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제1부 순화, 외래어, 규범 = 1
第1章 國語醇化 = 3
1.1 國語醇化問題의 전개 = 4
1. 國語醇化問題 = 5
2. 文法과 말본(1963) = 6
3. 國語醇化에 관한 政策 = 8
4. 國語醇化運動(1978) = 16
5. 고운이름 자랑하기(1978) = 20
6. 國語의 순화(醇化)(1968) = 23
1.2 國語醇化와 민족적 傳統性 = 26
1. 國語醇化와 放送言語(1985) = 26
2. 토론(放委) : 放送言語의 醇化方案(1986) = 37
3. 國語醇化의 現實과 展望(1988) = 45
4. 漢字語 정책의 문제와 轉換의 방향(1997) = 55
5. 한자어 정리의 한 방안(2001) = 60
6. 조선어(한국어) 학술회의 소감(2001) = 67
7. 좌담(國硏) : 國語生活의 禮節(1987) = 68
第2章 外來語 = 81
2.1 外來語問題의 전개 = 82
1. 外來語問題 = 82
2. 外來語의 濫用問題 = 86
3. 外來語의 表記問題(1979) = 89
4. 「외래어 표기법 시안」(1979) = 92
2.2 外來語와 민족적 主體性 = 96
1. 亂脈相 이룬 外來語表記(1974) = 96
(1) 學界의 意見 : 金敏洙 교수(國語學, 高大)(1974) = 97
(2) 外來語表記 엉망이다 : 전문가의 의견 金敏洙(1977) = 98
2. 外來語表記에 대한 反省과 問題點(1979) = 99
3. 外來語의 受容과 醇化(1986) = 115
4. 外來語, 外國語의 바른 表記(1985) = 117
5. 토론(KBS) : 外來語의 表記와 發音(1987) = 119
6. 토론(趙鑛九) : 외국어 남용의 문제(1992) = 123
第3章 國語規範 = 127
3.1 標準語問題의 전개 = 128
1. 標準語問題 = l28
2. 標準語의 基準 = 130
3. 한글 맞춤법의 改定作業(1979) = 133
4. 標準語의 改定作業(1979) = 139
5. 4개 改正試案(1978) = 143
3.2 綴字法問題의 전개 = 145
1. 國語正書法問題 = 145
2. 國語正書法의 基準(1979) = 147
3. 맞춤법 改定의 準備作業 問題(1970) = 149
4. 「맞춤법 개정시안」(1978) = 150
5. 겹받침의 發音과 表記(1992) = 152
6. 訓民正音 頒布와 八終聲(1994) = 162
3.3 한글字母問題의 전개 = 165
1. 한글字母問題 = 166
2. 한글字母의 字數(1978) = 169
3. 조선어학회, 「한글 첫 걸음」(1945) = 170
4. 한글타자기의 字盤(1978) = 171
5. 자료:경솔한 학자들 때문에 한글 전용이 늦어지고 있다(1976) = 179
6. 國語生活의 機械化(1987) = 181
7. 문자의 최소가지차이(最小可知差異)(1999) = 184
3.4 로마字問題의 전개 = 186
1. 로마字問題 = 186
2. 國語의 로마字表記 = 188
3. 로마字表記의 改定作業(1979) = 190
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시안」(1979) = 191
3.5 國語規範과 현대적 文化性 = 194
1. 「한글 맞춤법 改定案」(1987) = 194
2. 최초의 國定 맞춤법(1988) = 200
3. 개정된 맞춤법과 표준어(1988) = 201
4. 서평 : 金達鎬 著 「바른말백과」(1989) = 207
5. 논평 : 兪萬根, "한글 맞춤법의 問題點"(1990) = 208
6. 국어 규범의 개정에 대하여(1998) = 214
제2부 교육, 정책, 운동 = 219
第4章 國語敎育 = 221
4.1 國語敎育과 규범적 社會性 = 222
1. 토론(2敎組) : 교과서의 文章(1981) = 222
