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ⅲ
머리말 = ⅴ
수정판에 부쳐 = ⅶ
제1장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방법 = 1
1.2. 선행연구 검토와 문제제기 = 4
1.2.1. 구조분석 위주의 단어 연구 = 4
1.2.2. 형성의 관점에 선 조어론 = 8
제2장 단어형성 논의를 위한 기본 전제
2.0 도입 = 15
2.1. 접사체계의 검토 = 16
2.1.1. 파생과 굴절의 검토 = 16
2.1.2. 어휘적 접사와 통사적 접사의 유형 = 20
2.2. 핵 개념과 유형 = 33
2.2.1. 핵의 개념 = 33
2.2.2. 어휘핵과 통사핵의 설정 = 36
2.3. 단어의 개념과 유형 = 42
2.3.1. 단어의 개념 = 42
2.3.2. 단어의 유형 = 45
2.4. 단어형성의 문법적 위상 = 54
2.4.1. 단어형성이론의 전개양상 = 54
2.4.2. 국어의 단어형성 모델 = 64
제3장 어휘부의 단어형성론
3.0. 도입 = 75
3.1. 단어형성의 기초원리 = 76
3.1.1. X 형태론의 문제점 = 76
3.1.2. 형성원리와 연산과정 = 83
3.2. 파생어 형성원리 = 96
3.2.1. 파생어의 정의와 범주 = 96
3.2.2. 명사파생 = 97
3.2.3. 동사파생 = 133
3.3. 복합어 형성원리 = 162
3.3.1. 복합어의 정의와 유형 = 162
3.3.2. 복합어의 형성 = 170
3.4. 단어형성의 순서와 경계 = 179
3.4.1. 유순가설 = 179
3.4.2. 어휘적 단어의 경계 = 199
3.5. 사잇소리현상 = 205
3.5.1. t-삽입현상 = 206
3.5.2. n-삽입현상 = 221
3.6. 단어형성의 제약 = 226
3.6.1. 통사론적 제약 = 227
3.6.2. 의미론적 제약 = 229
3.6.3. 형태론적 제약 = 235
3.6.4. 음운론적 제약 = 238
3.6.5. 저지현상 = 239
제4장 핵 이동과 통사적 단어형성
4.0. 도입 = 245
4.1. 핵 이동의 개념과 제약 = 246
4.1.1. 통사론의 형태정보와 인접조건 = 246
4.1.2. 핵이동의 정의와 조건 = 249
4.1.3. 핵이동의 구조와 제약 = 252
4.2. 통사적 접사화 = 253
4.2.1. ''명사구+접사''의 기저구조와 핵이동 = 254
4.2.2. ''동사구+접사''의 기저구조와 핵이동 = 265
4.2.3. 통사적 어휘접사화 = 292
4.2.4. 부사화접사 ''-이'' = 322
4.3. 통사적 복합어의 형성원리 = 339
4.3.1. ''명사+동사+접사''의 단어형성 = 340
4.3.2. 관형구성에서의 단어형성 = 377
4.3.4. ''공부하다''류와 ''좋아하다''류의 단어형성 = 398
제5장 복제원리와 음운적 단어형성
5.0. 도입 = 427
5.1. 어휘부의 음운적 단어 = 428
5.1.1. 첩어에서의 후두음층렬 = 428
5.1.2. 첩어에서의 모음조화층렬 = 428
5.1.3. 첩어형성원리와 유형 = 486
5.2. 통사부의 음운적 단어 = 500
5.2.1. 관형구성에서의 음운적 단어 = 501
5.2.2. 음운론적 증거 = 504
5.2.3. 음운적 단어의 형성과정 = 509
제6장 결론
6.0. 연구의 의의 = 511
6.1. 내용 요약 = 514
6.2. 남은 문제 = 526
(참고문헌) = 529
(찾아보기) = 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