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5
서문 / 에릭 라폭트 = 17
차례 = 21
서론
0. 연구 방법론 = 35
1. 어휘적 연구 대상 = 36
1.1. 현행 사전의 표제어 범주 설정의 문제 = 36
1.2. 〈형용사〉 범주에 대한 형식적 정의 = 37
1.2.1. 두 가지 형태의 형용사 종결형 활용어미(St) = 38
1.2.2. 동사/형용사의 이중적 속성의 술어 유형 = 38
1.2.3. 관형형 연결어미(Sd) = 39
1.2.4. 의미적 속성의 불규칙성 = 40
2. 문형 구조의 연구 = 41
2.1. 통사 구조 사이의 관계 = 41
2.2. 문법성 판단 = 43
3.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향 = 45
제I부 어휘부의 구성
1. 어휘부 외연의 제한 = 49
1.1. 불구적인 어휘 성분들 = 49
1.1.1. 관형형으로 실현되는 형태 = 49
1.1.2. 부사연결형으로 실현되는 형태 = 50
1.1.3. 부정형으로 실현되는 형태 = 51
1.2. 비형용사적 어휘 성분들 = 52
1.2.1. 동사 범주 = 52
1.2.1.1. "-를" 보어 실현의 제약 = 52
1.2.1.2. 명령법 구성의 제약 = 53
1.2.1.3. 정도 부사 삽입 = 54
1.2.1.4. "어떠하-" 의문문에의 대응 = 55
1.2.1.5. 부사 파생 = 56
1.2.2. 〈명사-기능형용사〉 유형 = 57
1.2.2.1. N1-답다 = 57
1.2.2.2. N1-같다 = 59
1.3. 관용어적 표현 = 60
1.3.1. 관용적 구 = 60
1.3.2. 한자어 4자 성어 = 61
1.4. 통시적인 어휘 유형 = 62
1.4.1. 사용되지 않는 형태 = 62
1.4.2. 고어 형태 = 63
1.5. 외래어 유형 = 64
2. 어휘부 외연의 확장 = 66
2.1. "-이다" 파생형용사 = 66
2.1.1. "-이다" 형용사 vs. 지정사 "이다" 수반 명사구 = 66
2.1.1.1. 대응되는 의문문 유형 = 67
2.1.1.2. "N1" 수식 관형어 vs. "N1-이다" 수식 정도 부사 = 68
2.1.1.3. 인물 주어의 분포 = 69
2.1.2. 이중적 용법의 "N-이다" 유형 = 70
2.1.3. 그 외의 "N-이다" 유형 = 72
2.1.3.1. 보문절 수식어를 취하는 "N1-이다" 구문 = 72
2.1.3.2. 화용적 발화문인 "N1-이다" 구문 = 73
2.1.3.3. 그 외의 "N1-이다" 구문 = 74
2.2. "-이다" 비파생형용사 = 75
2.2.1. "-이다"를 선행하는 "X-적"에 대한 논의 = 75
2.2.2. "X-적-이다"의 형용사적 특징 = 78
3. 형용사 범주의 형태론적 논의 = 80
3.1. 파생 형용사인가? = 80
3.2. 형태ㆍ음운적 변이형인가? = 81
3.3. 통사적인 복합 구성인가? = 83
3.4. 형용사 접사에 대한 논의 = 85
3.4.1. 기능형용사와 비대응 관계의 형용사접미사 = 85
3.4.2. 기능형용사와 상보적 관계의 형용사접미사 = 89
3.4.2.1. "-답다"와 "-같다" 유형 = 89
3.4.2.2. "-이다" 유형 = 90
3.4.3. 기능형용사와 평행적 관계의 형용사접미사 = 90
제II부 통사적 속성
1. 형용사의 보어 유형 = 95
1.1. 본질 보어와 비본질 보어 = 95
1.1.1. 필수 보어 = 95
1.1.2. 후치사의 치환 = 96
