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기는 말 = 5
저자 서문 = 8
제1장 서론(introduction) = 15
1.1. 역사에서 탈문법화의 성쇠 = 15
1.2. 목적과 개요 = 17
1.3. 예비정의들과 관찰들 = 22
1.3.1. 문법화 = 22
1.3.2. 탈문법화 =26
1.3.3. 어휘화 =28
1.3.4. 중복영역 =32
1.3.5. 통시적 점진성과 공시적 변화율 =39
1.3.6. 재분석과 유추 = 41
1.4. 논쟁의 중심에 있는 문법화의 유형들 = 45
1.4.1. 이차적 문법화 = 45
1.4.2. 화용론화 = 47
1.4.3. 절결합 = 50
1.5. 문맥과 구문 = 54
1.6. 방법론적인 문제들 = 58
1.6.1. 과정 대 결과 = 58
1.6.2. '이론'으로서의 문법화 = 65
1.6.3. 변화와 대응 = 68
1.6.4. 근거로서의 재구조화 = 72
1.6.5. 사례 연구: 로망스어의 MENTE = 78
1.7. 요약 = 86
제2장 단일 방향성(unidirectionality) = 89
2.1. 도입 = 89
2.2. 언어변화의 개념들 = 101
2 2.1. 연속변이 = 101
2.2.2. 순환 = 104
2.3. 비역행성 = 108
2.4. 비방향적 변화: 측면전이 = 113
2.5. 문법표지의 대체 근원 = 118
2.6. 비역행 변화들 = 121
2.6.1. 탈의미화 = 122
2.6.2. 탈범주화 = 129
2.6.3. 단일어화 = 136
2.6.4. 음운론적 축소 = 145
2.6.5. 주관화 = 149
2.6.6. 요약 = 155
2.7. 방향적 경향에 대한 설명 = 156
2.7.1. 용법 기반 접근들 = 156
2.7.2. 심리 언어학적인 접근 = 162
2.7.3. 생성론적 접근 = 165
2.7.4. 다른 형식적 설명들 = 175
2.8. 요약 = 181
제3장 탈문법화의 정의(defining degrammaticaliazation) = 185
3.1. 도입 = 185
3.2. 재문법화와 반문법화 = 189
3.3. 용어의 확산과 혼란 = 192
3.3.1. 문법적 의미의 소실 = 193
3.3.2. 거울 이미지 반전 = 194
3.3.3. 기능어와 접사의 어휘화 = 197
3.3.4. 완곡 표현 = 200
3.3.5. 기능적응과 기능선택 = 201
3.3.6. 대체 = 208
3.4. 총체적 정의 = 210
1제1장 일본어 계통론 재검토 - ''거시 역사언어학''의 제언
1.1. 머리말 = 15
1.2. 일본어는 언제 일본 열도에 주어졌을까? = 16
1.3. 일본어의 계통은 왜 아직 밝혀지지 않았을까 = 19
1.4. 일본어의 유형적 특징으로 보는 ''환태평양''적 분포 = 28
1.4.1. 일본어의 ラ(ra)행 자음 = 30
1.4.2. 일본어의 수사유별(數詞類別) = 33
1.5. ''환태평양 언어권''의 가능성 = 37
제2장 일본어ㆍ타밀어 동계설에 대한 비판
2.1. 일본어ㆍ타밀어(Tamil language) 동계설에 대한 언어학적 검증 - 오노 스스무(大野晋, 1919∼2008)에 대한 답을 겸하여 = 39
2.1.1. 머리말 = 39
2.1.2. 일본어와 타밀어 어휘 비교의 문제점 = 40
2.1.3. 문법적인 면에서 보이는 일치 : 브라후이어와 일본어의 경우 = 46
2.2. 다시 일본어와 타밀어 동계설을 검증한다 = 53
2.2.1. 언어의 계통(=동계성)과 그 증거 = 54
2.2.2. 가설로서 일본어와 영어 동계론 = 57
2.2.3. 증명 절차와 음운 법칙 = 59
2.2.4. 대응어의 검증 = 62
2.2.5. 결론 = 68
제3장 일본어의 계통과 ''우랄-알타이설''
3.1. 일본어의 이른바 ''우랄-알타이적 특징'' = 71
3.2. ''우랄-알타이적 특징'' 14개 조목의 검증 = 77
3.3. 일본어가 우랄-알타이어와 현저하게 다른 언어적 특징 14조목 = 102
제4장 언어유형지리론으로 탐구하는 언어의 먼 친족 관계 - 태평양 연안 언어권과 환동해ㆍ일본해제어
4.1. 언어의 계통적 분류와 비교방법의 한계 = 111
4.2. 언어의 먼 친족 관계와 언어유형지리론 = 122
4.3. 유음(流音)의 유형 = 127
4.3.1. 세계 언어에서 유음의 종류 = 127
4.3.2. 복식유음형의 분포 = 131
