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제1장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3
1.2.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 16
1.3. 논의의 구성 = 21
제2장 관형사의 특성과 유형 = 23
2.1. 선행 연구 = 23
2.2. 관형사의 품사론 = 29
2.2.1. 옹호론과 무용론 = 29
2.2.2. 관형사의 경계범주 = 32
2.2.2.1. 관형사와 접미사 = 33
2.2.2.2. 관형사와 체언 = 35
2.2.2.3. 관형사와 용언 = 36
2.3 관형사의 특성 = 37
2.3.1. 관형사의 형태적 특성 = 39
2.3.2. 관형사의 통사적 특성 = 70
2.4. 관형사의 유형 = 45
2.4.1. ''X적'' = 45
2.4.1.1. ''X적''의 통사적 범주 = 47
2.4.1.2. ''-적''의 의미 속성 = 56
2.4.2. 수 관형사 = 59
2.4.3. 한자어 관형사 = 64
2.4.3.1. 한자어 관형사의 기존 유형 = 65
2.4.3.2. 한자어 관형사의 판별 = 67
2.4.4. 어휘화와 관형사 = 75
2.4.4.1. 어휘화와 문법화 = 75
2.4.4.2. 어휘화한 관형사의 판별 = 79
2.4.4.3. 어휘화안 관형사의 특성 = 86
2.4.4.4. 어휘화한 관형사의 유형 = 90
2.4.4.5. 준어휘화한 관형사 = 92
2.5. 관형사의 분류와 목록 = 94
제3장 관형명사의 특성과 유형 = 97
3.1. 선행 연구 = 97
3.2. 관형명사의 특성 = 100
3.3. 관형명사의 기준과 목록 = 103
3.3.1. 피수식어의 실현 가능성 = 106
3.3.2. 비생산성 = 107
3.3.3. 조사의 결합 가능성 = 109
3.3.4. 관형명사의 목록 = 113
3.4. 관형명사의 유형 = 115
3.4.1. ''-적''과 결합 가능한 유형 = 116
3.4.2. ''-성''과 결합 가능한 유형 = 118
3.4.3. ''-화''와 결합 가능한 유형 = 119
3.4.4. ''-하-''와 결합 가능한 유형 = 119
제4장 관형격조사와 명사구 구성 = 123
4.1. 선행 연구 = 123
4.2. 관형격조사의 격 지위와 기능 = 129
4.2.1. 관형격조사의 격 지위 = 129
4.2.2. 관형격조사와 부정격 = 132
4.2.3. 관형격조사의 기능 = 136
4.3. ''NP₁의 NP₂'' 구성과 ''NP₁ NP₂'' 구성의 특성 = 139
4.3.1. ''NP₁의 NP₂''구성과 ''NP₁NP₂'' 구성의 통사적 특성 = 140
4.3.2. ''NP₁의 NP₂''구성과 ''NP₁NP₂'' 구성의 의미적 특성 = 143
4.3.3. ''NP₁의 NP₂''구성과 ''NP₁NP₂'' 구성의 화용론적 특성 = 146
4.3.3.1. 전제와 초점 = 146
4.3.3.2. 초점 성분의 범주 = 150
4.4. ''NP₁의 NP₂''구성의 유형 = 153
4.4.1. 연결 구성 = 154
4.4.2. 비연결 구성 = 157
4.4.2.1. 부분 구성 = 157
4.4.2.2. 등가 구성 = 160
4.4.2.3. 논항 구성 = 161
제5장 관형어 확장 구조의 특성과 유형 = 163
5.1. 선행 연구 = 163
5.2. 관형어 확장 구조의 특성 = 166
5.3. 관형어 확장 구조의 유형 = 168
5.3.1. 관형사의 겹침 현상 = 168
5.3.2. 관형사형의 겹침 현상 = 173
5.3.3. 복합 겹침 현상 = 176
제6장 새로운 관형사형 어미 ''-다는'' = 183
6.1. 선행 연구 = 183
6.2. ''-다고 하는''의 통시적 고찰 = 185
6.3. ''-다고 하는''과 보문명사 = 189
6.4. ''-다고 하는''과 ''-다는''의 변별성 = 196
6.4.1. ''-다고 하는''과 ''-다는''의 통사적 변별성 = 196
6.4.2. ''-다고 하는''과 ''-다는''의 의미적 변별성 = 200
6.5. 비환원적 융합형 ''-다는''의 문법범주 = 202
제7장 결론 = 205
7.1. 요약 = 205
7.2. 남은 문제와 전망 = 212
참고문헌 = 215
부록 : 관형사의 목록 = 232
찾아보기 =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