. 맺음말 = 63

참고문헌 = 67
부록 : 대화 자료 = 71
Abstract = 229
찾아보기 = 231
발간사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