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 = 3
한국어판 출판에 부쳐 = 7
옮긴이의 말 = 11
제1장 서론
시적 상상력과 인지과학 = 23
제2장 축자적 사고와 말하기
2.1. 낱말과 개념의 축자적 속성의 정의 = 57
2.1.1. 낱말 의미의 지시 이론 = 59
2.1.2. 낱말 의미의 점검표 이론 = 61
2.1.3. 사람들이 낱말을 정의할 수 있는가? = 67
2.1.4. 중의성과 다의성, 어휘적 참신 = 73
2.1.5. 범주화와 낱말 의미 = 84
2.2. 문장과 텍스트의 축자적 의미에 도달하기 = 97
2.2.1. 전통적 견해 = 98
2.2.2. 전통적 견해 비판 = 102
2.2.3. 전통적 견해의 재고 = 106
2.2.4. 축자적 의미와 텍스트 의미 = 110
2.2.5. 축자적 의미와 비유적 언어 = 115
2.3. 결론 = 118
제3장 비유적 언어의 이해 : 특별한 과정인가?
3.1. 비유적 언어 이해에 대한 전통적 견해 = 122
3.2. 심리언어학적 연구 = 126
3.2.1. 간접 화행 = 127
3.2.2. 관용어 = 134
3.2.3. 속어 = 141
3.2.4. 속담 = 142
3.2.5. 은유 = 144
3.2.6. 환유 = 152
3.2.7. 반어 = 154
3.3. 축자적 언어 처리와 비유적 언어 처리는 동일한가? = 156
3.4. 이해의 과정과 산물 = 163
3.5. 결론 = 168
제4장 언어와 사고 속의 은유
4.1. 언어 속의 은유 = 172
4.1.1. 은유의 편재성 = 172
4.1.2. 은유의 의사소통적 기능 = 174
4.1.3. 비유적 언어의 사회적 기능 = 186
4.1.4. 은유와 정치 = 193
4.2. 일상적 사고의 은유적 구조 = 201
4.2.1. 축자적 표현들의 체계성 = 201
4.2.2. 관습적 은유의 색다른 확장 = 211
4.2.3. 다의성 = 217
4.2.4. 심리학적 증거 = 223
4.2.5. 사고와 언어 속의 은유에 대한 대안적 제안 = 230
4.2.6. 과학 속의 은유 = 233
4.2.7. 법 속의 은유 = 245
4.2.8. 예술 속의 은유 = 250
4.2.9. 은유와 신화 = 255
4.2.10. 문화 속의 은유 = 261
4.3. 결론 = 280
제5장 은유적 표현의 이해
5.1. 아리스토텔레스와 은유 = 286
5.2. 은유에 대한 리차즈의 기여 = 288
5.3. 은유의 비교설 = 288
5.4. ''의미 없는 은유'' 견해 = 296
5.5. 변칙으로서의 은유 = 301
5.6. 은유와 화행 = 304
5.7. 느슨한 대화로서의 은유 견해 = 309
5.8. 은유의 상호작용설 = 312
5.9. 심리언어학과 상호작용설 = 320
5.10. 개념 구조로서의 은유 = 330
5.11. 은유와 문학 = 346
5.12. 결론 = 348
제6장 관용어성
6.1. 관용어성에 대한 전통적 견해 = 358
6.2. 죽은 은유와 관습적 은유 = 362
6.3. 관용어의 분석 가능성 = 368
6.4. 관용어의 통사적 행동 = 371
6.5. 관용어의 어휘적 유연성 = 373
6.6. 관용어의 의미적 생산성 = 374
6.7. 분석 가능성과 관용어 이해 = 375
6.8. 관용구의 학습 = 381
6.9. 관용적 의미에 대한 은유적 동기 = 382
6.10. 개념 그리고 관용어의 맥락 의존적 해석 = 389
6.11. 은유적 지식과 즉각적 관용어 처리 = 402
6.12. 속담의 이해 = 406
6.13. 결론 = 417
제7장 환유
7.1. 환유와 은유의 구별 = 422
7.2. 환유와 사고 = 426
7.3. 환유적 표현의 이해 = 437
7.4. 구어체 동어반복 = 452
7.5. 간접 화행 = 460
7.6. 결론 = 468
제8장 반어
8.1. 사고의 양식으로서의 반어 = 479
8.2. 반어와 사회적 상황 = 488
8.3. 반어는 어떻게 이해되는가? = 502
8.4. 과장법과 말 절제 = 514
8.5. 모순어법 = 518
8.6. 결론 = 522
제9장 어린이의 시적인 마음
9.1. 은유의 이해 = 530
9.2. 관용어의 이해 = 547
9.3. 환유의 이해 = 553
9.4. 반어의 이해 = 560
9.5. 결론 = 567
제10장 함축과 미래의 연구 방향
10.1. 언어와 사고, 신체 = 573
10.2. 비유적 사고와 언어 이해 = 582
10.3. 비유들의 상호작용 = 587
10.4. 맺음말 = 592
참고 문헌 = 593
인명 색인 = 641
내용 색인 = 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