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방언 사용권은 인간의 ‘기본권’

1부 방언의 등장
1장 조선시대의 방언
―처엄 들을 적은 귀에 서더니 오래 들으니 닉어가더라
2장 근대의 계몽운동과 방언
―영남 말씨는 강직하고 호남 말씨는 내교가 많다

2부 표준어의 대두
3장 조선총독부,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하다
―힘써 야비한 사투리를 쓰지 말지어다
4장 조선어학회, 표준어 단어를 정하다
―『표준말 모음』, 우리말을 바로 쓰는 데 없지 못할 책

3부 표준어와 방언의 대결
5장 근대 어문 운동의 두 방향
―문자보급 VS 방언 채집
6장 근대 문학 속의 방언
―언어 통일 VS 지방색
7장 광복 후 대중문화계의 큰 별들
―표준어파 VS 사투리파

4부 표준어의 석권, 방언의 눈물
8장 근대화의 희생양 ‘사투리’
―언어에 섞인 ‘잡스러운 것’을 떼어버리고
9장 심판대에 선 방언
―사투리 강한 인사, 사회 못 맡아
10장 법정에 선 표준어
―사투리 쓰는 사람은 교양 없는 사람?

5부 방언의 희망
11장 TV 속의 방언
―괜찮아유
12장 영화 속의 사투리 열풍
―니가 거시기 혀야 쓰겄다
13장 사투리 쓰는 사람들
―야야, 봉숙아

맺음말 전통 방언의 소멸 속도 늦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