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형태론의 정의와 범위
제1장 형태론의 정의 = 17
1.1. ''형태론''의 ''형태'' = 17
1.2. ''형태''와 ''형태소'' = 19
제2장 형태론의 범위와 대상 = 23
제2부 형태소와 단어
제3장 형태소 = 31
3.1. 형태소의 ''확인'' : 계열 관계와 통합 관계 = 31
3.2. 형태소의 종류 = 41
3.2.1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 41
3.2.2 어휘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 = 44
3.2.3 형성소와 구성소 = 47
3.2.4 영형태소와 공형태소 = 53
3.3. 형태소의 교체 = 55
3.3.1 이형태와 기본형 = 55
3.3.2 교체의 종류 = 59
제4장 단어 = 67
4.1. 단어의 여러 개념 = 67
4.2. 단어 개념의 해체 = 69
4.2.1 음운론적 단어 = 69
4.2.2 문법적 단어 1과 문법적 단어 2 = 69
4.2.3 어휘적 단어 = 74
4.3. 단어 개념에 따른 형태론의 범위 = 78
제3부 단어의 부류 : 품사
제5장 품사 분류 기준과 한국어의 품사 체계 = 87
5.1. 품사 분류를 위한 ''단어''의 개념 : 문법적 단어 1 = 87
5.2. 품사 분류의 기준 = 92
5.2.1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의미'' = 93
5.2.2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기능'' = 97
5.2.3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형식''과 한국어의 품사 분류 = 103
5.2.4 품사 분류 기준으로서의 ''분포'' = 105
5.3. 한국어의 품사 체계 = 108
제6장 체언 : 명사, 대명사, 수사 = 113
6.1. 명사 = 114
6.1.1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 = 115
6.1.2 의존 명사와 자립 명사 = 117
6.2. 대명사 = 120
6.2.1 인칭 대명사 = 121
6.2.2 지시 대명사 = 130
6.3. 수사 = 136
6.3.1 양수사 = 139
6.3.2 서수사 = 142
제7장 용언 : 동사, 형용사 = 149
7.1. 동사 = 152
7.1.1 자동사와 타동사 = 154
7.1.2 지시 동사 = 157
7.1.3 본동사와 보조 동사 = 158
7.2. 형용사 = 162
7.2.1 객관성 형용사와 주관성 형용사 = 163
7.2.2 지시 형용사 = 165
7.2.3 보조 형용사 = 167
7.3. 동사와 형용사의 경계 = 169
7.3.1 ''있다''와 ''없다'' = 169
7.3.2 ''이다'' = 172
7.4. 규칙 용언과 불규칙 용언 = 173
7.4.1 규칙 용언 = 173
7.4.2 불규칙 용언 = 176
제8장 관계언 : 조사, 어미 = 193
8.1. 조사 = 194
8.1.1 격 조사 = 196
8.1.2 접속 조사 = 211
8.1.3 보조사 = 213
8.1.4 조사의 상호 결합 = 220
8.1.5 체언과 조사 결합의 불완전성 = 226
8.2. 어미 = 231
8.2.1 선어말 어미 = 232
8.2.2 어말 어미 = 234
8.2.3 어미와 조사의 결합 = 243
8.2.4 어간의 어미 결합의 불완전성 = 249
제9장 수식언 : 관형사, 부사 = 257
9.1. 관형사 = 259
9.1.1 성상 관형사 = 260
9.1.2 지시 관형사 = 263
9.1.3 수 관형사 = 265
9.2. 부사 = 268
9.2.1 성분 부사 = 269
9.2.2 문장 부사 = 277
제10장 독립언 : 감탄사 = 283
10.1. 감정 감탄사 = 287
10.2. 의지 감탄사 = 288
10.3. 입버릇 및 더듬거림 = 290
제11장 품사의 통용 = 293
11.1. 품사와 문장 성분 = 299
11.2. 품사 통용의 유형 = 303
11.2.1 ''명사'' 관련 통용 유형 = 303
11.2.2 ''대명사'' 관련 통용 유형 = 304
11.2.3 ''동사'' 관련 통용 유형 = 306
11.2.4 ''수사'' 관련 통용 유형 = 307
11.2.5 ''부사'' 관련 통용 유형 = 307
제4부 단어의 형성
제12장 한국어 단어 형성의 방법과 어휘적 단어의 종류 = 313
12.1. 단어 형성을 위한 ''단어''의 개념 : 어휘적 단어 = 313
12.2. 단어 형성의 방법 = 316
12.2.1 결합 = 316
12.2.2 대치 = 319
12.2.3 축약 혹은 탈락 = 325
12.2.4 영변화 = 327
12.3. 한국어 단어 형성 방법과 어휘적 단어의 종류 = 328
제13장 파생과 파생어 = 335
13.1. 단어 형성의 재료 : 어근과 접사 = 335
13.1.1 어근의 종류 = 336
13.1.2 접사의 종류 = 344
13.1.3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 = 349
13.2. 접사화 = 352
13.2.1 접두사화 = 352
13.2.2 접미사화 = 357
13.3. 어근과 접사 결합에서의 형태 변화 = 361
13.3.1 접두사와 어근 결합에서의 형태 변화 = 361
13.3.2 어근과 접미사 결합에서의 형태 변화 = 365
13.4. 한국어 파생어의 종류와 특성 = 368
13.4.1 접두 파생어 = 368
13.4.2 접미 파생어 = 379
13.5. 한국어의 동의파생어 = 398
13.5.1 파생어 형성의 비대칭성 : 우연한 빈칸과 체계적 빈칸 = 398
13.5.2 저지 현상 = 400
13.5.3 한국어 동의파생어의 유형 = 401
제14장 합성과 합성어 = 413
14.1. 합성어의 개념과 범위 = 413
14.2. 합성어와 구 = 418
14.3. 어근과 어근 결합에서의 형태 변화 = 420
14.4. 한국어 합성어의 종류와 특성 = 424
14.4.1 어근과 어근의 관계 = 424
14.4.2 합성어와 문장의 관계 :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 429
14.4.3 품사에 따른 합성어 = 435
제15장 통사적 결합과 통사적 결합어 = 453
15.1. 조사 결합어 = 454
15.1.1 격 조사 결합어 = 454
15.1.2 보조사 결합어 = 456
15.2. 어미 결합어 = 460
15.2.1 선어말 어미 결합어 = 460
15.2.2 종결 어미 결합어 = 461
15.2.3 연결 어미 결합어 = 461
15.2.4 전성 어미 결합어 = 466
참고문헌 = 473
찾아보기 =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