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본식민문화가 남긴 찌꺼기 말 = 13
1. 국문학 속의 일본어 = 14
2. 민족 주체성 = 17
3. 우리 말속에 화석화된 일본말 = 20
4. 화투(花鬪) = 23
5. 일본의 외래어가 우리말로 잘못 쓰이는 보기 = 29
6. 사라진 우리말 = 32
7. 식음문화(食飮文化)의 주변 = 35
8. 일본어가 우리 국어화한 것 = 38
9. 엉뚱한 우리말 = 41
10. 가장 많이 쓰이는 일본어 = 44
11. 일본어의 잘못 쓰임 = 47
12. 진정한 우리말 찾기 운동 = 50
13. 일제가 남긴 유곽(遊廓) = 53
14. 생활용어 속의일본어 = 58
15. 우리말로 알고 쓰는 일본어 = 61
16.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 = 65
17. 접두사 ''모·생(母·生)''자에 붙은 일본어 = 68
Ⅱ. 교회의 마당에서 읽은 동양고전 = 71
1. 교육의 의미 = 72
2. 스승의 권위 = 75
3. 사범 = 78
4. 역자교지(易子敎之) = 81
5. 백년대계의 허점(虛點) = 84
6. 교학상장(敎學相長) = 87
7. 학생의 체벌(體罰) = 90
8. 왕따 = 93
9. 공부는 인내(忍耐)와 수양 = 96
10. 지식을 파는 교사 = 99
11. 교육의 일곱 가지 일 = 102
12. 교사가 챙겨야 할 네 가지 = 105
13. 설경(舌耕)·필경(筆耕)·목경(目耕) = 108
14. 유아교육 = 111
15. 정년(停年)·정년(定年) = 114
16. 교사의 자질(資質) = 118
17. 책 읽는 교사가 되자 = 121
Ⅲ. 아련한 젊은 날의 객기(客氣)에 취하여 = 125
1. 목련여운(木蓮餘韻) = 126
2. 영남루(嶺南樓) = 128
3. 춘치자명록(春雉自鳴錄) = 132
4. 티벳이란 어떤 나라 = 135
5. 우기(雨期)의 고도 = 138
6. 가을의 광상(狂想) = 142
Ⅳ. 국문학 언저리를 바장이다 보니 = 147
1. 청청송죽가 = 148
2. 노계(盧溪)문학의 특질 = 153
3. 구월산별곡 = 157
4. 〈노계문집〉삼차간행 = 162
5. 문화재보호를 바라다 = 166
6. 논쟁시의 발표력 지도방법 = 170
7. 여용국전(女容國傳) = 179
8. 홍자성(洪自誠)의 채근담〈菜根譚〉 = 184
9. 졸저서문(拙著序文) = 188
Ⅴ 방황하던 불혹(不惑)속에 주운 낙수(落穗)들 = 199
1. 근대화 = 200
2. 범람(氾濫)하는 사대주의 = 205
3. 몇 마디의 건의와 고언(苦言) = 208
4. 어느 날의 봉변 = 211
5. 개똥문화 = 214
6. 졸업(卒業)에 부쳐 = 218
7. 집 이야기 = 221
8. 백령도(白翎島) = 226
9. 새 역사창조 사반세기 = 232
10. 남기고 싶은 뒷이야기 = 237
11. 공(空) = 241
12.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 245
Ⅵ. 이역(耳逆)의 힘든 고비에서의 상념(想念)들 = 249
1. 공룡(恐龍)미국 = 250
2. 미켈란젤로와의 만남 = 253
3. 장도지난난난(藏道之難難難) = 256
4. 양모란기(養牡丹記) = 263
5. 식외도(食外道) = 267
6. 신새옹지마(新塞翁之馬)의 변(辨) = 270
7. 연보(年譜) = 273
8. 아버지와 아버님 = 276
9. 후생가외(後生可畏) = 279
10. 모산선생(慕山先生)과 40여년 세월 = 282
11. ''보단지''노래 = 286
12. 호사(豪奢)값 3천6백만원의 허망감(虛妄感) = 290
Ⅶ. 대학신문(大學新聞)에 끼적거린 단상(斷想)들 = 295
1. 소백산(小白山) = 296
2. 춘추탑(春秋塔) = 302
3. 상록수(常綠樹) = 320
Ⅷ. 시집(詩集)모자사[慕慈詞] = 327
1. 모자사(慕慈詞) = 328
2. 어머니 모시고 가는 차안에서 = 338
3. 운명(殞命) = 340
4. 꿈에 어머니를 뵙고 = 342
5. 어머니는 저 청산(靑山)에 = 344
6. 수의(壽衣) = 346
7. 아버지 모시고 = 348
8. 거제도 뱃길 = 349
9. 혼야(婚夜)2 = 351
10. 묵화(墨畵) = 354
11. 강가에서 = 356
12. 개화(開花) = 358
13. 낙화(洛花) = 359
14. 목련(木蓮) = 361
15. 봄날 과수원 = 362
16. 야간수업(夜間授業)을 마치고 = 363
17. 울릉기행(鬱陵紀行) = 365
18. 유감(有感) = 370
19. 화신(花信) = 371
20. 동지(冬至) = 372
21. 꽃에게 = 374
22. 연가(戀歌) = 375
23. 만춘(晩春) = 377
24. 입춘(立春)지나고 = 379
25. 인생(人生) = 380
26. 무제(無題) = 381
27. 단오(端午) = 382
Ⅸ. 일기초(日記抄)(1952 ~ 2000) = 383
Ⅹ. 부록 = 443
1. 명구(名句)·명언(名言) = 445
2. 호칭어(呼稱語)·지칭어(指稱語) = 484
3. 우리말 되찾기 = 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