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조선 전기 공론 논변의 분석과 평가
제1장 서론 = 15
1. 연구의 성격과 목적 = 15
2. 관련 연구 검토 = 19
3. 연구 자료 = 38
제2장 연구의 관점과 방법 = 45
1. 연구의 관점 = 45
2. 연구의 방법 = 50
1) 문화 해석 = 51
2) 논증적 대화 분석 = 59
(1) 대화 분석 = 61
(2) 논증 분석 = 71
3) 논변 평가 = 81
제3장 조선 전기 공론 논변의 장 = 85
1. 공론 영역의 형성과 발전 과정 = 85
2. 공론 논변의 장르적 전통 = 93
3. 공론 주도층의 관념 세계 = 101
1) 세계와 인간에 대한 사대부의 인식 = 103
(1) 정치 주도 세력으로서의 신진사류의 형성 = 103
(2) 사대부의 역사 의식 = 110
(3) 사대부의 인간관 = 124
2) 공론에 대한 사대부의 인식 = 135
(1) 공론과 공론소재 = 135
(2) 공론과 공의 = 143
제4장 조선 전기 공론 논변의 분석 -임사홍 탄핵 논변을 중심으로- = 147
1. 맥락 분석 = 147
1) 배경과 참여자 = 147
(1) 사건의 배경 = 147
(2) 논변 참여자 = 157
2) 정황적 프레임 = 167
(1) 소통 행위 연쇄 분석 = 168
(2) 참여자 분석 = 182
2. 논증적 대화 분석 = 209
1) 의사소통의 양식 분석 = 209
(1) 의사소통의 공간 = 210
(2) 의사소통의 제 양식 = 217
2) 말차례 분석 = 226
(1) 문어적 소통 = 226
(2) 면대면 대화 = 227
(3) 간접적인 구두 대화 = 229
3) 진행 및 진행 연속체 분석 = 232
(1) 진행 및 진행 연속체의 유형과 연쇄 = 232
(2) 논증 도식의 유형 = 245
4) 화행 분석 = 251
(1) 화행의 유형 = 251
(2) 논거의 유형 = 255
제5장 조선 전기 공론 논변의 평가 = 265
1. 논변 평가의 준거 = 266
1) 논변 평가의 규준적 모델 = 266
2) 규준적 모델의 타당성 = 278
2. 논변의 합리성 평가 = 291
1) 논증적 대화에 대한 절차적 평가 = 291
(1) 대면 단계 = 291
(2) 개시 단계 = 292
(3) 논증 단계 = 294
(4) 종결 단계 = 294
2) 참여자의 역할 평가 = 300
(1) 판정자의 역할 = 300
(2) 논증자의 역할 = 303

제2부 고전 논변에 대한 국어교육적 접근
제6장 고전 논변 교육의 성격과 위상 = 309
1. 고전 논변 교육의 성격 = 310
2. 고전 논변 교육의 위상 = 325
제7장 고전 논변 교육의 과정 = 335
1. 교육과정의 마련 = 338
2. 학습 자료의 선정과 가공 = 339
3. 교수 학습의 실제 = 346

참고문헌 = 349

부록
유향소 복립 논변 = 365
임사홍 탄핵 논변 = 370

찾아보기 = 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