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언어와 문화
1. 말은 정신의 지문(指紋) = 17
2. 고유어는 연어의 고향냇물 = 21
3. 말밑에 숨어 있는 것 = 24
4. 우리말의 아름다움 = 27
5. 우리말과 우리문화 = 31
6. 부끄러운 아리랑 = 35
7. 국어사랑, 나라사랑 = 37
02 자연인, 진정한 자유인 - 자연주의 언어
오솔길과 멋 = 43
1. 삭이고 푸는 문화 = 46
'어차피, 차라리'가 뜻하는 체념 = 47
심심풀이에서 푸닥거리까지 = 48
2. 한국인의 삶과 죽음 = 51
숨 쉬는 일과 삶 = 51
삶과 죽음의 언어 = 52
죽음으로부터의 자유 = 54
3. 자연에의 관조 = 56
(1) 농경문화의 언어적 특성
자연에의 순응과 조화 = 56
무언(無言)의 언어 = 57
낯빛과 눈치의 통찰력 = 59
시원섭섭함의 본심 = 61
(2) 계절 용어의 감각성
사계의 고유 이름 = 64
보릿고개와 바람꽃 = 67
지새는달, 는개 속을 거닐며 = 69
바람은 바람소리 = 71
사계의 바람이름 = 72
농사일에 관련된 용어 = 75
(3) 농사 일정에 맞춘 명절
차례(茶禮) 문화와 설 = 80
달거리노래로 듣는 고유 명절 = 82
(4) 땅이름에 스며든 방위 명칭
동향 대문에 남향 집 = 85
안골과 모람(內外) = 87
갓골 무네미[邊, 彼] = 89
아랫말[上下]과 고마내[前後] = 90
03 인정 적, 너무나 인간적 - 인본주의 언어
인간적인 한국인 = 95
정이란 것은 = 97
인간 중심의 척관법(尺貫法) = 99
1. 인간은 되어가는 존재 = 101
'-답다'와 됨됨이 = 101
갓난이에서 어른까지 = 102
장가들고 시집가고 = 104
맞선에서 댕기풀이까지 = 106
입덧에서 귀빠진 날까지 = 108
배냇짓과 짝짜꿍 = 110
2. 사람과 사람 사이 = 114
'한 가지'라는 공동체 의식 = 114
담과 허물 = 116
'우리' 속에 매몰된 '나' = 118
한국인의 서열 의식 = 120
서열에 따른 언어 표현 = 121
여보, 여기 보십시오 = 123
사나이와 가시내 = 125
'가시'의 파생어 = 127
놈과 년 = 129
아내와 마누라 = 130
도령과 서방 = 131
아버지와 어머니 = 133
아들과 딸 = 135
형제와 자매 = 136
아저씨와 아주머니 = 138
며느리 호칭 유감 = 140
3. 한국인의 희로애락 = 143
행복(幸福)의 고유어 = 143
한국인의 울음 = 146
우리 할매 우나 웃으나 = 147
4. 한국의 원시종교 = 150
끼와 기미(幾微) = 150
놀이와 신명 = 152
생활 속의 무속(巫俗) = 154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 155
비나이다, 바라나이다 = 157
신(神)의 고유어 = 159
하느님과 하나님 = 161
귀신들의 이름 = 163
언어의 주술성 = 165
덕담과 말의 씨 = 168
04 감성적, 너무나 감각적 - 감성주의 언어
1. 감각어의 감칠맛 = 174
'아'해 다르고 '어'해 다르다 = 174
미각 표현의 세계 = 177
연달래, 진달래, 난달래 = 180
상징어의 세계 = 184
2. 감성 언어의 뒤 안 = 187
상황 및 상대 중심의 언어 = 187
안개 언어 = 189
안개 어휘 = 191
체면이라는 자갈밭 = 192
3. 한국인의 숫자 관 = 195
'셈치고'의 생리 = 195
손가락으로 세는 수 = 196
하나에서 열까지 = 199
하루에서 열흘까지 = 201
어제와 오늘, 그리고 = 202
새벽에서 밤까지 = 204
에누리와 드림셈 = 204
4. 한국인의 놀이 문화 = 209
놀이의 유형 = 209
놀이는 곧 노래 = 211
윷놀이 용어 = 212
수수께끼와 숨바꼭질 = 214
카드놀이의 대명사, 화투 = 217
화투 놀이 용어 = 219
국민의 오락(?), 고스톱 = 222
5. 변모하는 한국인 심성 = 225
'빨리빨리'라는 습성 = 225
된소리 발음의 만연 = 228
꿍따리 샤바라 = 230
파괴와 전쟁의 세태 = 232
극단적인 표현법 = 233
6. 욕설의 두 얼굴 = 236
욕 말[辱語]과 욕설 = 236
욕설의 본심 = 238
출신, 성분의 비하 = 240
용모, 행실의 비하 = 242
형벌 관련 욕설 = 249
질병에 의한 저주 = 252
05 고유어로 보는 의식주 문화
한 톨의 쌀, 한 올의 실 = 259
1. 한국의 의상 문화 = 261
(1) 한복의 특성
옷깃에 스친 인연 = 261
반개방성과 평면성 = 263
외향성과 맺음형 = 265
한국은 모자 왕국 = 268
세모시 옥색 치마 = 269
주머니와 신발 = 271
(2) 한복의 고유 명칭
바지, 저고리 = 273
여성용 장신구 = 276
속옷과 속곳 = 278
(3) 바느질 용어
다듬이질하는 여인 = 280
바늘과 실 = 282
깁고 박고 누비고 = 284
2. 한국의 식생활 문화 = 287
(1) 식(食) 문화의 특성
한솥밥의 의미 = 289
한민족은 탕(湯)민족 = 292
발효 식품의 종주국 = 294
가공 조리 용어 = 299
그릇의 고유 명칭 = 302
(2) 전통적인 음료수
숭늉과 막걸리 = 306
술의 어원 = 308
한국인의 건배 용어 = 311
(3) 곡물과 채소명
겉곡식과 알곡식 = 313
벼와 쌀 = 315
보리와 조 = 317
수수와 고구마 = 319
한중 혼합의 채소명 = 321
향신료와 조미료 = 323
(4) 육류의 고유 명칭
쇠고기와 육류 = 326
육류 명칭의 허실 = 328
생선의 고유명 = 334
(5) 빗나간 먹거리(?) 명칭
닭도리탕과 아구탕 = 338
주물럭과 보신탕 = 340
3. 한국의 주택 문화 = 344
집이란 말의 의미 = 344
한국인의 전통집 = 346
오두막집에 대한 향수 = 348
온돌방의 아랫목 = 351
한국인의 신전(神殿) '마루' = 353
집 구조에 딸린 용어 = 355
06 우리말 속의 한자어
1. 한자어의 수용 과정 = 359
귀화어로의 정착 = 364
한ㆍ중ㆍ일 삼국의 한자어 = 367
북방 알타이제어의 흔적 = 369
세 종류 어휘의 위상 = 372
2. 고유어와 한자어의 혼용 = 375
(1) 한자어의 고유어화 = 376
(2) 고유어와 한자어의 혼용어 = 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