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ㆍ5

I. 근대사회와 교과서

1. 교과서란 무엇인가ㆍ15
2. ‘국어’ 교과서란 무엇인가ㆍ25
3. 왜 ‘국어’ 교과서를 연구하는가ㆍ41

II. ‘국어’ 교과서 탄생의 사회ㆍ문화사

1. 근대 교육의 등장과 학교ㆍ51
2. 외국 교육의 수용과 교과서ㆍ67
3. 교과서 편찬 주체와 정치적 성격ㆍ73

III. 근대 계몽기 교과서

1. 조선의 근대화와 ‘국정’ 교과서ㆍ87
1) 민족주의와 근대 교과서의 탄생(-『국민소학독본』의 경우)ㆍ87
2) 전통 교육의 계승과 근대적 변용(-『소학독본』의 경우)ㆍ116
3) 교과의 분화와 ‘서사’의 수용(-『국민소학독본』, 『신정심상소학』, 『국어독본』의 경우)ㆍ137
4) 일제 식민주의와 대한제국의 열망(-『보통학교학도용 국어독본』의 경우)ㆍ187

2. 민간 독본의 출현과 구국의 열망(-『초등소학』(1906)을 중심으로)ㆍ210

IV. 일제강점기 교과서

1. 일제의 『국어독본』과 차별적 위계 교육(-『보통학교 국어독본』(일어)과 식민지 교육)ㆍ249
2. 일제의 식민지 교육과 피동적 주체(-『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을 중심으로)ㆍ275
3. ‘조선어독본’과 일제의 문화정치(-제4차 교육령기 『보통학교 조선어독본』의 경우)ㆍ302
4. 한글 문체의 정립과 조선의 정신(-『문예독본』을 중심으로)ㆍ330
1. 해방기 ‘국어’ 교과서와 탈식민주의(-『초등 국어교본』 을 중심으로)ㆍ359
2. 교수요목기 ‘국어’와 이데올로기(-『중등 국어교본』에서 『고등 국어』 까지)ㆍ388
3. 국가주의의 규율과 ‘국어’ 교과서(-1~3차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ㆍ427
4. ‘국어’ 교과서와 분단문학(-7차 교육과정과 ‘국어’ 교과서)ㆍ461

부록1ㆍ484
부록2ㆍ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