1.1.3. 보어의 중첩 = 97
1.1.4. 대응되는 의문문 = 99
1.1.5. 두 문형구조 관계로 정의되는 보어 = 102
1.2. 형용사 술어 구문의 보어 유형 = 104
1.2.1. "N1-와" 유형 = 106
1.2.2. "N1-가" 유형 = 107
1.2.3. "N1-에" 유형 = 108
1.2.4. "N1-로" 유형 = 110
1.2.5. "N1-에서" 유형 = 112
1.2.6. "N1-보다" 유형 = 113
1.2.7. "S-고" 유형 = 114
1.3. 보어의 교차 = 114
1.3.1. 〈점유물-원인〉 보어와 〈장면 장소〉 보어 = 114
1.3.1.1. 생략 가능 여부 = 115
1.3.1.2. 원인의 "-로 인해서" 치환 여부 = 116
1.3.1.3. 외부적 원인의 "-로"보어 치환 여부 = 116
1.3.2. 〈감정유발 원인〉 보어와 〈경험 주체〉 보어 = 118
1.3.3. 동사 구문에서 관찰되는 교차 구문 = 119
1.3.3.1. 장소 보어를 가진 자동사 구분 = 119
1.3.3.2. 장소 보어를 가진 타동사 구문 = 120
1.3.3.3. 프랑스어 심리 형용사 구문 = 121
2. 주어의 분포적 속성 = 123
2.1. 인물성과 비인물성의 의미적 개념 = 123
2.1.1. 의문 대명사 "누구"에의 대응 = 123
2.1.2. 인명 고유명사에의 대응 = 124
2.1.3. 후치사 "-에게"와의 결합 = 124
2.2. 인물 명사 = 126
2.2.1. 환유(m e ´ tonymie) 관계 = 126
2.2.1.1. 환유 관계의 비인물 주어와 형용사 술어 = 127
2.2.1.2. 은유적 용법의 형용사 술어 = 128
2.2.2. 적정 명사(Napp) 유형 = 129
2.2.2.1. Napp =: 행동 + 태도 = 129
2.2.2.2. Napp =: 삶 + 생활 = 130
2.2.2.3. Napp =: 생김새 + 몸 + 모양 = 131
2.3. 비인물 명사 = 131
2.3.1. 비인물 명사와 분류 명사(Nclas) 유형 = 131
2.3.2. 〈비인물 명사 주어〉와 〈비인물 명사로 유도된
보문절 주어〉 = 133
3. 보문절의 주요 성분들 = 136
3.1. 내적 구조 =136
3.1.1. 종결형 어미(St) =137
3.1.2. 보문 명사(Ncomp)의 제약 =139
3.1.2.1. 형용사 술어와의 의존성 =139
3.1.2.2. 내포문 시제의 제약 =140
3.1.2.3. 종결형 어미(St)의 출현 여부 =141
3.1.2.4. 종결형 어미(St)의 유형 =141
3.1.3. 동형어 관계의 〈보문절어미〉와 〈명사화접미사〉 "-음/기" = 142
3.2. 완전 보문절과 불완전 보문절 = 144
3.2.1. 본질적인 불완전 보문절 = 144
3.2.2. 공지칭 관계에 의한 불완전 보문절 = 146
3.2.3. 총칭 주어에 의한 불완전 보문절 = 147
3.3. 후치사 유형의 제약 = 148
3.3.1. 불구 용법의 보문 명사와 후치사 = 148
3.3.2. 제로 후치사 = 149
3.4. 〈보문절 주어〉 형용사 클라스 = 151
4. 재귀 대명사 "자기" = 153
4.1. 공지칭 관계와 재귀 대명사 = 153
4.1.1. 일반적인 경우 = 153
4.1.1.1. 〈대칭 형용사(AWS)〉 구문 = 154
4.1.1.2. 〈태도-대상 형용(AED/AEV)〉 구문 = 156
4.1.1.3. 〈심리-평가 형용(AEP/AEE)〉 구문 = 157