4.3.3. 단식유음형의 분포 = 133
4.3.4. 유음결여형과 그 분포 = 134
4.3.5. 유음 유형에서 볼 수 있는 지리적 분포의 특징 = 136
4.4. 형용사의 유형 = 141
4.4.1. 형용사가 차지하는 품사적 위치 : 체언형과 용언형 = 141
4.4.2. 형용사의 유형별 분포 = 149
4.5. 명사의 수와 분류 = 158
4.5.1. 명사의 수 범주 = 158
4.5.2. 명사의 분류 : 명사유별과 수사유별 = 162
4.6. 태평양 연안 언어권과 환동해ㆍ일본해제어 = 176
4.7. 동사의 인칭 표시 = 181
4.7.1. 인칭 표시의 세 가지 유형 : 단항형∼다항형∼무표시형 = 183
4.7.2. 인칭 표시 유형의 지리적 분포 = 187
4.8. 명사의 격 표시 = 195
4.8.1. 격 표시의 세 가지 유형 : 대격형∼능격형∼중립형 = 196
4.8.2. 격 표시 유형의 지리적 분포 = 198
4.9. 1인칭 복수의 포함-배제 구분 = 205
4.9.1. 포함-제외의 구분, 그리고 지리적 분포 = 206
4.9.2. 1인칭 복수 포함형의 재해석 : 포괄인칭 = 212
4.9.3. 포함-제외의 구분과 경어법 = 223
4.10. 형태법상의 수단으로서 중복 = 226
4.10.1. 여러 언어에서 보이는 중복의 양상들 = 226
4.10.2. 중복 형태법의 지리적 분포 = 230
4.11. 유라시아 언어들의 계통 분류와 일본어의 위치 = 235
4.11.1. 유라시아 내륙 언어권과 그 하위 분류 = 237
4.11.2. 환태평양 연안 언어권과 그 하위 분류 = 240
4.12. 태평양 연안 언어권과 아메리카 선주민의 언어들 = 251
4.13. 부속 자료 - 부록 : [표 1∼2] 및 [지도 0∼9] = 261
제5장 일본어 계통론에 관한 새로운 생각 - 환동해ㆍ일본해제어와 아메리카 대륙
5.1. 머리말 = 275
5.2. 일본어의 계통과 유형지리론 = 276
5.3. 유라시아 내륙 언어권과 태평양 연안 언어권 = 280
5.4. 태평양 연안형 언어와 아메리카 대륙 = 284
제6장 환태평양 언어권의 윤곽 - 인칭대명사를 통한 검증
6.1. 머리말 = 289
6.2. 연구에 이용한 인칭대명사의 틀 = 291
6.3. 태평양 연안형에 인접하는 내륙권의 인칭대명사 = 293
6.3.1. 유로-알타이형의 인칭대명사와 그 분포 = 294
6.3.2. 시노-티베트형(Sino-Tibet Type)의 인칭대명사와 그 분포 = 302
6.4. 태평양 연안형 인칭대명사와 환태평양적 분포 = 306
6.4.1. 태평양 연안 남방군(오스트릭 대어족) = 308
6.4.2. 태평양 연안형 북방군 : 환동해ㆍ일본해제어 = 322
6.4.3. 아메리카 대륙 : 북미 = 330
6.4.4. 중미 : 미헤-소케제어와 마야제어 = 338
6.4.5. 남미의 여러 언어들 = 344
6.4.6. 인칭대명사에서 본 환태평양 언어권의 구성 = 354
6.4.7. 아메리카 대륙에서 비연안형으로 보이는 주요 어족과 그 인칭대명사 시스템 = 356
6.5. 환동해ㆍ일본해제어와 유로-알타이제어의 의문대명사 ''who/누구'' = 359
6.5.1. 환동해ㆍ일본해제어의 의문대명사 ''who/누구'' = 359
6.5.2. 유로-알타이제어의 의문대명사 ''who/누구'' = 361
6.5.3. 그 밖의 인접 언어들의 의문대명사 = 366
제7장 태평양 연안 언어권의 선사(先史) 탐구
7.1. 태평양 연안 남방군의 태생 = 369
7.2. 황하 하류 지역의 원주민 ''동이(東夷)''의 정체 = 372
7.2.1. ''치우(蚩尤)''의 전설 : 먀오-야오족과 화하족 = 374
7.2.2. ''백복(百濮)'' : 중국 본토의 오스트로-아시아계 집단 = 379
7.3. ''백월(百越)'' - 중국 본토의 또 하나의 연안민 = 383
7.4. 장강 문명의 담당자로서 태평양 연안민 = 386
7.5. ''동이''의 연장으로서 환동해ㆍ일본해 민족들 = 389
7.6. 태평양 연안부에서 한어(漢語)와 한족(韓族)의 위치 = 393
7.7. 한자의 창시자로서 태평양 연안민 = 397
7.8. 환태평양 언어권을 위한 선사 연표(시안) = 403
참고문헌 = 409
저자 후기 = 425
[부록]세계의 언어들 = 431
용어 색인 = 469
인명 색인 = 489