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3
1.2. 연구 대상과 범위 = 17
1.3. 연구 방법과 논의의 구성 = 23
제2장 한국어교육 영역과 통합 교육 = 27
2.1. 한국어교육의 영역 = 27
2.1.1. 언어 기능 = 34
2.1.2. 언어 지식 = 39
2.1.3. 문화 = 44
2.2. 한국어교육과 통합 교육 = 50
2.2.1. 통합 교육의 필요성 = 54
2.2.2. 통합 교육의 구성 = 59
제3장 한국어 문법 교육의 기초 = 66
3.1. 외국어 교육에서 문법 교육 = 65
3.1.1. 의사소통 능력과 문법 능력 = 67
3.1.2. 문법교육의 유용론과 무용론 = 74
3.1.3. 문법 교육의 필요성 = 78
3.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의 배경 = 83
3.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의 전략 = 87
3.2.2. 학교문법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 91
제4장 한국어 구문표현의 범주 설정 = 101
4.1. 구문표현의 개념 = 101
4.1.1. 구문표현의 기존 범주 검토 = 104
4.1.2. 문법 항목과 구문표현의 구별 = 111
4.1.3. 구문표현의 설정 = 115
4.2. 한국어 교재에서의 구문표현 = 118
4.2.1. 경희대〈한국어 초급 ⅠㆍⅡ/중급 ⅠㆍⅡ/고급 ⅠㆍⅡ〉 = 120
4.2.2. 서강대〈서강 한국어 1~3〉 = 124
4.2.3. 서울대〈한국어 1~4〉 = 127
4.2.4. 연세대〈한국어 1~6〉 = 130
4.2.5. 이화여대〈말이 트이는 한국어 Ⅰ~Ⅴ〉 = 136
4.2.6. 하와이대〈Integrated Korean Beginning 1ㆍ2/Intermediate 1ㆍ2〉 = 139
4.2.7. 한국어 교재의 개발 방향 = 143
제5장 한국어 구문표현의 유형화 = 149
5.1. 구문표현의 유형화 원리 = 149
5.1.1. 앞선 연구의 검토 = 150
5.1.2. 구문표현의 유형화 = 153
5.2. 형태적 구문표현 = 159
5.2.1. 체언을 포함한 연결형 구문표현 = 160
5.2.2. 용언을 포함한 연결형 구문표현 = 162
5.2.3. 용언을 포함한 종결형 구문표현 = 164
5.3. 통사적 구문표현 = 166
5.3.1. 보조용언 구문표현 = 168
5.3.2. 사동 구문표현 = 171
5.3.3. 피동 구문표현 = 173
5.3.4. 부정 구문표현 = 175
5.3.5. 인용 구문표현 = 176
제6장 한국어 구문표현의 단계화 = 181
6.1. 구문표현의 단계화 원리 = 181
6.1.1. 앞선 연구의 검토 = 183
6.1.2. 구문표현의 단계화 = 186
6.2. 초급 단계 구문표현 = 195
6.2.1. 연결형 구문표현 = 196
6.2.2. 종결형 구문표현 = 197
6.2.3. 보조용언 구문표현 = 198
6.2.4. 부정 구문표현 = 198
6.3. 중급 단계 구문표현 = 199
6.3.1. 연결형 구문표현 = 199
6.3.2. 종결형 구문표현 = 201
6.3.3. 보조용언 구문표현 = 202
6.3.4. 사동 구문표현 = 203
6.3.5. 피동 구문표현 = 204
6.3.6. 인용 구문표현 = 204
6.4. 고급 단계 구문표현 = 205
6.4.1. 연결형 구문표현 = 206
6.4.2. 종결형 구문표현 = 206
6.4.3. 보조용언 구문표현 = 207
6.4.4. 인용 구문표현 = 208
6.5. 구문표현의 교수ㆍ학습 모형 = 208
6.5.1. 문법 교수ㆍ학습 수업 구성 = 209
6.5.2. 구문표현의 교수ㆍ학습 지도안 : {-(으)려고 하다} = 214
연습 1. 문장 완성하기 = 218
연습 2. 그림 보고 말하기 = 219
연습 3. 주어진 상황에 맞게 말하기 = 220
제7장 결론 = 225
참고문헌 = 233
부록 : 한국어 교재 문법 목록 = 247
찾아보기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