4.1.2. 〈심리-평가〉 보어의 특이성 = 158
4.2. 비양도성 관계와 재귀 대명사 = 162
4.2.1. 〈부분-전체〉 관계 = 162
4.2.2. 〈인물-신체부위〉 관계 = 163
4.2.2. 〈소유주-소유물〉 관계 = 165
4.3. 세 가지 유형의 〈(Na) (Nb)-가 Adj〉구조와 재귀대명사 = 166
4.3.1. 〈(Na)1-에 (QuP)0 Adj〉 구조 = 167
4.3.2. 〈[Na-의 Nb]0 Adj〉 구조 = 168
4.3.3. 〈(Na)0 (Nb)1-가 Adj〉 구조 = 168
5. 〈이중 N-가) 구조 = 170
5.1. 〈이중 N-가〉 구조인가, 기본 구조인가? = 170
5.2. 형용사 술어 구문의 〈이중 N-가〉 재구조화 = 173
5.2.1. 〈N-가〉로 변형 가능한 보어의 유형 = 173
5.2.2. "-는"과 "-가" 사이의 교체 = 177
5.3. 〈이중 N-가〉 구문의 관계절화 = 180
6. 부사어 내포 문장과의 대응 관계 = 184
6.1. 문장 층위의 파생 관계 =184
6.2. 세 가지 형태의 부사 = 186
6.3. 형용사 술어 구문과 부사어 내포 구문 사이의 관계 = 189
6.3.1. 〈명제 형용(AQ)〉 클라스와 〈향명제 문장 부사〉= 189
6.3.2. 〈심리-평가 형용사(AEP/AEE)〉와 〈향경험주 문장 부사〉 = 190
6.3.3. 〈감탄 형용AS)〉 클라스와 〈향주어 문장 부사〉 = 194
6.4. 부사어 내포 구문의 통사적 속성 = 196
6.4.1. 부사의 이동 = 196
6.4.2. 〈양태 접미사〉 "-도"의 실현 = 198
6.4.3. "-게" 부사류와 "-히" 부사류 사이의 교체 = 201
6.4.4. 통사적 변형의 초점 = 203
7. 동사 술어 문장과의 대응 관계 = 206
7.1. 〈비분포 동사〉 술어 구문 = 206
7.1.1. 〈기능 동사(Vsup)〉 구문 = 206
7.1.2. 〈연산 동사(Vop)〉 구문 = 207
7.2. 형용사 구문에 대응되는 〈기능 동사〉 구문 = 208
7.2.1. 〈기능 동사(Vsup)〉 =: 굴다 = 208
7.2.2. 〈기능 동사(Vsup)〉 =: 살다 = 210
7.2.3. 〈기능 동사(Vsup)〉 =: 생기다 = 211
7.2.4. 〈기능 동사(Vsup)〉 =: 하다 = 212
7.3. 형용사 구문에 대응되는 〈연산 동사〉 구문 = 213
7.3.1. 〈사역〉 연산 동사(Vop) =: 하다 = 213
7.3.1.1. 〈심리 형용사(AEP)〉 클라스 = 213
7.3.1.2. 〈장면-공간 형용사(AES/AEG)〉 클라스 = 214
7.3.1.3. 부사형술어 〈Adj-게〉와 형태적부사어 〈Adj-게〉 = 215
7.3.2. 〈인지〉 연산 동사(Vop) =: 하다 = 217
제III부 형용사 구문 클라스
0. 클라스 분류 구성도 = 223
0.1. 분류의 원칙 = 223
0.1.1. 보어의 유무 = 223
0.1.2. 보어의 형태 및 문장 사이의 대응 관계 = 223
0.1.3. 주어의 분포 속성 = 224
0.2. 클라스 구성도 = 224
0.3. 클라스 정의의 형식 기준 = 225
1. 〈AWS〉 테이블 : 대칭 형용사 클라스 = 228
1.1. 형식적 정의 = 228
1.2. 〈N0 N1-와 Adj〉 구조 = 228
1.2.1. 〈대칭 구문〉 속의 "N-와" 보어 = 229
1.2.1.1. "-와"보어와 부사어 "혼자서"의 치환 = 231
1.2.1.2. 부사어 "함께"의 삽입 = 232
