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구조의 변동
해방∼한국전쟁 직후 서울 공업의 재편성 / 배성준 = 23
1. 머리말 = 23
2. 해방 직후 공업 위축의 추이 = 25
1) 해방 직후의 지속적인 공업 위축 = 25
2) 공업 위축의 추이 = 31
3) 해방 직후의 공업 현황 = 41
3. 한국전쟁의 피해 복구와 공업의 재편 = 46
1) 한국전쟁의 피해 = 46
2) 공업의 복구 = 48
3) 한국전쟁 직후의 공업 현황 = 53
4. 맺음말 = 58
1940년대 한국 공장공업의 연속성의 정도에 대한 분석 / 허수열 = 61
1. 머리말 = 61
2. 자료의 성격 = 63
3. 연속의 정도 = 71
1) 공장주의 연속 = 72
2) 공장의 연속 = 77
4. 맺음말 = 80
해방 후 ''귀속 국내 법인''의 운영과 청산 - 해동흥업공사(舊 불이흥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 洪性讚 = 87
1. 머리말 = 87
2. 해방과 海東興業으로의 개편 = 92
3. 해동흥업의 경영변동과 청산 = 101
1) 지주경영의 변모와 농지 매각 = 101
2) 농지 매각 대금의 수령과 여타 부동산의 경영 = 110
3) 기타 농지개혁 관련 보상금의 수령과 부동산의 관리 처분 = 126
4) 해산과 청산의 종결 = 137
4. 맺음말 = 141
제2부 제도의 변동
정부수립 후 노동위원회의 설치와 노동문제 / 이상의 = 147
1. 머리말 = 147
2. 정부수립 후 노동법 제정과 노동위원회법 입안 = 149
1) 노동법 제정과 노동위원회 논의 = 149
2) 노동위원회법의 입안 = 154
3. 노동위원회의 구성과 역할 = 158
1) 노동위원회의 구성과 ''독립성'' = 158
2) 노동위원회의 권한 = 161
4. 노동위원회의 활동과 노동문제 인식 = 166
1) 노동위원회의 활동 = 166
2) 노자협조 정신의 강조 = 178
5. 맺음말 = 181
1950년대 농업협동조합법 제정과정과 농업협동체론 / 이경란 = 185
1. 머리말 = 185
2. 1950년대 전반기 농업협동조합론과 미국측의 방안 = 189
1) 1950년대 농업협동조합 설립과 법 제정 논의의 추이 = 189
2) 미국의 농협문제 개입과 제안의 성격 = 195
3. 1950년대 후반기 농업은행의 설립과 농업협동조합론의 변화 = 206
1) 법제정 과정의 주요쟁점 = 206
2) 정부의 지배력 강화와 민간 협동조합운동의 새로운 전개 = 216
4. 맺음말 = 223
제3부 생활의 변동
한국전쟁 이후 노무동원의 재현과 노동자 / 이상의 = 227
1. 머리말 = 227
2. 전시근로동원법과 한국전쟁 이후의 노무동원 = 229
1) 전시하의 노무동원과 전시근로동원법 = 229
2) 한국전쟁 이후의 노무동원 = 234
3. 징용 노무자의 가족의 생활 = 243
1) 징용 노무자의 생활 = 243
2) 가족의 생활과 가정의 파탄 = 249
4. 자유응모제로의 전환과 노무동원의 재현 = 251
1) 자유노무자 모집으로의 전환 = 251
2) 노무동원의 재현, 국토건설단 = 254
5. 맺음말 = 261
전후 농촌의 사회연결망과 농민생활 - 충남 문당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경란 = 265
1. 머리말 = 265
2. 1950년대 농업구조 변동과 마을의 사회연결망 = 271
1) 농지개혁에 대한 기억 = 271
2) 농지개혁 이후 마을 자리매김의 변화 = 275
3) 문당리 주민들의 토지소유 변화 = 278 = 281
3. 마을의 호혜적 사회연결망의 농민생활 = 281
1) 수리조합의 설치와 호혜적 관계 형성의 기초 = 281
2) 이장 중심의 마을 운영 = 286
3) 두레를 활용한 호혜적 사회연결망의 유지와 한계 = 290
4. 맺음말 : ''탈출''과 재구성 = 296
전쟁과 농업협동화로 인한 북한 농민생활의 변화 / 김성보 = 301
1. 머리말 = 301
2. 전시하 농민 동원과 인구이동 = 304
1) 전시동원체제와 농촌 개편 = 304
2) 전후 인구이동과 주민 구성 변화 = 309
3. 전후 농촌 건설의 핵심 주체 형성 = 314
4. 집단적 생산활동을 통한 사회주의 노동 규율 = 319
5. 주택·가족과 사회의식의 변화 = 326
1) 주택과 가족·친족 관계의 변화 = 326
2) 사회의식의 변화 : ''인민''으로서의 자각 = 333
6. 맺음말 = 337
찾아보기 = 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