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말로 배워 글 쓰는 일의 어려움과 즐거움 = 4

01 첫째 벼리 외침 = 9
새 정부의 언어 정책을 꾸짖는 외침 -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 = 11
모두 잠깨어 일어날 때, 눈을 반짝 뜨고 바라볼 때
- 열네 번째 우학모 말나눔 잔치를 여는 인사 말 / 정현기 = 17
왕명에 의해 만들어진 훈민정음이 공용문서로 쓰이지 못한 이유
- 열다섯 차례 우리말로 학문하기 말 나눔 잔치를 여는 말 / 정현기 = 21
직업, 학문, 문학, 교육
- 2007년도〈우학모〉말 꽃 잔치 / 정현기 = 25
우리말로 학문하기 / 박영식 = 49
우리말로 철학하기의 밑그림 / 박영식 = 59
우리말로 문화 읽기가 필요한 몇 가지 이유 / 임재해 = 71
영국 종교개혁에서 토착어(영어)의 역할 / 양권석 = 127
메이지기 "individual"이 "個人"으로 번역되기까지
- 한중일의 용례를 중심으로 / 최경옥 = 145

02 둘째 벼리 불림 = 159
글쓰기와 사무침 / 구연상 = 161
한국인에게 아름다움은 무엇인가 / 최봉영 = 209
''예 철학하기''의 방법에 대한 한 애벌그림 그리기
- 우리철학하기를 위한 하나의 시론 / 이하배 = 245

03 셋째 벼리 원전찾기 = 275
세종 때 두 노래가 우리말글 살이에 끼친 은덕 / 김정수 = 277
『석보상절』로 본 우리말 ''줄글'' 표현 / 김두루한 = 291
노래의 샘, 말의 길 - 우리 시가의 본바탕 / 윤덕진 = 313
오규원의 날이미지시와 상징어의 기능
- 우리말로 시(詩)쓰기의 예 1 / 박경혜 = 333

주 =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