1.2.2. 〈유사 대칭 구문〉의 "N-와" 보어 = 234
1.3. 〈N0 N1-와 N2-가 Adj〉 구조 = 236
1.3.1. 재구조화된 요소인 "N-가"를 내포하는 구조 = 237
1.3.2. 대칭 명사인 "N-가"를 내포하는 구조 = 239
1.3.2.1. "N-가"가 필수적인 특징 = 240
1.3.2.2. "N-가"의 반복이 허용되지 않는 특징 = 240
2. 〈AIC〉 테이블 : 증상 형용사 클라스 = 243
2.1. 형식적 정의 = 243
2.2. 속격 구문으로의 재구조화 = 247
2.3. "가지고 있다" 술어 구문과의 대응 = 248
2.4. 〈시작상〉 양태 부사의 삽입 = 251
2.5. 대응되는 의문문 유형 = 253
2.6. "이다"와 "있다" 형용사 술어 구문 = 254
3. 〈AED/AEV〉 테이블 : 태도/대상 형용사 클라스 = 256
3.1. 형식적 정의 = 256
3.1.1. 〈태도 형용(AED)〉 클라스 = 256
3.1.2. 〈대상 형용(AEV)〉 클라스 = 258
3.2. "행동/태도"내포 구문으로의 재구조화 = 260
3.2.1 〈[N0-의 N1-에-의 (행동+태도)] Adj〉 구문 = 260
3.2.2. 〈N0 N1-에 [Adj-Sd (행동+태도)]-를 Vsup〉 구문 = 262
3.2.3. 〈[N0 N1-에 Vsup-Sd (행동+태도)] Adj〉 구문 = 268
4. 〈AES/AEG〉 테이블 : 장면/공간 형용사 클라스 = 272
4.1. 형식적 정의 = 272
4.2. 〈공간 형용사(AEG)〉의 외연 설정 = 276
4.3. 〈N0〉와 〈N1〉 명사의 선택 제약 = 280
4.4. 환유적 관계 = 281
4.4.1. N=: [N-의 Npc(신체부위명사)] = 281
4.4.2. N=: [N N1oc(장소명사)] = 282
4.4.3. N=: [N-의 Napp(적정명사)] = 282
4.5. 〈Modif(수식어)〉의 삽입 = 283
4.6. 형용사의 의미적 특징 = 284
4.7. 〈이중 N-가〉로의 재구조화 = 286
5. 〈AEP/AEE〉 테이블 : 심리/평가 형용사 클라스 = 288
5.1. 형식적 정의 = 288
5.2. 심리 형용사의 이중적 술어 기능 = 293
5.3. 〈심리-평가 형용사〉 구문의 통사적 특징 = 295
5.3.1. 복합 명사구 내포 구문과 재귀 대명사 = 295
5.3.2. 〈이중 N-가〉로의 재구조화 = 298
5.3.3. 〈인지〉 연산 동사 "하다" 내포 구문 = 299
5.3.4. 〈사역〉 연산 동사 "하다" 내포 구문 = 300
5.3.5. 부사어 내포 구문과의 대응 = 301
6. 〈AER/ARR〉 테이블 : 기준/상황 형용사 클라스 = 305
6.1. 형식적 정의 = 305
6.1.1. 〈기준 형용사(AER)〉 클라스 = 305
6.1.2. 〈상황 형용사(ARR)〉 클라스 = 307
6.2. "-에" 기준 보어 형용사 구문 = 308
6.2.1. 보문명사 "데" 기반 보문절 = 308
6.2.2. 〈위치 설정 기준〉과 〈가치 판단 기준〉 = 310
6.3. "-에서" 보어 형용사 구문 = 311
6.3.1. 〈기준〉 보어 = 311
6.3.2. 〈최상급〉 보어 = 314
6.4. "-보다" 보어 형용사 구문 = 316
6.5. 〈S-고〉 내포문 형용사 구문 = 319
6.5.1. "-이다" 접미사 형용사 = 319
6.5.2. "싶다" 형용사 = 321
7. 〈AP〉 테이블 : 가상 형용사 클라스 = 324
