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1. 《연세 한국어 사전》 편찬 발의문과 연혁
언어정보연구원과 사전 편찬의 해적이(1986~2017)

2. 《연세 한국어 사전》의 설계와 방법론적 기반의 확립
2.1 말뭉치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사전 편찬의 설계와 실제
전산 편찬학의 개념과 한국적 실제|이상섭
새로운 사전 편찬의 개념과 그 실제 - 『연세 한국어 사전』을 중심으로|남기심ㆍ이희자
사전의 뜻풀이에 대한 소견 - 『연세 한국어 사전』과 기존 국어 사전들과의 비교를 겸하여|이상섭
언어 연구의 도구로서의 컴퓨터 - 국어정보학과 사전편찬학의 응용|서상규
사전 편찬 도구『말꾸러미』의 구성과 기능|최준호
말뭉치 기반 사전 편찬의 동향과 지향 방향 - 최근 30년간의 사전편찬 방법론을 중심으로|남길임

2.2 《연세 한국어 사전》을 보는 눈
《연세 한국어 사전》 출판을 축하합니다|허웅
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의 회고와 반성 - 연세대학교 한국어 사전 편찬 작업을 중심으로|박형익
《연세한국어사전》에 대한 평가|고영근
일본인 연구자가 본『연세한국어사전』|우치야마 마사하루
말뭉치를 이용한 사전 편찬에서의 몇 문제에 대하여|최정도
『연세 한국어사전』과『고려대 한국어대사전』비교 연구 - 언어사전으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유현경

3. 《연세 한국어 사전》의 계승과 발전
말뭉치 기반 초등국어사전 알기 - 『연세초등국어사전』을 중심으로|이희자
초등학생용 국어사전 개정의 방향과 실제 - 『연세초등국어사전』을 중심으로|봉미경
의미 빈도 사전 편찬의 방법론과 실제|서상규
한국어 표현 사전 편찬의 현항과 전망 - 정보 항목별 검토를 중심으로|안의정
새로운 한국어 유의어 사전 개발에 대하여|봉미경

부록 - 언어정보연구원 발간 사전 및 총서 편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