2. 토론(敎開院) : 國語科 敎育課程(1985) = 228
3. 學校文法論(1986) = 235
4. 우리말의 규범생성문법에 대하여(2003) = 253
5. 公職者와 國語生活(1988) = 261
6. 國語 敎授法(1946) = 277
7. 國語의 槪念과 그 特性(2004) = 302
4.2 漢字敎育과 기초적 國語力 = 304
1. 漢字敎育과 漢字政策 = 304
(1) 漢字倂記는 國語理解의 지름길(1974) = 304
(2) 분명해진 漢字政策(1977) = 307
(3) 漢字問題 : 金敏株, 「國語政策論」(1973) = 309
2. 大學의 基本漢字敎育(1975) = 310
3. 자료 : 읽기지도용 配定漢字(1985) = 324
4. 漢字의 略字(1981) = 326
5. 「漢韓大辭典」 試案本(1986) = 330
6. 朝鮮光文會, 「新字典」(1915) = 333
7. 세종대왕의 학술에 대한 신념(1999) = 334
第5章 國語政策 = 343
5.1 國語問題와 國語政策 = 344
1. 國語政策의 갈피(1955) = 344
2. 國語問題의 現段階(1976) = 353
3. 言語意識과 言語政策(1978) = 364
4. 서평 : 南廣祐 「國語國字論集」(1982) = 366
5. 國語의 現實과 나아갈 길(1984) = 369
6. 國語施策의 改善을 위한 方案 = 381
(1) 日本文化廳 調査團의 질의(1975) = 381
(2) 文化部 語文施策의 基本事業(1990) = 389
(3) 吳元敎 교수 : ''수캐→수개''에 관한 질의(2000) = 391
5.2. 國語辭典과 言語規範 = 392
1. 國語辭典의 어제와 오늘(1986) = 392
2. 國語辭典 : 標題語와 排列問題(1986) = 397
3. 서평 : 李基文 編, 「俗談辭典」(1962) = 415
4. 「큰 사전」과 健齋(1996) = 424
5. 좌담(KBS) : 이윤재, 「표준 조선말사전」(1947) = 434
第6章 國語運動 = 449
6.1 國語問題와 國語運動 : 近代의 國語運動(1993) = 452
1. 緖論 : 社會生活과 民族意識 = 452
2. 國文確立期(1894~1910) : 甲午更張과 國語의 確立運動 = 459
(1) 前期 : 國文意識期(1894~1904) = 459
(2) 後期 : 規範摸索期(1904~1910) = 470
3. 國語守護期(1910~1945) : 韓日合邦과 國語의 守護運動 = 479
(1) 前期 : 國語自尊期(1910~1919) = 479
(2) 中期 : 規範確立期(1919~1937) = 485
(3) 後期 : 抹殺抗日期(1937~1945) = 490
4. 結論 : 國語運動과 그 後光 = 493
6.2 國語運動 : 단체와 자료 = 495
1. 國語運動의 단체 = 495
(1) 國文同式會(1896) = 495
(2) 「한글모죽보기」(1917) = 496
(3) 朝鮮正音會(1923) = 497
2. 國語運動의 문헌 = 498
(1) 「國文正理」(1897) = 498
(2) 「新訂國文」(1905) = 499
(3) 「國文正式」의 印本原形인 「대한국문」(1905) = 500
(4) 「語文硏究」誌의 創刊(1973) = 508
3. 朝鮮語學會의 創立과 그 沿革 = 514
(1) 緖論 : 朝鮮語學會의 創立 = 514
(2) 제1기 啓蒙成長期(1908~1921) = 516
(3) 제2기 參與活動期(1921~1949) = 519
① 參與結束期(1921~1932) = 520
② 參與抵抗器(1932~1945) = 525
③ 參與施策期(1945~1949) = 529
(4) 제3기 單獨運動期(1949~ ) = 533
(5) 結論 : 回顧와 展望 = 536
4. 국어국문학회 : 초창기에 잠겼던 사실들(2002) = 538
5. 국어국문학회 41주년 기념사 = 542
6. 국어국문학회 전국대회 기념사(2004) = 543
