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3
1. 연구 목적 = 13
2. 연구사 검토 = 15
3. 연구 대상과 방법 = 18
3.1. 연구 대상 = 18
3.2. 연구 방법 = 21

제2장 문장종결법 연구를 위한 기본 논의 = 25
1. 문장종결법과 분류체계 = 25
1.1. 문장종결형과 문장종결법 = 25
1.2. 문장종결법의 분류기준 = 27
1.3. 문장종결법의 분류체계 = 39
2. 문장종결법과 관련 범주 = 41
2.1. 문장종결법과 상대높임법 = 41
2.1.1. 문장종결법과 상대높임법의 관계 = 41
2.1.2. 현대조선어 상대높임법의 분류체계 = 42
2.2. 문장종결법과 양태 = 47
2.2.1. 문장종결법과 양태의 관계 = 47
2.2.2. 현대조선어의 양태에 대한 논의 = 50
2.3. 현대조선어의 종결어미 설정과 형태소 분석 = 52

제3장 현대조선어의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실현 양상 = 57
1. 설명법 = 57
1.1. 설명법의 의미 = 58
1.1.1. 기존 연구의 검토 = 58
1.1.2. 설명법의 의미 = 59
1.2. 설명법 종결어미 = 62
1.2.1. 하소서체 = 63
1.2.2. 하십시오체 = 67
1.2.3. 해요체 = 78
1.2.4. 하오체 = 81
1.2.5. 하게체 = 90
1.2.6. 해체 = 95
1.2.7. 해라체 = 101
1.3. 설명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106
2. 감탄법 = 108
2.1. 감탄법의 의미 = 109
2.1.1. 기존 연구의 검토 = 109
2.1.2. 감탄법의 의미 = 111
2.2. 감탄법 종결어미 = 112
2.2.1. 해요체 = 114
2.2.2. 하게체 = 114
2.2.3. 해체 = 128
2.2.4. 해라체 = 130
2.2.5. 등급 불분명 = 138
2.3. 감탄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139
3. 약속법 = 141
3.1. 약속법의 의미 = 141
3.1.1. 기존 연구의 검토 = 141
3.1.2. 약속법의 의미 = 143
3.2. 약속법 종결어미 = 145
3.2.1. 하십시오체 = 145
3.2.2. 해요체 = 148
3.2.3. 하오체 = 149
3.2.4. 하게체 = 149
3.2.5. 해체 = 150
3.2.6. 해라체 = 153
3.3. 약속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154
4. 의문법 = 155
4.1. 의문법의 의미 = 156
4.1.1. 기존 연구의 검토 = 156
4.1.2. 의문법의 의미 = 159
4.2. 의문법 종결어미 = 161
4.2.1. 하십시오체 = 163
4.2.2. 해요체 = 169
4.2.3. 하오체 = 171
4.2.4. 하게체 = 177
4.2.5. 해체 = 181
4.2.6. 해라체 = 185
4.3. 의문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189
5. 명령법 = 191
5.1. 명령법의 의미 = 192
5.1.1. 기존 연구의 검토 = 192
5.1.2. 명령법의 의미 = 193
5.2. 명령법 종결어미 = 195
5.2.1. 하소서체 = 198
5.2.2. 하십시오체 = 199
5.2.3. 해요체 = 206
5.2.4. 하오체 = 210
5.2.5. 하게체 = 212
5.2.6. 해체 = 214
5.2.7. 해라체 = 215
5.3. 명령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219
6. 허락법 = 220
6.1. 허락법의 의미 = 221
6.1.1. 기존 연구의 검토 = 221
6.1.2. 허락법의 의미 = 223
6.2. 허락법 종결어미 = 224
6.2.1. 하게체 = 225
6.2.2. 해체 = 227
6.2.3. 해라체 = 227
6.3. 허락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231
7. 경계법 = 232
7.1. 경계법의 의미 = 232
7.1.1. 기존 연구의 검토 = 232
7.1.2. 경계법의 의미 = 233
7.2. 경계법 종결어미 = 235
7.2.1. 하십시오체 = 237
7.2.2. 해체 = 238
7.2.3. 해라체 = 239
7.3. 경계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242
8. 공동법 = 243
8.1. 공동법의 의미 = 244
8.1.1. 기존 연구의 검토 = 244
8.1.2. 공동법의 의미 = 246
8.2. 공동법 종결어미 = 248
8.2.1. 하십시오체 = 250
8.2.2. 해요체 = 256
8.2.3. 하오체 = 256
8.2.4. 하게체 = 257
8.2.5. 해체 = 262
8.2.6. 해라체 = 264
8.3. 공동법 종결어미와 문장종결법의 관계 = 267

제4장 결론 = 269
참고문헌 = 279
[부록 1] 현대조선어의 사전류와 문법서의 종결어미 비교목록 = 285
[부록 2] 현대조선어의 문장종결법에 의한 종결어미 분류표 = 299
[부록 3] 문학 작품 목록 = 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