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권

1. 문학사 이해의 새로운 관점
2. 원시문학
3. 고대문학
4.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5. 중세전기문학 제1기 삼국/남북국시대
6. 중세전기문학 제2기 고려전기

2권

7. 중세후기 문학 제1기 고려후기
7-1. 무신란 몽고란과 문학
7-2. 문학의 본질과 기능에 관한 논란
7-3. 불교문학의 새로운 경지
7-4. 민족사 재인식의 시대
7-5. 사람의 일생 서술방법
7-6. 속악가사와 소악부
7-7. 설화/무가/연극의 양상
7-8. 경기체가/시조/가사의 형성
7-9. 사대부문학의 방향과 문제의식

8. 중세후기문학 제2기 조선전기
8-1. 조선왕조 한문학의 정착
8-2. 훈민정음, 서시시, 언해
8-3. 악장, 경기체가, 가사
8-4. 시조의 정착과 성장
8-5. 관인문학과 왕조사업의 표리
8-6. 사림문학, 심성에서 우러나오는 소리
8-7. 방외인문학에 나타난 반감의 양상
8-8. 불교문학의 시련과 변모
8-9. 산문의 영역 확대
8-10. 소설의 출현
8-11. 연희의 양상과 연극의 저류

3권

9.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제1기 조선후기
9-1. 민족 수난에 대응한 문학
9-2. 정통 한문학의 동요와 지속
9-3. 소설시대로 들어서는 전환
9-4. 문학의 근본문제에 관한 재검토
9-5. 문학담당층의 확대
9-6. 실학파문학이 개척한 방향
9-7. 민요 민요시 악부시
9-8. 시조의 변이와 사설시조의 출현
9-9. 가사의 다양한 모습
9-10. 불교 도교 천주교문학
9-11. 한문과 국문, 기록과 표현
9-12. 설화, 야담, 한문단편
9-13. 소설의 성장과 변모
9-14. 서사무가에서 판소리계 소설까지
9-15. 민속극의 저력과 변용

4권

10.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제2기 1860~1918년
10-1. 민중종교운동과 문학
10-2. 구비문학의 활기와 긴장
10-3. 구시대 국문문학의 지속과 변모
10-4. 한문학에 부과된 사명
10-5. 의병 투쟁의 문학
10-6. 신구 문학관의 대립과 교체
10-7. 국문운동과 문체 혁신
10-8. 국문시가의 새로운 양상
10-9. 시대 각성을 위한 산문 갈래
10-10. 소설의 판도와 신소설의 위치
10-11. 민속극, 창극, 신파극
10-12. 신체시의 불안한 위치
10-13. 방황하는 세대의 소설
10-14. 망명지문학의 형성

5권

11. 근대문학 제1기 1919~1944년
11-1. 근대문학의 방향과 시련
11-2. 서양문학에서 받은 충격
11-3. 근대시 형성의 기본 과제
11-4. 근대소설을 이룩하는 과정
11-5. 시의 방황과 모색
11-6. 소설의 작품 세계와 문제의식
11-7. 희곡 정착을 위한 진통
11-8. 비평과 논쟁의 시대
11-9. 민요시 운동의 방향과 성과
11-10. 시조부흥운동의 전개 양상
11-11. 역사소설, 농촌소설, 통속소설
11-12. 희곡 창작의 다양한 노선
11-13. 내면의식을 추구한 시
11-14. 어두운 시대의 상황과 소설
11-15. 역사와 만나는 시의 번민
11-16. 주변으로 밀려난 한문학
11-17. 문학 안팎의 산문 갈래
11-18. 대중문화로 제공된 문학
11-19. 아동문학이 자라나는 모습

6권

일러두기

[색인]
내용색인
사항색인
- 작가
- 작품ㆍ문헌
- 작중인물
- 지역ㆍ건물ㆍ산천

제4판 전체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