6.3 國語運動家와 그 活動 = 544
1. 李允宰와 항일기의 민족어 연구(1992) = 544
2. 자료 : 유저 전시 목록(이윤재 선생의 달) = 550
3. 장지영 선생의 생애와 학문(1997) = 554
4. 張志暎 선생의 傳記에 대하여(1997) = 564
5. 現代貧困期의 學會活動과 南汀(1998) = 571
6. 南廣祐 선생의 學問과 業績(1998) = 579
7. 서평 : 南廣祐, 「韓國語의 發音硏究」(1984) = 585
6.4 國語規範과 民族語의 將來 = 587
1. 國語規範의 變遷(1991) = 587
2. 첨단시대의 言語文化(1990) = 595
3. 미래의 著述과 出版(1990) = 598
4. 國語의 보편적 特質(1955) = 599
제3부 교포, 북한, 통일 = 605
第7章 교포의 言語와 民族性 = 607
7.1 해외의 母國語와 우리말 = 607
1. 民族과 民族語(1981) = 607
2. 二重言語學會의 창립과 그 발전(1991) = 611
3. 世界化와 民族語의 장래(1995) = 621
4. 좌담(二言學) : 二重言語와 母國語(1985) = 625
5. 토론(二言學) : 日本에서의 한국어 교육(1988) = 636
6. 외국에서의 모국어 교육(2003) = 646
7.2 우리말의 國際性과 고려인 = 651
1. 우리말의 國際的 分布와 統合의 展望(1996) = 651
2. 한국어, 國際社會의 관심(1989) = 659
3. 토론(二言學) : 한국어 통일의 전망(1991) = 662
4. 모스크바의 韓得鳳 교수(1991) = 673
5. 좌담(二言學) : 알아마타 고려인의 생활과 언어(1991) = 676
6. 좌담(二言學) : 타슈켄트의 한국어 교육(1991) = 686
7. 타슈켄트의 明月峰 교수(1991) = 691
7.3 中國朝鮮語와 그 規範 = 696
1. 자료 : 宣德五 외, 「朝鮮語簡志」(1985) = 696
2. 中國朝鮮族의 言語(1990) = 702
(1) 그 변화의 실태와 갈등 = 702
(2) 그 文章語와 口頭語 = 706
(3) 그 自治地域의 정책 = 710
3. 자료 : 延邊朝鮮族自治州 條例 = 713
(1) 연변조선족자치주 조선어문사업조례(1988) = 713
(2) 연변조선족자치주인민정부조선어문 학습사용 상벌실시규정(1989) = 719
4. 좌담(二言學) : 中國에서의 한국어 교육(1990) = 721
5. 중국 조선족의 모국어와 그 연구(1987) = 726
(1) 崔吉元 교수와 간담회(1987) = 726
(2) 중국 조선족의 모국어와 그 연구(1987) = 727
(3) 중국 「韓國語」 교과서의 편찬(1995) = 732
6. 토론(西江大) : 言語와 體制統合(1989) = 733
7. 토론(韓中友協) : 漢字文化圈內 漢字生活(1991) = 736
第8章 北韓言語와 그 異質化 = 743
8.1 북한언어의 실태 = 743
1. 대담(KBS) : 北韓의 言語(1989) = 743
2. 서평 : 「북한용어 250선집」(1992) = 751
3. 南北韓의 맞춤법, 표준어(1989) = 756
4. 남북한 언어의 차이 = 766
(1) 국어순화와 말다듬기(1995) = 768
(2) 표준어와 문화어(1995) = 776
(3) 40자모와 맞춤법(1995) = 785
(4) 언어 정책과 통일 의식(1996) = 796
5. 北韓의 口語體言語에 대하여(1991) = 804
6. 북한의 한자 교육(1999) = 823
7. 자료 : 북한 교육용한자 3000자표(1972) = 831
8.2 북한언어의 연구 = 852
1. 분단 40년의 北韓言語 = 852
2. 분단 이후 북한의 우리말 종합정리(1991) = 861
3. 「북한의 어학혁명」(1989) = 866
