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 한국 대중음악의 정체성과 대중음악인의 자긍심을 위해 / 김광진
들어가며 / 저자 서문 󰋎 〈강남스타일〉과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 / 장유정
들어가며 / 저자 서문 󰋏 내가 한국 대중음악사 개론서를 쓴 이유 / 서병기

1부 대중음악의 이해
1장 대중음악의 정의와 몇 가지 개념들 / 장유정
대중, 대중음악, 그리고 한국 대중음악
대중음악의 용어와 개념

들을거리
생각거리

2부 한국 대중음악의 태동: 1920~1930년대
2장 한국 대중음악의 근원과 탄생 / 장유정
대중음악의 세 가지 근원들
대중음악의 탄생
대중음악사의 시대 구분

들을거리
생각거리

3장 대중음악의 출현과 갈래의 형성(1907~1944) / 장유정
음반 회사의 등장과 변천
대중음악 갈래의 형성과 그 양상
대중가요 생산자의 여러 모습
검열 제도와 군국가요
새로운 감수성의 형성과 세대간 분화

들을거리
생각거리

3부 해방과 분단 속 대중음악 재편: 1945~1953년
4장 해방공간의 대중음악(1945~1950) / 장유정
음반 산업의 재건
악극의 전성 시대
해방공간의 주요 대중가요
작사자, 작곡자, 그리고 가수

들을거리
생각거리

5장 전쟁과 대중음악(1950~1953) / 장유정
전쟁 중의 음반 산업과 공연 무대
전쟁가요의 세 가지 모습
전쟁 중에 재편된 대중음악 생산자

들을거리
생각거리

4부 전후 팝과 트로트 계열 대중가요: 1954~1969년
6장 전후 대중음악의 변화(1954~1960) / 장유정
전후 음반 산업의 현황
버라이어티쇼와 댄스홀, 미8군쇼
방송과 건전가요
세태 반영의 노래와 이국성의 노래

들을거리
생각거리

7장 서양 대중음악의 영향과 트로트의 부활(1961~1970) / 장유정
미8군 무대의 변화와 음악학원
음반 산업의 재편과 음반법
방송과 방송가요
트로트 계열 음악과 팝 계열 음악의 양분화
왜색가요 시비와 건전가요

들을거리
생각거리

5부 군부 독재와 통기타 포크송 시대: 1970년대
8장 청년 문화의 성장과 장르의 다양화(1971~1980) / 서병기
군사정권에 억눌린 상태에서의 대형 가수 중심의 대중음악 지형도
진실한 울림, 포크음악의 부상
세련된 청년문화의 상징 세시봉 세대의 대중적 인기

들을거리
생각거리

9장 록과 대학가 그룹사운드(1971~1980) / 서병기
한국 록과 록트로트
말하는 듯한 노랫말, 중독성 있는 장수 밴드: 산울림
대중가수 혜은이와 언더그라운드 포크가수 조동진
대학가요제와 강변가요제의 등장

들을거리
생각거리

6부 신군부와 조용필, 발라드 시대: 1980년대
10장 발라드·트로트·댄스 유행 속 대학·강변가요제 열풍(1980~1991) / 서병기
가왕 조용필의 등장
대학 그룹사운드의 본격적인 활동
대학가요제 출신 인기 트로트 가수: 심수봉
강변가요제 출신 가창력의 대명사: 이선희
본격 발라드의 시대
댄스음악의 본격 등장

들을거리
생각거리

11장 트로트·록·소울 블루스 다양화(1980~1991) / 서병기
트로트의 부활과 주현미
록의 새로운 전성기
소울 블루스 싱어 김현식과 발라드의 아버지 유재하

들을거리
생각거리

7부 민주화와 서태지, 댄스음악 시대: 1990년대
12장 아이돌 가수의 본격 부상과 인디음악의 성장(1992~1999) / 서병기
1990년대 대중음악의 특징
‘서태지와 아이들’의 등장, 대중음악 역사상 1992년의 의미
밀리언셀러들의 활약, 신승훈, 김건모, 조성모

들을거리
생각거리

13장 1995년, HOT를 시작으로 아이돌의 본격 성장 / 서병기
질적인 발전을 이루고 진화하는 아이돌가수
대형음악제작기획사 SM-YG-JYP의 등장

들을거리
생각거리

14장 싱어송라이터, 라이브시대의 스타들 / 서병기
고백풍의 김광석 음악, 저항 자유에서 시작한 윤도현, 강산에
1990년대를 풍미한 프로듀서 그룹, 공일오비015B
대중문화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떠난 ‘마왕’ 신해철
공연 문화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인 ‘라이브의 황제’ 이승환
1990년대의 코드: 윤종신ㆍ김동률ㆍ이적ㆍ윤상ㆍ토이
디바들의 탄생, 이은미ㆍ이소라ㆍ박정현
인디 신의 성장, 펑크밴드와 모던록
“인디와 주류는 따로가 아닌 상호보완적”
트로트 4인방의 활동

들을거리
생각거리

8부 K-pop 한류, 싸이와 세계화 시대: 2000년대
15장 아이돌 음악, 듣는 음악, K-pop 한류의 약진(2000~현재) / 서병기
아이돌 그룹의 세대 구분
오디션 음악 예능 프로그램의 등장과 발전
네오트로트 장윤정ㆍ박현빈ㆍ홍진영
세시봉, 7080 음악과 1990년대 복고음악의 유행
다양하게 개최되는 록페ㆍ인디음악페스티벌

들을거리
생각거리

부록 1. 한국 대중음악 주요 사건 연표(1894~1970)
부록 2. 한국 가요 40년 연도별 차트(1964~2003)
부록 3. 오프라인 음반시장의 구조와 동향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