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한국어판 서문
일러두기
제1장 「라(ら)」생략어형(라누키 코토바, ラ발きことば)의 배경
1.1 ''라(ら)''생략어형은 어떻게 퍼졌나 = 3
1.2 사용법의 차이 = 10
1.3 명석화라는 변화 이유 = 12
1.4 ''라(ら)''생략어형과 동사활용 = 16
1.5 문법의 단순화 = 21
1.6 천년 이래의 큰 흐름 = 25
1.7 ''라(ら)''생략어형에 대한 태도 결정 = 30
제2장 「쟝(じゃん)」이 걸어온 길
2.1 「쟝(じゃん)」의 상경 = 35
2.2 「다(だ)」, 「쟈(じゃ)」, 「야(や)」의 분포와 역사 = 39
2.3 「쟝(じゃん)」, 「양(やん)」과 「다(だ)」, 「쟈(じゃ)」, 「야(や)」의 관계 = 43
2.4 「쟝(じゃん)」, 「양(やん)」의 전국 확대 = 49
제3장 간략화 움직임
3.1 칫타(ちった) ←챳타(ちゃった) ←치맛타(ちまった) ←테 시맛타(てしまった) = 55
3.2 말의 에너지 절약 발음과 그 영향 = 60
3.3 새로운 ''라(ら)''행 5단활용 「와칸나이(わかんない)」의 탄생 = 65
3.4 동사 「치가우(違う)」의 형용사화 = 69
3.5 「미타이나(みたいな)」에서 「미타쿠(みたく)」로 = 75
3.6 규칙을 따른 「이쿠나이(いくない)」 = 78
3.7 간략화 움직임 = 84
제4장 토오쿄오말의 저류
4.1 밑에서부터의 변화 = 89
4.2 「우잣타이(うざったい)」의 확산 = 90
4.3 「캇타루이(かったるい)」의 채용 = 97
4.4 「야하리(やはり)」에서 「얍파시(やっぱし)」로 = 99
4.5 혹카이도오의 「아오탕(あおたん)」 = 104
4.6 강조어의 역류 = 109
4.7 방언으로부터의 채용과 비어ㆍ속어 = 111
제5장 새로운 방언의 확산
5.1 전국 각처의 움직임 = 121
5.2 동일본 「이이베(いいべ)」의 합리성 = 123
5.3 혹카이도오의 「쇼(しょ)」의 진출 = 125
5.4 서일본의 「이캉캇타(行かんかった)」 = 129
5.5 각처에서 생기고 있는 변화 = 132
5.6 확산되는 새로운 어형 = 134
5.7 인상적인 표현 = 138
5.8 음운 간략화의 몇가지 예 = 142
5.9 방언의 새로운 탄생 「신방언(新方言)」 = 143
제6장 경어의 최전선
6.1 ''데스카(ですか)''의 간소화 = 149
6.2 「…쟈 나이 데스카(じゃないですか)」의 기능 확대 = 153
6.3 ''데스(です)''의 진출 = 157
6.4 ''(라)레루((ら)れる)''경어의 동진 = 161
제7장 거슬리는? 어조
7.1 쇠퇴하는 ''가(が)''행 비탁음(鼻濁音) = 167
7.2 전문가 악센트 = 172
7.3 평판화의 확대와 그 역사 = 178
7.4 평판화가 일어난 이유 = 185
7.5 새로운 억양의 출현 = 189
7.6 반의문억양 = 192
7.7 악센트와 억양의 기능변화 = 195
제8장 언어변화의 파악방법
8.1 네 개의 차원 = 201
8.2 언어변화의 우산 모델 = 206
주(註) = 208
인용문헌 = 211
끝으로 = 214
저서소개 및 역자후기 = 216
찾아보기 = 221
지도편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