4. 서평 : 전수태, 최호철, 「남북한 언어비교」(1989) = 869
5. 남북한의 언어교육(1989) = 874
6. 北韓의 言語敎育政策(1973) = 884
7. 대담(韓經聞) : 南北언어 異質化 해소 1世紀(1991) = 902
8.3 북한의 國語硏究史 = 907
1. 북한 國語硏究史 개요(1991) = 907
2. 北韓의 國語硏究 動向(1990) = 913
3. 現代의 國語硏究史緖論(1993) = 933
4. 논평 : 「조선어문법」(1949)의 分析 檢討(1991) = 938
5. 서평 : 「조선문화어문법」(1979) = 942
6. 北韓의 主體思想과 言語政策(1996) = 950
7. 南에서 기억하는 北 류 렬 교수(2000) = 967
8. 북한 연구의 어제와 오늘 = 972
第9章 言語統一과 그 方案 = 983
9.1 통일을 지향한 南北統一 = 953
1. 우리가 가꾸어야 할 우리 언어문화(1990) = 983
2. 토론(統一院) : 南北文化交流의 方案(言語)(1994) = 985
(1) 南北學術交流의 方案(1990) = 989
3. 우리말과 民族同質性(1994) = 990
(1) 同推會 창립 및 그 경과보고(1994) = 993
(2) 우리말 同質性 회복 및 향상 推進會(案)(1993) = 995
(3) 김민수 同推會 회장(1994) = 996
4. 남북공동주최, 국제학술대회 준비(1995) = 997
(1) 남북간 합의의 경과 = 997
(2) 행사에 대한 북측의 관점 = 998
(3) 제1회 공동행사의 준비 = 999
(4) 同推會 운영의 방향 = 1001
(5) 동추회 소식 = 1002
5.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의 목표(1998) = 1005
(1) 서울지회의 창립 = 1005
(2) 國際高麗學會 서울支會 發起趣旨文(1998) = 1008
(3) 제1회 학술대회 개회사(1999) = 1010
(4)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연혁(2000) = 1011
(5) 국제고려학회 고문 추대 요청서(1993) = 1013
6. 남북의 언어 정책과 국어 교육(1994) = 1014
7. 解放後 國語規範의 變遷(1991) = 1021
9.2 南北言語 통일의 방안 = 1037
1.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 = 1037
(1) 토론(南北交協) : 南北韓 言語의 異質化 克服方案(1996) = 1037
(2) 제2 주제발표 : 남북한 언어이질화 갈수록 심화(1996) = 1039
2. 토론(二言學) : 남북한 언어의 통일문제(1990) = 1041
3. 민족통일과 남북의 언어 격차(1992) = 1049
4. 民族語의 統一問題(1998) = 1062
5. 한글의 國際標準轉字法(1991) = 1069
6. 남북언어의 비교 : 통일 후의 민족어 교육(1995) = 1073
7. 남북의 언어통합과 공용어(2003) = 1085
8. 국어규범 남북절충에 관한 연구 = 1096
9.3. 民族語와 그 전망 = 1103
1. 民族語의 將來(1997) = 1103
2. 言語와 民族의 問題(1990) = 1112
3. 北韓지역 先史人 : 韓國人의 기원(1989) = 1124
4. 우리의 民族統合과 民族語의 連帶性(1998) = 1127
5. 初等學校 英語科의 必須條件(1997) = 1132
6. 人類의 生成과 言語의 分化 = 1153
7. 混成語 : 크리올語(creole)(1990) = 1161
참고문헌(연대순)(1) = 1165
참고문헌(연대순)(2) = 1182
인명 색인 = 1199
서명 및 용어 색인 =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