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 7
1. 연구 목적 및 범위 = 9
2. 자료와 연구 방법 = 11
3. 연구사 개관 = 14
3.1 서지학적 고찰 = 14
3.2 음운ㆍ표기에 대한 연구 = 16
3.3 어휘 및 통사에 대한 연구 = 19
3.4 漢語文에 대한 연구 = 20
3.5 「老朴集覽」에 대한 연구 = 21
제2장 老乞大ㆍ朴通事의 편찬과 간행 = 23
1. 老乞大ㆍ朴通事의 편찬 = 25
1.1 諸 記事에 의한 편찬 연대의 추정 = 25
1.2 老乞大에 의한 편찬 연대의 추정 = 27
1.3 朴通事에 의한 편찬 연대의 추정 = 30
2. 書名과 著者에 대한 諸 異說 = 40
2.1 書名 = 40
2.2 著者 = 43
3. 老乞大ㆍ朴通事의 刊本 = 47
3.1 漢語本 간본 = 47
3.2 諺解本 간본 = 52
3.3 「老朴集覽」 = 62
제3장 老乞大ㆍ朴通事의 內容 및 文體的 特徵 = 73
1. 老乞大의 내용 = 76
2. 朴通事의 내용 = 86
3. 文體的 특징 = 90
3.1 對話體 형식 = 91
3.2 散文的 표현 = 92
3.3 騈文의 형식 = 93
3.4 ‘平話’와 ‘設書’의 형식 = 95
3.5 俗談과 格言의 형식 = 99
제4장 老乞大ㆍ朴通事 漢語文의 性格 = 103
1. 漢語의 시대적 구분 = 105
2. ‘漢兒言語’의 성격 = 109
3. ‘元朝言語’의 성격 = 115
제5장 老乞大ㆍ朴通事의 漢語 語彙 = 133
1. 名詞 = 136
1.1 고유 명사 = 136
1.2 보통 명사 = 142
1.3 名詞 詞尾(접미사) = 149
2. 代名詞 = 154
2.1 인칭 대명사 = 154
2.2 지시 대명사 = 157
2.3 의문 대명사 = 162
3. 動詞 = 168
4. 形容詞 = 184
5. 副詞 = 190
6. 介詞(전치사) = 198
7. 後置詞 = 202
8. 接續詞 = 209
9. 助詞 = 214
9.1 構造 助詞의 사용 = 218
9.2 時態 助詞의 사용 = 222
9.3 語氣 助詞의 사용 = 229
10. 量詞 = 243
10.1 ‘箇’ 형태의 사용 = 243
10.2 기타 量詞의 사용 = 248
10.3 ‘量詞 + 家’의 형태 = 250
11. 對譯文 어휘의 문제점 = 253
제6장 老乞大ㆍ朴通事의 漢語 文法 = 271
1. 동사 목적어의 위치 = 274
2. ‘有’와 ‘沒’의 사용 = 276
3. 의문사 ‘怎麽’의 위치 = 281
4. 修飾語의 위치 = 284
5. ‘把字句’에서 ‘不’의 위치 = 287
6. 介詞(전치사)의 생략 = 289
7. 복합문의 유형과 접속어의 사용 = 293
7.1 접속어에 의한 복합문의 유형 = 295
7.2 어미조사 ‘...時’의 사용 = 301
제7장 맺음말 = 305
첨부 논문 1 = 315
첨부 논문 2 = 361
자료 문헌 = 395
참고 문헌 = 396
원본 「老乞大」 영인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