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9

제1장 훈민정음 창제의 역사적 배경 - 한글 이전의 글자 생활
1. 옛날의 글자 = 27
2. 향가의 표기 글자 = 27
3. 사람 이름·땅 이름 표기 = 32
4. 이두(吏讀) = 34
5. 한문의 토 = 38
6. 한자의 약체(略體) = 40
7. 한자 차용에 실패한 이유 = 43

제2장 훈민정음의 창제
1. 창제의 동기와 경과 = 49
2. 그 방해꾼들 = 59

제3장 훈민정음 제작의 원리와 그 명칭
1. 훈민정음의 기원설들 = 65
2. 훈민정음 본문의 글자 용법에 대한 설명 = 67
3-1. 초성 제작의 원리 = 70
3-2. 글자와 소리의 형이상학 = 85
4. 중성 제작의 원리 = 89
5. 모아 쓰기 = 96
6. 마무리 = 107
7. 그 명칭 = 111

제4장 정읍과 더불어 꽃피기 시작한 참된 민족 문화-15세기 후반기
1. 진정한 역사 시대의 출발 = 119
2. 진정한 국문학의 출발과 불교의 토착화 = 120
3. 조선 한자음의 정리 = 128
4. 중국음 표기 체계의 확립 = 133
5. 한문 문헌의 번역과 한문 문화의 토착화 = 138

제5장 민족의 글자로서 정착된 훈민정음-16세기
1. 번역 사업의 계승 = 151
2. 시가 문학의 발전 = 154
3. 한자 교육에 이용된 훈민정음 = 157
4. 중국어 연구에 이용된 훈민정음 = 161

제6장 부챗살처럼 피어나간 한글 문화-17세기 이후
1. 한글과 소설 = 163
2. 민족의 정취가 넘쳐 흐르는 수필·일기 문화 = 167
3. 한글로 표기된 편지의 정다운 문체 = 171
4. 시가 문학의 발전 = 173
5. 시가집의 편찬 = 177
6. 번역과 외국어 학습 = 179
7. 실학과 한글 연구 = 181

제7장 한글 문화와 민족 정신의 수호 발전을 위한 투쟁
1. 역사의 표면에 떠오른 한글 = 183
2. 우리말 우리글의 발전을 위한 피나는 노력 = 189
3. 일제 침략에 대한 저항 = 193
4. 말과 글을 통한 민족 운동 = 196
5. 민족의 해방과 더불어 시작된 정상적인 국어 교육 = 201
6. 말과 글의 순화 운동 =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