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문자와 일본어
1 말소리와 문자와 역사 = 10
두 가지 문제점 = 10
역사의식, 그리고 ''시간'' = 10
《고지키(古事記)》의 성립이 제기하는 것 = 12
모시 왕국의 계보와 북소리언어 = 13
읊기(읽기)ㆍ기록하기ㆍ지금과 옛날 = 15
음성의 힘, 문자의 주술적 힘 = 16
구전과 문자기록에 의한 역사 표상 = 20
두 번째 문제 = 23
2 야마토어에 한자가 도입되었을 때 = 28
한자 도입으로 야마토어는 발전하지 못했다? = 28
시사(示唆)성이 풍부한 야마토어의 의미장 = 32
''나누는'' 것과 ''재는'' 것 = 37
문자가 내포하는 이차원적 사고 = 41
소리와 문자의 얽힘 = 43
3 도상(圖像) 상징성 연구를 위한 예비적 메모 = 49
문제의 소재 = 49
방법과 조감도 = 50
육서, 한자를 지배하는 원리 = 53
육서를 재점검한다 = 55
일본어에 도입된 한자 = 58
판화문자-경(經)과 역(歷) = 61
알파벳의 그림문자 = 66
문자 없는 사회의 도상(圖償) 표상 = 72
맺음말 = 76
인용 문헌 = 77

2부 말의 삼각 측량
4 말의 다중화 = 활성화 - 다언어주의란 무엇인가 = 82
언어는 셀 수 있을까? = 82
제도화되지 않은 말 = 84
''다언어주의''가 의미하는 것 = 88
소통되는 언어의 쇠퇴 = 90
''모국어''에서의 탈출 = 95
언어의 ''삼각측량''을 목표로 = 99
5 음성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위상 = 101
문자와 음성언어 = 101
전달의 신체성과 장(場) = 104
신로그(협화)에서 모놀로그(혼잣말)까지 = 106
문자에 의한 전달과의 대비 = 109
인용 문헌 = 111
6 소리 영역에서의 자연과 문화 = 113
과제와 방법 = 113
자연과 문화 = 116
소리와 의미 = 119
외침에서의 음성상징으로 = 123
음성상징의 보편성과 특수성 = 126
동기화와 자의성 사이 = 131
문화가 자연을 재단하다 = 134
비유의 미학 = 137
기키나시를 가능케 하는 것 = 141
작은 새 전생담, 변신, 이류혼(異類婚) = 144
인간과 동물 = 147
결론을 대신하여 = 149
인용 문헌 = 155

3부 음성상징과 말소리의 힘
7 시, 노래, 이야기 = 160
''읽는(읊는)'' 것과 ''이야기하는'' 것 = 160
서사시와 연대기 = 168
시와 노래의 사이(문자와 음성과 몸짓) = 177
8 전승되는 소리와 말 = 189
구두전승 문화의 체제로서의 전문 = 189
문자 없는 사회의 문학 = 198
''노래한다''는 것 = 203
''음악''을 벗어난 소리들을 쫓아 = 219

4부 말과 언어
9 일본어 소리의 풍경 = 224
언어에서의 정보란 무엇인가 = 224
''이야기''가 문자가 될 때 = 233
이마무라 노부오(今村信雄), 《라쿠고(落語)의 세계》를 둘러싸고 = 241
말소리의 힘 = 252
구호(口呼) = 257
켼켼데이! = 260
녹색의 의미장 = 263
10 말과 만났을 때 = 266
''이해한다''는 것 = 266
책과 만나다 = 268
어느 인류학도의 감상 - 글자 익히기 교육에 대한 의문 = 290

감사의 말 = 302
역자 후기 = 306
참고문헌 = 310
찾아보기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