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1장 부여시대(夫餘時代)의 역사와 언어 = 13
1-1 북부여(北夫餘)의 성립(成立)과 발전(發展) = 13
1-1-1 북부여 1세단군 해모수(解慕漱) = 16
1-1-2 북부여 2세단군 모수리(慕漱離) = 19
1-1-3 북부여 3세단군 고해사(高奚斯) = 19
1-1-4 북부여 4세단군 고우루(高于婁) = 20
1-1-5 북부여 또는 졸본부여 5세단군 고두막(高豆莫) = 21
1-1-6 북부여 6세단군 고무서(高無胥) = 22
1-2 가섭원부여(迦葉原夫餘)의 성립과 발전 = 22
1-2-1 1세 해부루(解夫婁) = 22
1-2-2 2세 금와(金蛙) = 23
1-2-3 3세 대소(帶素) = 24
1-3 부여시대의 언어재료해독(言語材料解讀) = 24
1-3-1 단군(檀君)의 어원 = 24
1-3-2 부여(夫餘)의 어원 = 27
1-3-3 해(解)와 고(高) = 30
1-3-4 고리(고離) = 31
2장 삼한(三韓)의 역사와 언어 = 35
2-1 전삼한(前三韓)·후삼한(後三韓)에 대한 제설(諸設) = 35
2-1-1 중국사에 기록된 전삼한(前三韓) = 36
2-1-2 국내학자들의 전·후 삼한에 관한 설 = 40
2-1-3 환단고기(桓檀古記)에 기록된 삼한(三韓) = 41
2-2 남삼한(南三韓)의 성립(成立) = 54
2-2-1 남마한(南馬韓)에 관한 사기 = 54
2-2-2 남 변·진(南 弁·辰)의 성립 = 56
2-2-3 삼한(三韓)의 국가 형성 = 59
2-2-4 삼한시대(三韓時代)의 언어재료(言語材料) 해독(解讀) = 72
3장 예·맥(濊·貊)의 역사와 언어 = 93
3-1 예·맥에 대한 고기록 = 93
3-2 예·맥의 언어재료 해독 = 98
3-2-1 예(歲)족과 그들의 언어 = 98
3-2-2 맥(貊)족과 그들의 언어 = 99
4장 기자조선(箕子朝鮮)·위만조선(衛滿朝鮮)의 역사와 언어 = 101
4-1 기자조선(箕子朝鮮) = 101
4-2 위만조선(衛滿朝鮮) = 109
4-3 언어재료 해독 = 111
4-3-1 기자(箕子)의 어원 = 111
4-3-2 패수(浿水), 백랑(白狼), 박벌성(薄伐城), 낙랑(樂浪), 평나(平那)의 해독 = 112
5장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역사와 언어 = 115
5-1 고구려의 역사와 언어 = 115
5-1-1 고주몽(高朱蒙)의 탄생 = 115
5-1-2 졸본부여(卒本夫餘)의 승계 = 116
5-1-3 구려(句麗)의 재건 = 117
5-1-4 고구려 역대왕의 치적 = 119
5-1-5 고구려와 수(隋)의 전쟁 = 124
5-1-6 고구려와 당(唐)의 전쟁 = 126
5-1-7 고구려시대의 언어재료 해독 = 127
5-2 백제의 역사와 언어 = 152
5-2-1 백제의 건국 = 152
5-2-2 백제국 역대왕의 세계와 치적 = 159
5-2-3 백제시대의 언어재료 해독 = 168
5-3 신라(新羅)의 역사와 언어 = 177
5-3-1 신라왕의 탄생설화 = 177
5-3-2 진한지역(辰韓地域)의 사로왕국(斯盧王國)의 성립 = 182
5-3-3 신라왕의 세계와 치적 = 187
5-3-4 신라시대의 언어재료 해독 = 207
6장 言語로 풀어보는 韓·日 古代關係史考 = 231
6-1 神代時代의 역사와 언어 = 231
6-1-1 이사나기노미꼬도(伊장諾尊)와 이사나미노미꼬도(伊장冊尊)는 이서국(伊西國) 출신이다 = 231
6-1-2 아메데라스오미가미(天照大神)·스사노오노미코도(素盞鳴尊) = 246
6-2 고대의 역사와 언어 = 256
6-2-1 神武王의 가시하라(강原)왕조 = 256
6-2-2 崇神王의 미마키(御間城) = 259
6-2-3 推古王 이후의 아스가(飛鳥, 明日香)왕조 = 260
6-2-4 應神王의 가와치왕조(河內王朝) = 262
6-2-5 奈良의 야마도왕조(大和王朝) = 263
6-2-6 北九州의 여리노 왕조(倭奴王朝) = 267
6-2-7 北九州의 야마타이(邪馬台)왕조 = 272
6-2-8 南九州의 狗奴國과 구마소(態襲)왕조 = 273
6-2-9 무사시노(武藏野)의 고마(高句麗)·구다라(百濟) = 275
6-3 신공왕후(神功皇后)의 신라정벌설과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설에 관한 논거(論據) = 281
6-3-1 일본학자들의 날조된 사관 = 281
6-3-2 神功皇后의 신라정벌설의 실상 = 290
6-3-3 任那國의 史實 = 295
6-3-4 가라구니노시마(韓鄕之島)의 産物과 그 比定 = 307
6-4 광개토대왕비문(廣開土大王碑文)에 기록된 任那와 倭 = 309
7장 맺음말 = 313
참고문헌 = 325
색인 =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