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추천의 말 = 7
제1장 평양문화어의 발전과정 = 15
1. 평양문화어의 개념과 형성의 기초 = 16
2. 평양문화어발전의 역사적 과정 = 25
제2장 고유어휘를 기본으로 하는 단어체계 = 43
1. 고유어휘는 민족어의 기본바탕 = 44
2. 어휘정리사업의 빛나는 실현 = 67
제3장 방언에서 찾아낸 고유한 우리 말 = 85
1. 방언의 특성과 기초방언 = 85
2. 방언을 그릇되게 대함으로 생기는 문제점 = 92
3. 방언어휘의 부단한 탐색과 문화어 어휘구성의 풍부화 = 96
제4장 새로 만들어 낸 아름다운 우리 말 = 119
1. 평양문화어의 단어조성수법과 품사별 단어조성 = 119
2. 새말에 의한 어휘구성의 풍부화 = 169
제5장 고유한 우리 말로 고친 어려운 한자말 = 191
1. 한자말의 생성과정과 그 문제점 = 192
2. 한자말의 우리 말로 변화된 과정 = 199
3. 한자말정리에 따르는 문화어어휘구성의 질적변화 = 205
제6장 다른 나라의 국명과 지명, 외래어의 표기 = 221
1. 다른 나라의 국명과 지명, 외래어의 표기원칙 = 221
2. 다른 나라의 국명과 지명, 외래어표기의 심화발전 = 228
제7장 민족어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언어규범 = 259
1. 언어규범의 필요성 = 259
2.《한글맞춤법통일안》의 문제점 = 261
3. 언어규범의 심화발전 = 262
부록
1. 북과 남의 서로 다른 입말, 글말 = 289
2. 북과 남의 자모 순서와 그 이름 = 305
3. 세계 여러 나라와 그 수도이름에 대한 북과 남의 비교 = 307
4. 북과 남의 단어 첫머리의 [ㅇ, ㄴ, ㄹ] 표기 = 311
5. 관련 사진 =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