7.1. 형식적 정의 = 324
7.1.1. "-기" 불완전 보문절 = 325
7.1.2. 직접 보어 내포 보문절 = 326
7.1.3. 〈이중 N-가〉 구조로의 재구조화 = 326
7.2. 비동의적 관계 = 327
7.3. 하위 구조 〈N0 Adj〉 = 329
7.3.1. 〈N0〉와 〈Adj〉 사이의 선택 제약 = 329
7.3.2. "-기" 내포 적정 보문절 = 330
7.4. "-에"를 수반하는 "-기" 보문절 = 332
7.4.1. 후치사 "-에"는 "-가"의 변이형인가? = 332
7.4.1.1. 필수적 양태 표지의 실현 = 333
7.4.1.2. "-가" 내포문에 대응되지 않는 "-에" 내포문 = 334
7.4.2. 정도 비교 부사어구 "-기-에 너무" = 336
7.5. 형용사의 의미적 속성 = 337
8. 〈AS〉 테이블 : 감탄 형용사 클라스 = 340
8.1. 형식적 정의 = 340
8.2. 대응되는 〈부사어 내포 구문〉 = 342
8.2.1. 부사의 〈방향성〉 개념의 형식화 = 342
8.2.2. 동형어 관계의 〈문장 부사〉와 〈양태 부사〉 = 345
8.3. 감탄 형용사의 〈명사형(Adj-n)〉 = 348
8.3.1. 〈보문절〉 주어와 〈형용사명사형(Adj-n)〉 술어 = 348
8.3.2. 〈형용사명사형(Adj-n)〉의 형태적 특징 = 350
8.3.2.1. 명사화 접미사 "-음"결합에 의한 명사형 = 350
8.3.2.2. 형용사 접미사의 삭제에 의한 명사형 = 351
9. 〈AQ〉 테이블 : 명제 형용사 클라스 = 354
9.1. 형식적 정의 = 354
9.2. 보문절 주어의 특징 = 356
9.2.1. 불완전 보문절 = 356
9.2.2. 보문절에 실현되는 종결형 어미(St) = 357
9.2.3. 제로 후치사 보문절 = 359
9.2.4. 그 외의 굳어진 형태의 보문절 = 360
9.3. "X-적-이다" 형용사 구문의 특징 = 360
9.3.1. 보문절 주어 구문과 부사어 내포문의 대응 = 360
9.3.2. "X-적-으로-이다" 강조 구문 = 364
10. 〈AH/AN〉테이블 : 인물/사물 형용사 클라스 = 369
10.1. 형식적 정의 = 369
10.2 〈인물 형용사(AH)〉의 하위 분류 = 370
10.2.1. 기능 동사 "살다" 구문과의 대응 = 370
10.2.2. 기능 동사 "굴다" 구문과의 대응 = 371
10.2.3. 기능 동사 "생기다" 구문과의 대응 = 372
10.3. 〈사물 형용(AN)〉의 하위 분류 = 373
10.3.1. 분류 명사 "형태"를 내포한 구문 = 373
10.3.2. 분류 명사 "맛"을 내포한 구문 = 375
10.3.3. 분류 명사 "냄새"를 내포한 구문 = 376
10.3.4. 분류 명사 "소리"를 내포한 구문 = 377
10.3.5. 분류 명사 "느낌"을 내포한 구문 = 378
10.3.6. 대형용사(Pro-Adj) 부류 = 380
결론
0. 방법론에 대한 고찰 = 385
1. 연구의 의의와 그 결과의 적용 = 389
1.1. 현상에서 동떨어진 이론에 대한 통제 = 390
1.2. 응용 시스템을 위한 언어 자원의 기초 = 391
2. 향후 연구 방향 = 394
2.1. 〈한국어 어휘 문법〉의 구현 = 394
2.2. 〈한국어 전자 사전〉의 구축 = 395
참고 문헌 = 399
부록 1. 전체 형용사 목록 = 405
부록 2. 전체 클라스 테이블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