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3
1.2. 연구 대상 = 15
1.3. 선행 연구 = 18
1.4. 논의 구성 = 34
제2장 한국어와 중국어의 접속문 체계 = 37
2.1. 한국어와 중국어의 접속문 = 37
2.1.1. 한국어 접속문 = 37
2.1.2. 중국어 접속문 = 41
2.1.3. 중국어 접속문의 비명시적 논리 연결 및 준접속문 = 43
2.1.4. 한ㆍ중 접속문 체계 대조 = 56
2.1.5. 한ㆍ중 접속문의 통사적 특성 = 57
2.2. 한국어와 중국어의 접속 표지 = 62
2.2.1. 접속 표지 사용 양상 = 62
2.2.2. 접속 표지 풀현 위치와 형태적 특성 = 67
2.2.3. 접속 표지 의미역 = 71
2.3. 한국어와 중국어의 접속문 분류 = 74
2.3.1. 한국어 접속문 분류 = 74
2.3.2. 중국어 접속문 분류 = 83
2.3.3. 한ㆍ중 접속문 분류 대조 = 97
제3장 한국어 원인ㆍ결과 접속문과 해당 중국어 구문 = 109
3.1. 한국어 원인ㆍ결과 접속문의 특성 = 109
3.1.1. ''-아서''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 = 109
3.1.2. ''-니까''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 = 117
3.1.3. ''-아서''와 ''-니까''의 용법 비교 = 125
3.1.4. 기타 원인ㆍ결과 접속문 = 129
3.2. 중국어의 원인ㆍ결과 접속문 = 133
3.2.1. 원인ㆍ결과 순의 인과관계 표헌 = 133
3.2.2. 결과ㆍ원인 순의 인과관계 표현 = 139
3.2.3. 인과관계 접속문에서 관련사의 위치 = 141
3.3. 한ㆍ중 원인ㆍ결과 접속문 대조 = 143
3.4. 이 장의 요약 = 147
제4장 한국어 조건ㆍ결과 접속문과 해당 중국어 구문 = 151
4.1. 한국어 조건ㆍ결과 접속문의 특성 = 152
4.1.1. 조건ㆍ결과 접속문의 일반 특성 = 152
4.1.2. 조건의 의미론적 유형 = 153
4.1.3. 조건ㆍ결과 접속어미의 의미와 통사적 특성 = 158
4.2. 중국어의 조건ㆍ결과 접속문 = 168
4.3. 한ㆍ중 조건ㆍ결과 접속문 대조 = 176
4.3.1. 조건ㆍ결과 접속문과 해당 중국어 표현 = 177
4.3.2. 조건의 의미론적 유형에 따른 중국어 표현 = 181
4.4. 이 장의 요약 = 186
제5장 한국어 양보ㆍ결과 접속문과 해당 중국어 구문 = 189
5.1. 한국어 양보ㆍ결과 접속문의 특성 = 189
5.1.1. 양보ㆍ결과 어미의 의미기능 = 189
5.1.2. 양보ㆍ결과 접속문의 통사적 특성 = 195
5.1.3. 양보ㆍ결과 접속문의 유형 = 198
5.1.4. 양보ㆍ결과와 조건ㆍ결과, 대립 접속어미의 구분 = 199
5.2. 한국어 양보ㆍ결과 접속문과 중국어 표현 대조 = 206
5.2.1. 양보ㆍ결과 접속문과 해당 중국어 표현 = 206
5.2.2. 중국어 구문의 접속 표지 생략 현상 = 212
5.2.3. 중국어 구문의 통사적 특성 = 216
5.3. 이 장의 요약 = 218
제6장 요약과 전망 = 221
참고문헌 = 226
찾아보기 =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